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플먼트 & 코멘터리]
<빈 집> 영화 만드는 감독 vs 영화 읽는 평론가
2005-06-01
글 : 김송호 (익스트림무비 스탭)

영화 속에서 가장 편안하게 묘사된 공간인 한옥.

글만큼이나 꼼꼼한 음성해설로 유명한 정성일 평론가와 김기덕 감독의 ‘대담’인 <빈 집>의 코멘터리는 장면의 상황과 구도 등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등장인물의 사소한 동작까지도 놓치지 않는다. 간혹 평론가의 어렵고 심각한 질문에 대해, ‘별 생각 없이 찍었죠’라는 식의 간단한 대답을 들으면 역시 보는 쪽과 만드는 쪽 입장의 차이를 재확인하는 것 같아 재미있다.

물론 두 사람이 정확한 의견일치를 보는 부분이 딱 한 군데 있기는 하다. 극중의 인물에게라기보다 관객에게 영화의 의미를 설명해주는 의도가 선명했던 교도관의 대사다. 너무나 작위적으로 보이는 이 대사의 해설을 들으면, 결국 감독은 영화가 관객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전보다 더 민감하게 의식하고 있었음을 알게 된다. 선혈과 폭력이 낭자하여 ‘불편하다’는 소리를 듣곤 했던 전작들보다 훨씬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높았던 <빈 집>을 말하면서 조차 말이다.

영화를 닫으면서 남긴 그의 마지막 말이 인상 깊다. ‘우리 모두가 빈 집이라고 생각한다. 세상에 불가항력을 느낄수록 문을 잠그지 말아야 한다.’ 그럴수록 문을 열고 받아들이며 정면 돌파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김기덕 감독이 이승연 누드집 파문이 한창일 때 장본인을 캐스팅한 일화와도 연결된다.

최근 신작 <활>의 배급 및 홍보 방식과 관련된 일련의 이야기들을 지켜보면서 김기덕 감독이야말로 (진심으로, 역설적인 과정을 거쳐서라도) 이해받고 싶어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빈 집>의 코멘터리를 듣고 나니 그러한 생각은 확신으로 굳는다.

김기덕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총은 남자가 위험한 존재일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여정을 거치면서 남녀는 모자로, 남매로, 계속적인 관계 변화를 겪는다.

이승연의 누드 사진은 영화 밖 상황에 대한 정면돌파의 의미였을 것이다.
<악어>를 연상시키는 한강 다리. 감독이 잃지 않고자 하는 어떤 근저이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