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人]
[영화人] 수중촬영은 가능성 큰 분야 - <4등> 김준희 수중촬영 감독
2016-05-06
글 : 정지혜 (객원기자)
사진 : 손홍주 (사진팀 선임기자)

2016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가려진 시간> <역전의 날> 2015 <4등> <고산자> <미씽: 사라진 아이> <궁합> <순정> <로봇, 소리> <오빠생각> 2014 <내 심장을 쏴라> <순수의 시대> <해무> <해적: 바다로 간 산적> 2013 <협녀, 칼의 기억> <노브레싱> 2012 <점쟁이들> 2010 <헬로우 고스트> 외 다수

<4등>은 수영대회만 나갔다 하면 4등인 준호(유재상)가 수영 때문에 울고 웃게 되는 수영영화로, 수중촬영 전문 업체인 씨플렉스 김준희 대표가 수중촬영 감독으로 참여했다. “촬영 장소로 좋을 곳을 연출부에게 알려주는 것도 수중촬영팀의 몫이다. 물속에서 장시간 촬영하는 배우의 체온 유지를 위해 수온 조절도 수시로 필요하다.” 준호가 수영장에서 유영하는 장면은 김준희 대표가 공기통 장착 없이 스노쿨링과 자가호흡에만 의존해 배우를 쫓아가 찍었다. <4등>의 수중 신은 김 대표와 강현규 촬영팀원, 명진희 슈퍼바이저 3명이 만들어냈다. “수중촬영에 입문했을 땐 모든 팀원이 다 물속에 들어갔다. 촬영자의 수신호를 이해해 감독에게 물속 상황을 전달하는 슈퍼바이저가 절실했다. 씨플렉스는 작품마다 슈퍼바이저를 꼭 둔다.” 수중촬영에 관심 있는 이는 김 대표의 다음의 말을 기억해야 한다. “수억원대의 카메라 장비를 끌고 물속으로 들어가는 일이다.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장비 관리 소홀은 전적으로 사람 잘못이다.” 촬영 기술보다 장비와 촬영지에 대한 학습이 선행돼야 한다. 예컨대 미세한 진흙이 많은 민물, 염분이 높은 열대 바다 등 촬영 환경의 특성을 알고 있어야 장비 세척도 맞춤으로 가능하다.

스킨스쿠버 전문가로 일하던 김 대표는 방송용 다큐멘터리로 수중촬영을 접했다. 수중촬영을 전문적으로 가르쳐주는 곳이 없어 외국 온라인 사이트에서 수중촬영 기술과 장비 관련 자료를 보고 번역기를 돌려가며 공부했고 물속에 들어가 적용하길 10여년이다. “영화 전공자도 아니어서 필름으로 찍는 건 엄두가 안 났다. 디지털카메라가 도입되면서 내게도 가능성이 열렸다. <헬로우 고스트> 때 국내 최초로 디지털 시네마 수중촬영 장비인 레드 원 수중 하우징을 도입해 호평을 받았다.” 기술 개발에도 열을 올렸다. “아시아 최초로 알렉사 수중 하우징을 개발했다. 국내에선 처음으로 UHD 4K 3D 수중촬영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수중조명도 개발했다. 자연광이나 물 밖 조명을 쓰면 얼룩이 생겨 CG 작업팀이 애를 먹는다. 수중에서 사용 가능한 LED 조명판 등을 만들어 직접 물속으로 가져가 비춘다.” 수중촬영 감독은 하우징 때문에 시야각이 좁아지고 물속에서 포커스까지 맞춰야 한다. 부력을 이겨내야 하는 체력 부담도 크다. 그만큼 전문적인 영역이다. 시장을 키우려면 인력 교육이 절실하다. “세계 시장으로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이 큰 분야다. 고양지식정보산업진흥원이 5월10일부터 31일까지 수중촬영 강좌를 연다. 직접 강사로 나서니 미래의 수중촬영자들과 만날 수 있길 바라본다.”

아쿠아 리모트 헤드

지난해 김준희 대표가 개발해 상업영화에 투입 중인 수중 리모트 하우징이다. 기존 카메라를 장착한 수중 하우징의 경우는 한 방향으로만 고정된 채 촬영이 가능했다. 그러다보니 <4등>도 수영 경기를 치르는 선수들의 모습을 한쪽 방향에서만 찍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 장비는 하우징 자체가 360도 회전할 수 있어 다양한 앵글 구현이 가능하다.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임금님의 사건 수첩> 등에서도 활용된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