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혁웅의 일상어 사전]
[권혁웅의 일상어 사전] 삼삼한데?
2014-06-27
글 : 권혁웅 (시인)
[ 삼사만데: ]

겉뜻 상대의 외모가 매력적이어서 끌린다는 말 속뜻 자신이 궁지에 빠졌음을 고백하는 말

주석 페이스북을 하다보면 날씬하고 예쁘고 식탐이 있는 미녀들의 사진이 친구 추천으로 자주 뜬다. 내 친구 중에는 없는데, 어째서 친구의 친구들은 하나같이 먹을 걸 밝히는데도 저렇게 날씬하고 예쁠까? 그럴 때면 저절로 신음하듯 저 단어를 내뱉게 된다.

사전에서는 삼삼하다는 말이 ‘어떤 사람의 외모가 매력적이어서 마음에 끌리는 데가 있다’ 혹은 ‘어떤 모습이나 풍경이 눈에 보이는 것처럼 잊히지 않고 또렷하다’로 되어 있다. 매혹은 시선과 관련되어 있는 특징이다. 그런데 사실 ‘본다’는 것은 보는 사람에게 속한 능력이 아니라 보이는 사람에게 속한 능력이다. 내가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 대상이 내 시선을 갈취해가는 것이다. 그이가 나를 끌고 간 게 아닌데도 나는 그이에게 끌린다. 누군가 그립다고 할 때 쓰는 말, ‘눈에 밟힌다’가 수동인 것도 이 때문이다. 내 눈이 그이를 떠올린 게 아니다. 그이가 내 눈을 밟고 지나가는 거다.

시선이 내 것이라면 결정권은 내게 있었으리라. 그랬다면 나는 보고 싶은 것을 보고, 보고 싶지 않은 것을 보지 않았으리라. 사정은 그렇지 않아서 나는 보고 싶은 것을 보는 것이 아니라 보라고 강요당하는 것을 본다. 나는 보아야 하는 것, 볼 수밖에 없는 것을 보고 싶다고 말하는 것이다. 당신이 보고 싶어서 두눈이 빠질 뻔했다고 나는 말한다. 내가 뺀 건 아니지만 어쩌겠는가? 나는 내 두눈을 당신에게 준다.

어쩌면 저 ‘삼삼’은 오목에서 온 말이 아니었을까? 오목은 바둑알 다섯을 일렬로 세우면 이기는 게임이다. 종횡으로 사선으로 바둑알들을 늘어놓아 공격하는데, 상대가 세알을 나란히 두면 반드시 막아야 한다. 양쪽이 열린 네알에는 대처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오목은 먼저 네알을 나란히 두면 이기는 게임인 셈인데, 사실은 이기는 방법이 하나 더 있다. 오목에서는 너무 흔하게 나오는 진형이어서 세알로 된 두줄을 동시에 펼치는 일이 금지되어 있다. 이것을 삼삼(3×3)이라고 하며, 상대가 삼삼을 두개 만들면 이긴다. 외통수다.

그 사람이 삼삼하다고? 당신은 지금 외통수에 걸렸다. 그 사람에 대한 매혹이 너무 커서 당신은 결코 빠져나올 수가 없다. 오늘도 페이스북에서는 날씬하고 예쁘고 음식 사진들 잔뜩 올려두는 미녀들 앞에서 ‘친구수락 감사합니다’를 붙이는 수많은 친구들이 있다. 삼삼에 걸려 어쩔 수 없이 ‘좋아요’를 누르는 이들이 있다.

용례 <생활의 발견>에서 경수(김상경)는 명숙(예지원)과 선영(추상미)을 유혹하는 데 성공한다. 그런데 정말로 그는 성공한 것일까? 선영의 집 앞을 얼쩡거리다가 남편에게 들켜 “캔 유 스피크 잉글리시?”를 외치며 달아나는 그가? 거미줄에 걸려 파닥이는 건 그녀들이 아니라 바로 그였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