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수경의 TVIEW] 하이퍼나이프

사람을 살리는 의사이며 사람을 죽이는 살인마. 이 두개가 공존할 수 있을까 싶지만 디즈니+ 드라마 <하이퍼나이프>의 신경외과 의사 정세옥(박은빈)은 그 불가능해 보이는 걸 해내는 사람이다. 17살에 연신대 의대를 수석으로 입학한 천재, 세옥은 ‘뇌’를 사랑한다. 그는 수많은 갈래의 길처럼 보이는 뇌 사진을 들여다보며 “이 길들을 다 못 가보고 죽으면 어쩌죠?”라며 걱정하고, 수술실에서는 희열을 느낀다. 이런 그의 면모는 의사의 훌륭한 자질로 여겨질 수 있지만, 세옥은 자신이 좋아하는 수술을 방해하는 모든 것에 적대감을 드러내는 ‘사이코패스’다. 그리고 살인마이기도 하다. 그 명민한 두뇌로 살인을 ‘잘’ 저지른다. 세옥은 그의 스승, 최덕희(설경구)와 데칼코마니처럼 똑같다. 덕희는 천재 의사로서 세옥이 인정하는 유일한 인물이다. 천재인 면만 그런 게 아니다. 사이코패스 살인마인 점도 똑같다. 다른 게 있다면 세옥은 충동적인 반면, 덕희는 계획적이고 치밀하다는 것. 두 사람은 닮은 만큼 서로를 아끼지만, 증오한다. <하이퍼나이프>는 병원에서 연애하는 것, 극한의 상황 속에서 생명을 살리고자 최선을 다하는 것 등 우리가 ‘의학 드라마’에서 그간 보아온 모든 것을 무너뜨리는 낯선 드라마다. <하이퍼나이프> 속 의사들도 생명을 살리지만, 의사의 소명이나 직업적 윤리 때문이 아니다. 그저 수술이 좋아서 할 뿐이다. 그 생명을 살리는 ‘기술’로 사람을 능숙하게 죽이기도 한다. 살리는 것과 죽이는 것이 한 인간에게서 동시에 구현되는 것이다. 천재적인 두뇌를 가졌으나 인간적 마음은 가지지 못한 이들이 기술만 가지게 되면 어떤 인간이 되는지 이 드라마는 잘 보여준다. ‘법 기술자’가 대통령이 되고, ‘관료적 머리’만 가진 엘리트들이 지배하는 세상과 페어링이 잘되는 드라마랄까.

check point

이 드라마에는 <스토브리그>의 이세영도, <이상한 변호사>의 우영우도, <무인도의 디바>의 서목하도 없다. 천재 사이코패스 의사 정세옥만 있을 뿐. 드라마마다 ‘얼굴을 갈아 끼우는’ 연기자들의 연기를 보는 맛이 있다. 이런 천재는 대환영.

한 눈에 보는 AI 요약
디즈니+ 드라마 '하이퍼나이프'는 천재 신경외과 의사이자 사이코패스 살인마인 정세옥(박은빈)을 중심으로, 생명을 살리는 의사와 사람을 죽이는 살인마라는 두 얼굴을 동시에 그린다. 기존 의학 드라마의 틀을 깨고, 수술을 사랑하는 천재들이 윤리 없이 기술만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독특한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