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영화 <살인의 추억>은?
2003-04-18

미궁 빠지는 연쇄살인, 닮아가는 다른 두 형사

살인의 추억? 이상한 제목이다. 추억이라는 건 좋은 기억, 최소한 끔찍하지는 않은 기억을 돌이킬 때 쓰는 말 아닌가. 이 제목은 암암리에 살인의 끔찍함이 잊혀졌음을 전제로 삼는다. <플란다스의 개>에 이은 봉준호 감독의 두번째 장편 <살인의 추억>은 화성연쇄살인 사건을 다룬 ‘실화극’이다. 1986년부터 1991년까지 10차례 발생한 이 사건의 범인은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희생자만 남고, 범죄의 주체도 이유도 모른 채 잊혀가는 사건. 거기에 ‘추억’이라는 역설적인 표현을 붙인 제목에서부터, 영화가 연쇄살인극에 더해 시대극이자 사회극이 될 것임을 예고한다.

주인공은 사건 발생 당시 화성경찰서 형사인 박두만(송강호)과, 잇따라 사건이 터지자 서울에서 파견돼온 형사 서태윤(김상경). “대한민국 형사는 두 발로 수사한다”는 두만은 과학수사를 할 의지도 능력도 없이 피의자를 두들겨패고 본다. 습관적으로 고문에 의한 자백에 의존하는 두만은, 과연 심증이라도 있는 건지 의심이 가는 구악 경찰이다. “서류는 절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는 태윤은 두만보다는 합리적이다. 두만이 거짓자백 받은 피의자의 구속영장을 청구하고 언론에 공개까지 했다가 영장이 기각되는 망신을 당한 뒤, 태윤의 입지가 커지고 수사도 보다 과학적으로 이뤄진다.

그러나 강간 살해되는 여자는 늘어가고, 단서는 전혀 잡히지 않자 태윤도 두만을 닮아가기 시작한다. 부천서 성고문사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잇따라 터지던 80년대의 경찰에 대한 묘사가 워낙 사실적이어서 되레 능청맞아 보일 정도지만 그걸 비판하는 건 영화의 목적이 아니다. 실마리를 잡지 못하는 데서 오는 형사들의 답답함이, 사건의 처참함과 함께 서서히 고조되다가 정점으로 치닫는다. 마침내 범인이 실종된 살인이라는 행위 그 자체가 한 명의 거인이 돼 농촌마을에 거대한 그늘을 드리우고 서 있는 그림을 관객의 머리 속에 완성시킨다. 그리곤 시작 때처럼 광활한 보리밭으로 돌아온다. 17년이 지난 그곳엔 잔잔한 바람이 일 뿐 아무런 변화도 없다. 그래서 더 섬뜩하다. 그 보리밭에서 사람이 살인을 추억하는 게 아니라, 살인이 자기 과거를 추억하고 있는 것만 같다.

살인사건 수사의 전개는 잘 만든 연쇄살인 영화의 긴장감을 고스란히 살려 가고, 두 형사의 갈등 구도나 거기서 빚어지는 유머는 형사 버디 영화의 묘미를 놓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그 시대의 사회상은 물론, 그곳의 공기까지 실어나르는 <살인의 추억>은 올해 나온 한국 영화 가운데 최고의 화제작이 될 것 같다. 임범 기자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