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SF]
[곽재식의 오늘은 SF] 그럴듯한 E. T.
2022-09-29
글 : 곽재식 (소설가. 공학박사)

외계인이 있다면 지구인과 얼마나 다를까? SF영화 중에는 외계인이 우리가 생각하는 생명체와는 완전히 다른 형태라서 우주를 떠돌아다니는 정신이 지구인과 싸우려고 한다든가, 알 수 없는 에너지가 뭉쳐 있고 그것이 마치 생각하는 것과 같은 반응을 보여주는 사례도 있다. 이런 모든 가능성을 다 고려하자면 차근차근 생각하는 것이 힘들 정도로 외계인의 모습은 다양해진다. 그러므로 우선은 적어도 외계인이 물질 덩어리로 된 형태를 갖고 있고, 또한 물질을 소비하며 살아가는 생명체 형태라고 한정해보자. 그렇다면 그 모습은 어떨까?

일단 지구의 생명체와 성분이 비슷할 가능성이 꽤 높다는 점이다. 사람 몸을 이루는 성분의 70% 가까이가 물로 되어 있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물은 H2O이니 사람 몸 성분의 상당량은 수소와 산소로 되어 있다. 그것 말고 중요한 원소를 하나 더 꼽아본다면 탄소다.

수소와 산소가 재료가 될 수 있는 행성이라면 두 원소가 자연스럽게 화학반응을 일으켜서 H2O, 즉 물이 많이 생겨나기도 쉬웠을 것이다. 그러면 물이 있는 곳에서 물을 많이 이용하면서 여러 가지 화학반응을 일으킨 결과로 생명체가 먹고, 마시고, 자라나고, 자식을 만들어내는 모든 변화가 일어날 거라고 추측하는 것도 타당하리라 생각한다. 이런 화학반응은 물이 풍부해 모두가 물을 마시며 살아가는 지구 생명체의 반응과 비슷할 것이다. 특히 생명체의 몸을 이루는 다양한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물질을 다채롭게 만들어낼 수 있는 복잡한 화학반응이 가능한 원소가 있어야 하는데, 물이 많은 상황에서 이런 화학반응이 일어날 만한 물질을 골라보라면 역시 탄소가 만만한 재료다. 그러니까 다른 행성의 생명체라도 물 가까이에 살면서 몸에는 탄소가 들어 있는 지구 생명체와 닮은 점이 많을 것이다. 그렇다면 꼭 사람 같지는 않더라도 지구 생명체의 몸을 이루는 재질과 외계인 몸의 재질이 비슷할 가능성이 꽤 높다고 볼 수 있다. 그 이상 외계 생명체가 지구 생명체와 비슷할 수도 있을까? 예를 들어 모든 지구 생명체는 유전자를 DNA에 저장해놓는다. 신기하게도 모든 지구 생명체는 세균에서부터 곰팡이, 식물, 동물까지 예외 없이 DNA를 활용한다. DNA 역시 수소, 산소, 탄소로 이뤄져 있는데 여기에 질소, 인도 조금 들어 있다. DNA는 유전과 진화를 일으키는 데 적합한 물질이라 지구 생명체가 사용하기에 요긴하다. 그렇다면 외계 생명체도 DNA를 사용할까? 지구 생명체들은 아데닌, 구아닌, 시토신, 티민이라는 조금씩 다른 네 종류의 DNA를 섞어가며 활용한다. 외계 생명체도 이 네 가지 DNA를 활용할까?

1982년작 <E.T.>에 나오는 외계인은 마지막 부분에서 지구인과 달라진다. 이 영화는 우연히 지구에 남게 된 외계인이 지구의 어린이가 사는 집에 잠깐 머무르며 지내다가 다시 돌아가려는 동안 벌어지는 사건을 담고 있다. 영화 후반부에서 과학자들이 외계인을 발견해 그 몸을 조사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거기서 “DNA가 6가지다”라고 말하며 놀라는 장면이 잠깐 지나간다. DNA가 4가지인 지구 생명체와는 다르다는 이야기다. 내 생각에는 DNA가 6가지인 게 놀라운 일이 아니라 외계인도 지구 생명체와 비슷하게 DNA 계통의 물질을 활용한다는 자체가 훨씬 더 신기한 것 같긴 한데, 그래도 지금보면 꽤 그럴싸한 장면이라는 생각이 든다.

영화 속의 외계인은 지구의 중력과 공기에 그런대로 잘 적응해서 살며, 지구의 동물, 식물, 도구도 친숙하게 다룬다. 지구의 쇳덩어리를 만지면 쓰러진다든가, 나무를 만지면 죽는다든가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지구 생명체와 지나치게 다르지는 않아야 한다. 그러면서도 더 발달하고 더 복잡한 종족이라면, 4가지 DNA보다는 더 다양한 형태를 보여줄 수 있는 6가지 DNA가 있다는 사실이 어울리는 느낌이다. 혹시 지구 생명체의 조상과 이 외계인의 조상 사이에 무슨 관계라도 있는 것일까? 어쩌면 애초에 그런 관계 때문에 외계인이 지구에 온 것일까?

<E.T.>는 어린이의 마음을 중심에 놓고 외계인 이야기를 다룬 감상적인 이야기다. 그러나 그러면서도 그런 이야기를 멋있게 꾸미기 위해서 세세한 부분이 얼마나 부드럽게 다듬어져 있는지를 살펴보면 볼 때마다 감탄하게 된다. 6가지 DNA에 대한 대사 한마디는 지나가는 대사 한마디일 뿐이라 이 영화의 여러 명장면들에 비하면 별것 아닌 취급을 받지만 이런 대목도 되돌아보면 상당한 정성이 엿보인다. 지금이야 누구나 DNA나 유전자 조작이라는 말 정도는 한번쯤 들어본 생명공학 시대지만, <E.T.>가 나온 1980년대 초반에는 DNA를 따져보면서 생명의 근본 줄기를 상상한다는 것은 꽤 깊은 지식이 필요한 발상이었을 것이다. 아마도 당시 관객 중 다수는 그 스쳐 지나가는 장면에서, “방금 뭐라고 했지? BNA라고 했나? 그게 무슨 말이지?” 정도로 반응하고 말았을 것이다. 그런데 그런 내용조차도 이렇게 잘 가다듬어두었다는 이야기다.

그러고 보면 주인공이 어린이라는 점이 먼저 눈에 들어와서 그렇지 <E.T.>는 상당히 묵직한 내용을 진지하게 파고드는 영화다. 우리보다 훨씬 더 지적 수준이 높은 종족을 만나는 느낌은 신선이나 현인을 만나는 감격과 비슷할 것인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고, 그런 내용을 위해서 은근히 종교적인 분위기를 활용하기도 한다. 주인공 개인의 심경에 대한 이야기와 인류가 외계인을 처음 만나는 역사적인 순간이 맞물려 돌아가도록 배치한 줄거리 구조도 빼어나다. 영화 장면에 잘 어울리면서도 필요할 때에는 거창한 느낌을 주는 음악도 빼놓을 수 없다.

동시에 영화에서 조목조목 짚고넘어가기에는 이야기 풀이가 난처한 대목이 되면 은근히 “어린이의 눈으로 본 이야기라면 이런 건 좀 건너뛰어도 괜찮지 않느냐”라는 듯이 슬쩍 피해가는 교묘함도 있다. 신비감을 주는 소재를 다루는 이야기에서 모든 것이 다 밝혀지면 재미가 없어지거나 오히려 가짜 같아 보일 때가 있다. 그런데 이 영화는 외계인의 정체, 목적, 습성, 속마음 등을 딱 신비감이 남을 정도로만 숨겨서 오히려 더 근사하게 꾸미고 있다. 어린이 영화라면 내용을 알기 쉽고 교훈도 분명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기 마련인데 이 영화는 역으로 어린이 주인공을 모호함으로 활용해 더 멋진 효과를 냈다. 그러니 돌아볼수록, 구석구석 짧게 지나가는 장면 하나하나가 들여다볼 가치가 있는 영화라는 느낌이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