[사람들]
[spot] 과거를 모르는 나비가 되지 말자
2009-01-20
글 : 안현진 (LA 통신원)
사진 : 오계옥
디지털 삼인삼색 <나비들에겐 기억이 없다>의 라브 디아즈 감독

<엔칸토에서의 죽음> <멜랑콜리아>로 2007년과 2008년, 연이어 베니스의 찬사를 받았던 필리핀 감독 라브 디아즈가 한국을 찾았다. 디아즈는 올해 10회를 맞는 전주국제영화제 디지털 삼인삼색 프로젝트에 한국의 홍상수, 일본의 가와세 나오미와 함께 초대됐다. 제1회 시네마디지털서울영화제에 심사위원 자격으로 방문한 뒤 두 번째 걸음이다. 기자회견을 마치고 나온 그를 만나, 5월 전주에서 상영하는 단편 <나비들에겐 기억이 없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첫 방문에는 몰랐던 한국의 겨울에 놀랐는지, 그는 “정말 춥다”는 인사로 말문을 열었다.

-디지털 삼인삼색에 어떻게 참여하게 됐나.
=제안서를 받고 즉시 수락했다. 지난해인가 전주영화제의 디지털 프로젝트가 화제가 됐었다. 그러던 중 제안이 왔으니 흥분할 수밖에. 다른 감독들과 함께하는 것 역시 좋은 도전이라고 생각했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작품에 대해 이야기하자.
=<나비들에겐 기억이 없다>는 필리핀에 진출했던 다국적 기업에 대한 이야기다. 15년 전 캐나다 금광기업이 필리핀에 들어왔고 사람들은 부유해졌지만, 회사가 철수하자 사람들은 버림받았다. 개발은 풍요로움을 가져왔지만 환경 파괴도 초래했다. 이런 모순을 통해 필리핀이 겪는 고통을 보여주고 싶었다.

-제목이 독특하다.
=나비는 필리핀 사람들의 기억력을 상징한다. 내가 영화에서 계속 이야기해온 것처럼 나는 사람들이 과거를 돌아보기를 바란다. 필리핀은 마르코스가 17년간 독재했고, 4년간 일본의 통치 아래 있었다. 100년은 미국이, 또 300년이 넘게 스페인이 지배했다. 문제는 다들 잊고 살아간다는 것이다. 과거는 현재의 큰 부분이며 미래에 영향을 미치기에 중요한 문제다.

-어디서 촬영했나.
=마린두케라는 외딴섬이다. 필리핀 중심부인데 본토와는 떨어져 있다. 3주 동안 섬에 머물며 촬영했고, 그 뒤 마닐라 근처의 타이타이라는 마을에서 또 촬영했다.

-어떤 배우들이 출연하나.
=모두 비전문 배우들이다. 몇몇은 스탭들이고 지역 주민들도 있다. 비전문 배우들과의 작업은 내게 익숙한 작업방식 중 하나다.

-전작들은 다큐멘터리와 픽션의 경계가 모호했다.
=나는 그 두 형식을 섞는 방식이 매우 편하다. <엔칸토에서의 죽음>도 그렇지만, <나비들에겐…> 역시 실제 장소에서 그 사건을 겪은 사람들을 찍었기 때문에 영화를 본다면 픽션이지만 리얼리티를 느끼게 될 것이다.

-당신은 뮤지션이기도 하다. 이번 영화의 음악도 당신이 맡았나.
=사실 내 영화에는 음악이 잘 쓰이지 않는다. 사운드가 들어간다면 상황이 빚어낸 소리거나 장면 안에서 음악이 연주되는 경우다. <멜랑콜리아>와 다르게 <나비들에겐…>에 연주장면은 없다. 물론 영화를 위해 작곡도 했고 음악을 고르는 중이지만 음악이 들어갈지는 결정하지 않았다.

-당신은 긴 영화를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필리핀 가족의 진화>는 상영시간이 643분이며, <엔칸토에서의 죽음>은 540분이다. 그런데 이번에 40분짜리 단편을 만들었다.
=1분이든 11시간이든 중요한 것은 몰입이다. 영화는 영상과 사운드 너머의 초월적인 경험이다. 그래서 조그만 TV 화면으로 영화를 보는 것을 무척 싫어한다. 이 프로젝트는 계약서에 40분이라고 명시되어 있었기 때문에 정말 짧은 이야기를 구상해야 했다. 동시에 나의 비전을 반영하는 것도 염두에 두었다. 단편이지만 의도한 것은 충분히 표현했다. 그 자체로 완결된 작업이며 만족스럽다.

-제작비, 상영시간, 표현매체 등에서 제한이 있는 프로젝트였다.
=제안서 첫줄의 ‘free’라는 단어가 굉장히 마음에 들었다. 나의 제1원칙은, “예술가는 자유로워야 한다”다.

-당신은 예술적 영감을 글·그림·음악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해왔다. 당신에게 영화는 무엇인가.
=나는 영화인이고, 영화가 나를 표현하는 가장 편안한 방법이다. 필리핀의 현실을 나아지게 만드는 노력을 다양한 방법으로 할 뿐이다.

-디지털이 가지는 매력은 무엇인가.
=디지털은 영화를 자본과의 결탁으로부터 해방시켰다. 감독들은 디지털을 통해 거대 스튜디오의 구속에서 벗어났고, 표현의 자유를 얻었다.

-컬러로 영화를 만들 생각은 있나.
=글쎄, 현재 나의 영감은 흑백으로 보인다. 예술가는 비전의 지시를 따르는 법이다. 저주이자 재능이지. 어느 날 갑자기 컬러로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면 그때는 또 모르겠다.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