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 로기완임다. 이 땅이 어떤 지옥이라도 죽지 않고 살아내겠다는 다짐 하나로 예까지 왔습니다.” <화란>에 이어 송중기가 또 한번 세상과 외로이 싸우며 머물 수도 떠날 수도 없는 남자를 연기한다. 난민의 지위를 인정받고자 벨기에 브뤼셀에 온 탈북민 로기완의 인생은 수난의 연속이다. 기완은 어떻게든 살아내려 발버둥치면서도 스스로 행복할 자격이 있는지 반문하고, 어느 땅이든 살 권리도 떠날 권리도 없다며 자학한다. 민주시민으로서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조차 고민해야 하는 신세. 하지만 기완은 고통 속에서 마리(최성은)를 만난 후 처음으로 누군가를 그리고 자신을 구하고 싶어진다.
- 드라마 <성균관 스캔들> <재벌집 막내아들>에 이어 원작 소설이 존재하는 작품에 출연했다. 이런 경우 원작을 읽고 연기하는 편인가.
= 매번 다르다. <성균관 스캔들>의 경우 김원석 감독님의 권유로 원작 소설을 읽었고, <재벌집 막내아들>을 찍을 땐 원작을 보는 게 도움이 안될 수도 있다는 조언을 들어서 읽지 않았다. <로기완>은 읽어야 할 것 같았다. 조해진 작가의 <로기완을 만났다> 속 정서를 연기에 많이 가져왔다. 영화를 찍는 내내 나를 지배한 감정은 죄책감인데, 이를 원작에서 찾았다. 마리에게 “내가 행복할 자격이 있는 사람인가”라고 묻는 대사도 소설에서 찾은 죄책감에서 비롯한 대사다. 김희진 감독님에게 이 대사를 작품에 넣고 싶다고 말씀드렸을 때 적극 반영해주셨다.
- 7년 전 <로기완>을 제안받았지만 한 차례 거절한 것으로 안다.
= 당시 <로기완>을 최종 고사한 이유는 작품의 후반부가 내 안에서 해결이 안됐기 때문이다. 기완은 생존이 중요한 사람인데, 영화 후반 등장하는 기완의 로맨스에 도저히 공감할 수 없었다. 그래서 용필름의 임승용 대표에게 “이 정도의 죄책감을 가진 친구가 낯선 땅에서 왜 사랑 타령을 해요? 지금 로기완이 사랑을 논할 자격이나 돼요?”라고 묻기도 했다. 솔직히 그간 <로기완>을 거절한 걸 후회하고 있었다. 7년이 지나 다시 읽은 <로기완>의 시나리오는 세부는 조금 바뀌었지만 큰 틀은 전과 같았다. 그런데 그새 나이가 들어서인지 이젠 기완의 멜로 플롯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잘 살고 싶은 사람이라면 사랑이든 우정이든 그 마음을 지닌 채 살아야 하지 않을까 하고 자연스럽게 생각했다.
- 영화 초반 마치 무성영화처럼 대사 없이 몸짓과 표정으로만 기완의 고난을 표현하는 시퀀스가 이어진다. 몸의 연기로만 기완의 수많은 처절함을 표현 한다는 점에서 언뜻 <늑대소년>(2012) 속 연기가 떠올랐다.
= <늑대소년>을 찍은 후 배운 점이 많다. 대사가 없다는 건 배우에게 가장 큰 무기 하나가 없어지는 셈이다. 그때 관객들의 반응을 보며 대사 없이도 시나리오에 대한 믿음만 있으면 배우는 불안해할 필요가 없다는 걸 느꼈다. <늑대소년>의 경험을 근간으로 <로기완>의 시나리오를 믿었다. 우리의 내러티브를 믿자는 마음이었다. 내 영화에 말을 얹긴 그렇지만(웃음) 초반 시퀀스가 묵직한 감정으로 잘 흘러갔던 것 같다.
- 기완의 어머니 옥희(김성령)는 기완에게 “네 이름 걸고 사람답게 살라”는 유언을 남긴다. 본명으로 활동 중인 배우에겐 위 대사가 어떻게 다가왔나.
= 왜 나는 활동명을 안 썼을까, 생각한 때도 있었다. 어디서든 불편한 때가 분명 있거든.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면 예명을 썼다면 내 성정과 안 맞았을 것 같다. 옥희의 유언이 기완에게 지니는 의미는 앞서 말한 죄책감과 연관이 있다. 원작 소설의 기완은 스스로를 학대하고 자격지심도 세다. 기완은 평생 숨어만 살았고 엄마를 보살피지도 못했는데 엄마가 자기를 구하다 세상을 떠나니 더욱 죄의식 속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아마 엄마의 유언도 기완에겐 와닿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기완은 마리를 만난 후 ‘잘 살고’ 싶어지고, 사람답게 살고 싶어진다.
- 기완과 마리는 돌아갈 곳이 없는 사람이라는 점에서, 어머니를 잃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그 외에 기완이 마리에게 감응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어디서 찾았나.
= 이에 관해 최성은 배우와 이야기를 나눈 적 있다. 두 사람 중 누구의 사연이 더 험한지 비교할 수 없다고 봤다. 인간은 아무리 내 곁의 누군가가 큰 병에 걸렸다고 해도 당장 내 손톱 밑 가시가 아픈 존재 아닌가. 기완의 눈에 어느 순간 마리가 훨씬 불안정하고 나약한 존재로 비칠 거란 생각이 들었다. 기완은 마리의 거친 대사 속에 숨겨진 “날 좀 살려줘”라는 발악을 발견했을 것이고, 마리 또한 기완의 “내가 행복할 자격이 있을까”라는 대사에서 ‘행복할 자격이 있다는 말이 듣고 싶어’라는 진의를 알아챘을 것이다.
- 기완은 줄곧 담담하다. 감정을 폭발시키기보다 내내 안으로 파고드는 연기가 기완을 연기하는 데 필요하다고 생각했나.
= 감정을 폭발시키면 연기하는 배우는 시원할 수 있지만 관객은 그렇지 않을 것이란 판단이 섰다. 연기자가 울어서 슬픈 게 아니라, 관객이 슬퍼서 울어야 하지 않나. 기완이 한번 울면 관객의 연민을 부를 순 있겠지만 계속 울면 거부감만 들 것 같았다. <나, 다니엘 블레이크>를 봐도 배우들이 내내 머금는 연기를 하지 않나. 기완이 처한 답답함과 눅진함을 가져가고 싶었다.
- 김희진 감독도 기완을 “낙담하지 않으며 품위를 지키는 인물”이라 요약한 바 있다.
= 나도 그 말을 감독님으로부터 들었다. 철저히 동의했다. 기구한 사연으로 가득한 캐릭터가 품위를 갖추면 관객에게 더욱 짠하게 다가올 것 같았다. 언젠가 연기하다 나도 모르게 감정이 끓어올라 “씨”라며 불쾌한 감탄사를 애드리브로 뱉은 적이 있다. 그때 감독님에게 “중기씨, 사연은 알겠는데 기완은 ‘씨’라는 말은 안 해요”라는 디렉션을 받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