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타]
코르셋과 드레스는 더이상 입지 않겠어요, 헬레나 본햄 카터
2001-08-15
글 : 위정훈

켈트족의 후예답게 새하얀 피부, 부서질 듯 섬약한 눈동자, 내 의지대로 세상을 헤쳐나가겠다는 오만한 턱선을 가진 영국의 장미. <전망좋은 방>(1986)에서 헬레나 본햄 카터는 치렁치렁한 머리와 드레스 자락을 펄럭이며 섬세한 오만함과 사랑스러운 건방짐을 동시에 갖춘 귀족 아가씨의 아이콘으로 우리 앞에 나타났다.

“<혹성탈출>은 코르셋을 잠재우려는 꽤나 극단적인, 최후의 시도였다. 그러나 난 약간 사도마조히즘적인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코르셋의 구속에선 벗어났지만, 여전히 머리와 얼굴을 압박당하고 있으니까.” 이 뼈있는 농담 속엔 그녀의 이력이 그대로 드러난다. 1985년, 영화 데뷔작 <레이디 제인>을 본 제임스 아이보리 감독은 <전망좋은 방>에서 오만하지만 사랑스러운 귀족 아가씨 루시 역에 그녀를 기용했다. <전망좋은 방>이 아카데미 8개 부문 후보에 오르는 등 성공을 거둔 뒤, 그녀는 영문학과 철학을 공부하던 케임브리지대학을 떠나 본격적인 연기자의 꿈을 펼쳤다. 그러나 시대극의 그림자가 어딜 가든 따라붙었다. 고전적인 마스크가 오히려 독이 된 것이다. 오필리어에서 올리비에로, 시대극에서 시대극으로, E. M. 포스터에서 셰익스피어로. <모리스>(1987), <햄릿>(1990), <하워즈 엔드>(1992) 등을 거치며 배우로서 한계에 이른 게 아닐까 초조해지기 시작했다. 시대극의 울 안에 갇히고 싶지 않았던 ‘영국의 장미’는 ‘미국의 여피’로 외도를 감행한다. 우디 앨런의 <마이티 아프로디테>(1995)에서 아기를 낳기는 싫지만 키우고 싶어 입양하는 화가 아만다 역은 작은 변신이었다. 그러나 시대극은 헬레나 본햄 카터를 원했고, 그녀는 케네스 브래너의 <십이야>(1996), <도브>(The Wings of the Dove·1997) 등 시대극의 아이콘 역할을 계속했다. <도브>는 그 정점에 있는 작품이었다.

1999년, 탈출의 기회가 왔다. 데비이드 핀처의 <파이트 클럽>이었다. 현대인의 불안하고 무정부주의적인 자의식을 그린 이 영화에서 헬레나 본햄 카터는 치렁치렁한 머리를 모던하게 커트하고 마약과 섹스에 절어 흐느적거리는 여인 말리로 등장, 이전 이미지를 성공적으로 전복했다. <혹성탈출>의 휴머니스트 원숭이 아리는 한발짝 더 나아갔다. “팀 버튼이 내가 누군가를 닮아서 캐스팅하지 않았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 덕분에 내가 닮은 누군가처럼 행동해야 하는 제약이 없었으니까. 연기를 할 때는 캐릭터에 몰입해서 그 캐릭터의 모습을 드러낸 것 같다가도 다음에 그걸 보면 ‘아니야, 저건 결국 나야’ 하고 생각했다. 이번엔 적어도 내가 누구처럼 보여야 한다는 부담은 없었다.” <혹성탈출>을 촬영하면서 원숭이로 분한 다른 배우들처럼 헬레나 본햄 카터도 매일 새벽 2시에 일어나 2시30분에는 분장의자에 앉곤 했다. 그리고 4시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분장과 분장을 지우는 데 걸리는 45분을 참아냈다. 90일 동안. “분장은 말하자면, 아주 공들여 끼워맞춘 고무와 아교덩어리였다. 우리는 모두 고무손을 갖고 있었다. 화장실에 가는 건 악몽이었다. 손을 벗겨내야 했으니까. 점심을 먹을 때, 입이 어디 있는지 알 수 없어 입을 찾기 위해 거울이 필요했던 것도.”

그녀가 다시 시대극으로 돌아갈까? 라파엘 전파의 그림에서 막 빠져나온 듯 고혹적인 숙녀의 이미지는 당분간 없을 듯하다. 한 치과의사가 섹시한 여자환자의 꾐에 넘어가 약을 처방해준 뒤 살인혐의를 받는 소동을 그린 독립영화 <노보카인>(2001)과 한 남자가 고향인 호주로 돌아가서 예전에 알았던 여인의 유령을 만난다는 <사람의 목소리가 우리를 깨울 때까지>(Till Human Voices Wake Us·2001)는 둘 다 시대극이 아니니까.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