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핑 베토벤>의 주인공으로, 베토벤(에드 해리스)의 말년을 함께한 악보 필사가이자 작곡가 지망생 안나 홀츠(다이앤 크루거)는 명백한 가상의 인물. 처음으로 베토벤의 악보를 필사한 그녀는, 어째서 멋대로 바꾸어 필사했냐고 묻는 베토벤에게 말한다. “바꾼(change) 것이 아니라 고친(correct) 것”이라고. 아그네츠카 홀랜드는 대선배의 명성에 짓눌리지 않고 그의 세계를 이해하려고 노력했던 안나 홀츠처럼 이 영화를 완성했다. 이런 삶을 살았다면 그의 말년도 조금은 행복했으리라는 가정은, 베토벤의 음악 세계를 좀더 잘 드러내는 훌륭한 도구다. 폴란드에서 태어나 체코에서 영화를 공부한 홀랜드는 <세 가지색 블루> <세 가지색 화이트> <당통> 등 크지슈토프 키에슬로프스키, 안제이 바이다 등의 영화에 각본가로 참가했다(<카핑 베토벤> 속 안나와 베토벤의 관계에 자신과 안제이 바이다의 애증어린 사제지간이 암시된다). 살기 위해 나치가 된 유대인 소년이 주인공인 <유로파 유로파>로 예술적 능력을 인정받은 그는 <비밀의 화원> <토탈 이클립스> 등을 만들며 할리우드에 안착했다. 홀랜드의 영화에는 남성들의 세계에서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여성성을 이야기하려는 조심성이 배어 있다. 강인한 내면을 지닌 여성이 주인공이거나, 남성성이 지배하는 사회에 대한 비판이 드러난다. 오는 10월11일 한국 개봉을 앞둔 <카핑 베토벤>에 대한 질문을 서면으로 보냈다. 칼 같이 돌아온 답변에선 인물과 영화에 대한 애정과 함께, 온전히 자신의 능력으로 정글에서 살아남은 여성의 여유가 느껴졌다.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장면은 <합창교향곡>의 초연장면이다. 전곡이 너무 길어 모두 담을 수 없었을 테니 어떤 부분을 택할 것인가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었을까.
=교향곡 전체를 사용하는 것은 경제적인 이유뿐 아니라 음악적인 면에서 불가능했다. 가장 완벽하면서도 감정적으로 존경하게 만들 수 있는 편집을 생각했다. 전곡을 들은 것 같은 느낌과 함께 영혼과 귀로 이 음악을 처음 듣는 듯한 느낌을 주고 싶었다. 가장 유명한 4악장 외에도 아름다운 3악장을 사용했는데, 3악장은 베토벤이 숲속을 거니는 장면에서도 나온다. 또한 이 장면의 컨셉을 잡을 때는 스토리보드 아티스트이자 B팀 연출을 맡은 나의 딸 카시아 애더믹과 함께했다. 그 장면에 풍부한 감성이 실리고, 일종의 러브신과 같은 느낌이 나길 바랐다. 관객이 거기서 눈물을 흘린다면 슬퍼서가 아니라 그 광경이 너무나 아름답기 때문이다. 카메라의 동선, 빛의 움직임, 편집 등 매우 서정적인 분할이 필요했다. 3일밖에 없었기 때문에 600대의 카메라를 동원했다. 배우들은 수개월 동안 지휘법을 배웠고, 에드 해리스는 9번 교향곡을 악보없이 오케스트라 지휘가 가능한 수준에 이르렀다.
-베토벤의 일생 중에서 <합창교향곡>부터 임종까지를 다룬 이유는 무엇인가.
=<합창교향곡>으로 대대적인 성공을 거둔 직후, 죽기 직전에 베토벤이 만든 현악 4중주 <대푸가>는 엄청난 실패를 기록했는데, 그 대조는 매우 드라마틱하다. 실제로 나는 베토벤의 마지막 현악 4중주를 무척 좋아하는데, 그곡은 베토벤의 음악 중에서도 어렵고도 아름답다. 9번 교향곡의 성공 뒤에 베토벤은 매우 원초적이고 위험한 어둠의 영역을 탐험한 것 같다. 그는 최초의 진정한 낭만주의 예술가였다.
-영화 곳곳에 포진한 베토벤의 기행에 대한 묘사가 흥미롭다. 실제에서 착안한 디테일인가.
=베토벤은 기행, 공격성, 심지어는 폭력적인 성향으로 유명하고 이에 대한 기록도 많다. 그런 표면 속에 감춰진 예술가 베토벤의 위대함과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싶었다. 그가 청각장애를 앓으면서 지휘에 임했던 것도 사실이고, 당시 오케스트라는 베토벤이 지휘대에 서 있더라도 다른 지휘자를 따라야 했다. 그리고 9번 교향곡 초연 이후 환호를 듣지 못하는 베토벤을 돌려서 관객을 바라보게 한 것은 실제로 여성 성악가였다.
-애초 안나는 베토벤의 마지막 현악 4중주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녀는 베토벤의 진정한 솔메이트가 아니었던 건가.
=안나가 마차를 타고 베토벤에게 갈 때 그 곡이 그녀의 머릿속에 연주되는 첫 번째 시퀀스는 안나가 베토벤의 임종을 앞두고 비로소 그 곡을 이해했음을 보여준다. 그 곡은 극단적으로 어려워서, 심지어 오늘날의 사람들도 그 곡이 베토벤의 광기에서 비롯됐다고 생각할 정도다. 반면 안나는 천재가 아니고, <대푸가>의 복잡성을 이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만 했다. 관객 역시 안나를 매개로 하여, 푸가를 좀더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랐다.
-베토벤의 말년에, 안나 홀츠와 같은 여성은 아니어도 그에 버금가는 솔메이트가 존재했다는 기록이 있나.
=베토벤에게도 그를 이해하고 음악을 후원하는 몇몇 친구와 제자가 있었다. 13살의 감성이 풍부한 소년부터 여성 제자도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그의 외로움을 어루만지려 노력하며 그의 음악을 후대에 전하려했다. <카핑 베토벤>의 안나 홀츠는 각본가와 내가 베토벤에게 선사하는 일종의 선물이다.
-베토벤을 다룬 또 다른 영화 <불멸의 연인>,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천재작곡가 영화 <아마데우스> 등과 구분되는 <카핑 베토벤>의 가장 큰 특징이 무엇인가.
=<불멸의 연인>은 베토벤의 사랑을 그리는 데 치중한 영화로 그 접근방식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나는 음악이 영화의 주인공이 되기를 바랐다. 우리끼리의 농담으로, 영화의 주인공은 안나와 베토벤, 그리고 9번 교향곡과 <대푸가>라고 말하곤 했다. <아마데우스>는 내가 영화를 공부한 체코 출신 감독 밀로스 포먼이 연출했고 나는 그의 감수성, 재능, 유머, 에너지를 좋아한다. 그러나 그 영화 역시 음악보다는 범인과 천재 사이의 질투에 대한 영화라고 봐야 한다. 물론 범인과 천재의 대비는 <카핑 베토벤>에도 있지만, 여기서는 매우 다른 방식으로 묘사된다.
-한동안 즈비그뉴 프라이스너 음악감독과 함께했다. <카핑 베토벤>의 음악은 누가, 어떤 식으로 맡았나.
=파리의 평론가 출신인 피오트르 카민스키가 음악 컨설턴트였고 따로 음악감독은 없었다. 그는 극중에서 안나가 만드는 곡을 작곡했다. 9번 교향곡을 작곡하는 역순으로 분해한 또 다른 사람이 있었다. 대부분의 음악은 각본 단계부터 정해져 있었다. 나는 기본적으로 영화 속 모든 음악은 베토벤의 음악이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여러 다른 버전의 앨범을 들어봤다. 7번과 9번 교향곡을 제외하면 현악 4중주와 솔로 피아노곡을 사용하고 싶었다.
-<카핑 베토벤>은 예술사 전반에 팽배한 남성성에 대한 영화이기도 하다.
=유명한 여성 예술가가 되는 건 (남자에 비해) 항상 어려운 일이었다. 음악을 비롯해서 여러 예술분야는 아직도 남성들의 세계다. 성공하기 위해 우리 여성들은 좀더 강하고 훌륭해져야 한다. 19세기 문학에서는 브론테 자매, 제인 오스틴 등 꽤 많은 위대한 작가가 탄생했지만, 그에 비할 만한 작곡가를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 영화를 만들 때 안나의 캐릭터는 그녀와 같은 해에 태어난 프랑스 여류작곡가에게서 영감을 얻었다.
-여성감독으로서 본인의 이야기가 반영됐을 것 같다.
=감독 역시 여자가 성공하기란 남자보다 훨씬 어렵다. 안나의 캐릭터에 나의 포부와 의구심, 두려움 등을 담으려 했다. 베토벤을 향한 안나의 열망은 전세대 위대한 감독들에 대한 나의 열망을 보여준다. 안나의 공격적인 자아는 나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 나는 진심으로 여성의 리더십이 세계의 미래를 좌우할 것이라 믿는다.
글 오정연·사진제공 영화사 도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