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원화평
Woo-ping Yuen
-
다른 이름
Yuen Wo Ping; Yuen Wo-Ping; Yuen Woo ping -
직업
감독 -
생년월일
1945-01-01 -
성별
남 -
참여작품(48)
- <칠중주: 홍콩 이야기> 감독
- <엽문 외전> 감독

소개
1970년 <풍광살수>라는 작품의 무술감독을 맡으며 본격적인 액션지도에 나선 원화평은 <취권>(79) <사형도수>(79) <남북취권>(80) 등으로 명실상부한 코믹쿵푸영화의 대가로 떠오른 인물이다.
이후 <기문둔갑>(82), <소태극>(84), <황가사저4>(89)등을 연출하여 감독으로서도 명성을 날렸다. 1997년 홍콩의 중국반환을 계기로
미국으로 건너간 원화평은 <매트릭스>로 할리우드 액션영화를 뒤바꿔 놓는다.
그리고 <와호장룡>으로 마친표를 찍은 원화평은 지금 할리우드에서 가장 바쁜 영화인중 한명으로 손꼽히고 있다.
원화평(위안허핑)은 홍콩 전통무술영화에서 반드시 거론돼야 할 감독이다. 그는 1978년 <사형도수>, 1979년 <취권>을 만들면서 유명해졌다.
<취권>은 무명이던 성룡을 이소룡의 뒤를 잇는 아시아 최고의 스타로 올려놓은 작품으로 국내에서도 많은 관객을 동원하며 홍콩 무협영화 바람을 불러일으킨 영화다.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몸체에 실은 성룡의 액션은 이후 그의 트레이드 마크처럼 유명해졌다.
아버지가 유명한 무술인이었던 원화평은 어린 시절부터 무술을 익혀 뛰어난 무술실력을 자랑한다. 1960년대 <황비홍> 시리즈에 출연하기도 했고, 1970년 <풍광살수>를 시작으로 여러 작품의 무술감독을 맡게 된다.
이후 사원영화사에 들어가 성룡을 주연으로 한 <사형도수>를 연출하며 대히트를 하게 되고 감독으로서의 능력도 인정받아 <취권>과 <남북 취권> (1980) 등 새로운 코믹 쿵후영화의 시대를 연 감독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무문> <소림오조> <대도무문> 등을 무술감독 하며 인상적인 무술을 선보였다. <기문둔갑>(1982) <소태극> (1984) <황가사저4>(1989) <화소도>(1991) <철마류>(1993) <태극권>(1993) 등을 연출했고, 1996년에 감독한 <태극권2>에서는 슬랩스틱류의 코미디를 결합했다.
원화평은 전통적인 쿵후영화를 바탕으로 변화된 기호에 맞춰 몇몇 요소들을 다듬어간다.
[씨네21 영화감독사전, 1999]
참여작품(48)
비디오(20)
관련 기사(13)
관련 기사(8)
-
[인터뷰] 희망과 불안 사이,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조유리
“간절하고 절실한 마음이었다.” 아이즈원의 메인보컬부터 성공적인 솔로 활동까지 아이돌로서 탄탄한 경력을 쌓아온 조유리에게도 “고등학생 때부터 품었던 연기의 꿈”을 위해 도전한 배우의 길은 험난했다. 수많은 오디션에서 고배를 마신 뒤 “두눈 가득 독기를 품고” 임한 <오징어 게임> 시즌2의 오디션. 마침내 조유리는 “연기를 향한 간절한 염원”처럼
2025-02-04 최현수
-
[인터뷰] 감개무량의 순간,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박성훈
황동혁 감독에게 <오징어 게임> 시즌2 캐스팅 이유를 들은 박성훈은 적잖이 놀랐다. “예전 출연작인 KBS 단막극 <희수>를 보고 현주 캐릭터를 떠올렸다고 하시더라. 극 중 평범한 가장 역할이었는데 말이다. 감독님이 내 안에 존재하는 여성성을 꿰뚫어보신 것 같았다.” 특전사 출신 트랜스젠더 조현주 역할을 맡은 뒤 감독과 함께 세운 첫
2025-02-04 이유채
-
[인터뷰] 고요한 열정,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박규영
“진심으로 속이 시원하다”라며 <오징어 게임> 시즌2의 공개 소감을 말하는 박규영의 얼굴은 편안해 보였다. 꽁꽁 숨겨왔던 그의 역할은 게임 참가자가 아닌 진행 요원. 북한에 두고 온 어린 딸을 찾는 게 삶의 목적인 명사수 강노을 역이다. 누굴 맡을지 모르는 상태로 오디션에 참가, 합격 뒤 주어진 예상 밖의 인물은 박규영의 도전 의식을 불러일으켰다
2025-02-04 이유채
-
[인터뷰] 어떤 악인의 입체성,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임시완
임시완은 처음 대본을 읽고 몰락한 코인 유튜버 이명기를 악인으로 규정하려 했다. 하지만 황동혁 감독으로부터 들은 의외의 코멘트는 그 생각을 바꿔놓았다. “임시완이라면 이 캐릭터가 착해 보일 수도 있겠다고 하시더라. 시청자들에게 명기가 그저 사람으로 느껴지기를 바라셨다.” 선인도 악인도 아닌 이명기는 그에게 마지막까지 “거짓과 진심의 정도를 헤아려야 했던”
2025-02-04 최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