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부산국제영화제]
#BIFF 3호 [기획] 양조위 배우론 : 그의 눈빛, 그 마법의 인력
2022-10-08
글 : 홍은미 (영화평론가)
부산국제영화제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 수상자 양조위 배우론

유치찬란, 난리법석, 포복절도 코믹 무협극인 <동성서취>(1993)에서 금륜국의 여왕과 사랑에 빠져 반란을 일으키는 구양봉(양조위)은 그 유명한 소시지 입술을 하고선, 연모하는 여인의 마음을 얻지 못해 안달하는 홍칠(장학우)에게 “여인의 마음을 얻으려면 눈빛이 중요하지”라고 훈수를 두며 유혹의 눈빛을 시전해 보인다. 이미 소시지 입술 때문에 웃음을 참을 수가 없는데, 황당할 정도로 멍한 구양봉의 눈빛에 웃음이 터져 나오고야 만다. 그런데 거기에 덧붙이는 말이 더하다. 아니 “내 눈빛 죽이지?”라니. 평소의 양조위가 한 말이라면 박장하며 동의할 말이지만 이 눈빛엔 그저 웃겨 죽을 노릇이다. 한편 생각해 보면 이런 양조위의 눈빛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순간이 귀하기는 하다. 최선을 다해 최고로 시원찮은 눈빛을 내비치는 양조위를 볼 수 있으니 말이다. 게다가 웃기자고 쓴 대사이긴 하지만 이 말은 의외로 예리하다. 우리가 이미 알고 있듯 양조위는 실로 대단한 눈빛을 지닌 배우이기 때문이다.

그의 눈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마구 술렁인다. 깊게 파인 입가 주름과 미간 주름, 겹겹이 접히는 이마와 눈가의 주름을 보고 있자면 저 주름들마저 연기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미간에 조금만 힘을 주어도 세모꼴로 각지는 눈매 안의 눈동자엔 순간 깊이를 가늠하기 힘든 감정이 고이고, 왼쪽이 조금 더 깊게 파인 입가 주름은 다부지면서도 묘하게 쓸쓸한 인상을 남긴다. 그래서일까. 나이보다 훨씬 오래 살아온 것 같은 이 사내는 가끔 저 홀로 오랜 세월을 견뎌온 암석처럼 느껴진다. 조금씩 마모되고 변모하기는 해도 제 속성을 잃지 않는 단단한 바위 같다는 인상을 받는다. 양조위는 홍콩의 현대사와 밀착된 인물들을 많이 연기해왔고 그의 얼굴은 또 하나의 시대상이 되기도 했다.

이 바위 같은 남자에게는 무어라 형용하기 힘든 분위기가 배어있다. 이를 고독감, 우수, 비애감 등으로 표현할 수 있을 테지만, 그보다는 강직하고 정제된 분위기가 감돈다. 얼굴과는 다소 어울리지 않는 작은 체구에 매번 놀라면서도 그의 존재를 더욱 크게 받아들이는 이유는 왜소한 체격을 압도하는 이런 분위기의 무게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특유의 분위기는 힘을 지니고 있다. 뭘 해도 되게 만든다. 말간 얼굴로 어지러운 시대에 휩쓸려간 인물을 담백하게 연기하고 있는데도 언젠가 닥쳐올 비극을 예감케 하는가 하면(<비정성시>(1989)), 거칠고 날쌘 손짓으로 이것저것 던지며 바람처럼 그의 곁을 드나드는 연인 보영(장국영)에게 신경질적으로 화를 내도, 애끓는 애정을 묵직하게 간직한 아휘의 성정을 구현하는 동력이 된다(<해피 투게더>(1997)). 또한 기품 어린 양조위의 얼굴과 몸짓은 심각한 표정으로 만두를 먹으며 번민하고, 사랑하는 여인이 구해다 준 밥통을 끌어안고서 그리운 마음을 달래고, 앙코르와트까지 가서 돌기둥에 난 틈에 비밀스러운 사랑을 묻어버리는 못난 행동을 해도 결코 우스꽝스러워지지 않으며 끝내 보는 이의 가슴을 울려버린다(<화양연화>(2000)).

양조위가 <아비정전>(1990)을 시작으로 <중경삼림>(1995), <동사서독>(1995), <해피 투게더>, <화양연화>, <2046>(2004), <일대종사>(2013)에 이르기까지 왕가위 영화의 중추가 된 배우라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특히 <화양연화>는 여러모로 놀라운 영화다. 이 영화는 홍콩의 1960년대 세간의 풍경과 정서를 살갗을 드러내듯 투명하게 그리면서도 내밀한 감정을 정밀한 구조 안에서 극도로 우아하게 그려낸다. 그리고 무엇보다 어느 영화에서도 다시는 나타나지 못할 애틋한 국수통과 밥통이 등장한다. 범상한 두 개의 통이 애틋하고 심지어 아름답게 보이는 이유는 이 농밀한 멜로드라마 안에서 시종 품위 있는 자태를 유지하는 양조위와 장만옥이 그것을 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양조위가 지닌 분위기의 중핵이 되는 건 어떤 식으로건 인물에 스며드는 기품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테면 한량처럼 유곽을 드나들며 무력하게 부유하는 <해상화>(1998)에서도, 냉혈한으로 등장하는 <색, 계>(2007)에서도 비애를 간직한 인물을 흐트러짐 하나 없이 구현해 내는 양조위의 얼굴과 몸짓에서 느껴지는 감흥의 요체를 말이다.

그리고 비애감이 감도는 이 기품 어린 얼굴은 어느 곳에 속하지도 못한 채 비극적인 운명을 짊어지고 지옥의 나락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홍콩 누아르에 새 숨을 불어넣은 <무간도>(2002)에서 양조위는 그가 아니고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인물을 구현했다. 경찰이지만 점점 범죄자의 길로 들어서는 진영인은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며 영혼이 찢겨 나가는 고통 속에 살지만, 인간으로서의 품위는 잃지 않는다. 그 품위를 지탱하는 것은 자신은 경찰이라는 신념을 결코 버릴 수 없기 때문이고 그것만이 그의 삶을 지켜준다. 그는 밝은 햇볕 아래에서도 어둠 속을 살고, 암흑 지대에서도 빛을 잃지 않기 위해 고투한다. 이런 진영인의 캐릭터를 <암화>(1998)에서 양조위가 연기한 타락한 경찰 샘과 나란히 두고 보는 건 흥미로운 일이다. 진영인이 심리적으로 무간지옥을 살아간다면 샘은 무간지옥 자체를 살아간다. 샘에게는 버림받은 짐승의 비애가 배어있다. 이 타락한 경찰에게는 어떤 동정의 여지도 주어지지 않는다. <무간도>가 물기 가득한 감정을 품은 누아르라면 <암화>는 감정을 휘발시키는 누아르다. 양조위는 깊이의 끝을 알 수 없는 눈빛으로 두 세계의 중심에 자리한다.

생각해 보면 신기한 일이다. 양조위는 풍부한 표정의 소유자가 아니다. 정확히는 다채로운 표정과 제스처를 훌륭하게 취할 수 있는 배우이기는 하지만 대체로 표현을 아낀다. 그럼에도 그의 얼굴은 수많은 감정을 꽉 머금고 있다. 그리고선 얼굴의 근육을 조금씩 움직이며 그 감정들을 발현시킨다. 그는 시대의 얼굴이 되기도 하고 절절한 멜로드라마의 격랑 속으로 우리를 몰아가기도 하며 그저 눈빛만으로도 우리를 격렬하게 끌어당긴다. 아주 근사한 인력이며 유일무이한 힘이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