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장이독자에게]
[에디토리얼_주성철 편집장] 2003년 칸국제영화제의 기억
2017-06-02
글 : 주성철

“다 쓰면 여기 좀 담아줘.” <올드보이>가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던 2003년 칸국제영화제(이하 칸영화제)가 나의 처음이자 (아마도) 마지막 칸영화제 출장이었다. 당시 내가 일하고 있던 영화주간지 <필름2.0> 선배였던 현 전주국제영화제 김영진 수석 프로그래머와 함께 칸을 누볐다. 불문학 전공자였던 그 덕분에 매일 레스토랑에서 와인에 다채로운 요리를 즐겼다면 거짓말이고, 언제 어떤 상황이건 ‘실브플레’ 한마디로 보름을 버티며 맥도널드를 내 집처럼 드나들었다. 물론 기사도 열심히 썼다. 하루는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아무도 모른다>를 울면서 보고나온 뒤 프레스 센터에 가서 리뷰를 작성하고 있었다. 충격을 안겨준 어린 주인공 야기라 유야를 비롯해 배우들에 대한 정보가 턱없이 부족했고, 연출이나 작품 스타일 또한 고레에다 감독의 이전 작품들과는 사뭇 달랐기에, 유럽의 열악한 인터넷 환경과 싸워가며 기사를 작성하는 것이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다. 그런 내 고통을 아는지 모르는지, 한 일간지 선배기자가 옆에 쓰윽 다가와서는 디스켓을 내밀며(와, 정말 옛날 사람 티난다) 바로 저렇게 얘기하며 기사 작성하는 대로 자기 디스켓에도 저장해 달라는 거였다. 그러고는 옆에 앉아 연신 투덜대며 인터넷 서핑을 하기 시작했다. “와 이래 인터넷이 느리노.”

칸영화제를 찾은 기자들의 ID 카드는 색깔에 따라 등급이 나뉘며, 그 등급대로 상영관에 입장할 수 있다. 가장 높은 화이트부터 핑크, 블루 순서인데 블루 카드인 경우 그나마 좋은 자리라도 차지하기 위해, 몇몇 경쟁부문 기대작 상영 때 영화 시작 1∼2시간 전부터 땡볕에서 줄을 서는 일도 흔하다. 해마다 칸영화제를 방문하는 <씨네21>의 경우 핑크 카드를 발급받지만, 당시 나는 블루 카드였다. <아무도 모른다>를 보기 위해 1시간 넘게 줄서 있던 블루 카드의 나를 제치고 들어갔던 핑크 카드의 그가, 정작 영화가 끝난 다음에는 내게 와서 “영화가 너무 심심해서 계속 잤어”라며 기사를 구걸하는 상황이라니. “어차피 일간지 영화제 기사란 게 ‘가벼운 리뷰’와 ‘스케치’ 정도만 있으면 되니까 베껴 쓴 줄도 모른다”는 당당함에 할 말을 잃었었다. 물론 그런 기레기들만 있는 건 아니니까 지나치게 일간지 비판으로만 읽히면 곤란한데, 아무튼 확인해보니 그는 지금도 일하고 있더라.

올해 칸영화제는 경쟁부문에 초청된 봉준호 감독의 <옥자>와 홍상수 감독의 <그 후>, 그리고 비경쟁부문의 여러 작품들을 비롯해 박찬욱 감독도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면서 예년보다 몇배 더 많은 한국 기자들이 칸을 찾았다. 그럼에도 ‘홍상수, 김민희 맞담배’, ‘홍상수, 김민희 명품 쇼핑’ 같은 제목의 기사들만 수십건씩 뜨는 걸 보니 옛 기억이 떠올라 씁쓸했다. 아니, 자발적이고도 부지런한 취재열기만큼은 뜨거워서 훨씬 나아졌다고 해야 하나. 하다못해 ‘작품 경향’이나 ‘칸의 발견’ 같은 기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그러다보니 올해 칸에 다녀온 <씨네21>의 이화정, 이주현 기자가 하루에 네댓편씩 영화를 챙겨보고 꼬박꼬박 개별 인터뷰나 기자회견에 참석하면서 기사를 전송할 때 어떤 뿌듯함도 있었다. 게다가 그때나 지금이나 열악한 인터넷, 와이파이 환경과의 싸움 속에 실패를 거듭하며 페이스북 라이브에 동영상 전송까지 하려고 낑낑댔다. 이상한 자화자찬 같은데, 아무튼 이번호 특집은 올해 칸영화제 결산기사로 주요 수상작 감독들의 인터뷰를 만날 수 있다.

한편, 정유라의 귀국에 비록 묻히긴 했지만 박찬욱 감독이 귀국과 동시에 인터뷰에 응해주었다. 동생 박찬경 감독과 함께 파킹 찬스(Parking Chance)라는 프로젝트 팀명으로 활동하는 그가 3D 신작 <격세지감>을 공개했기 때문이다. 파킹 찬스로는 <고진감래> 이후 3년 만의 작업이다. 박찬경 감독은 이와 함께 5년 만에 개인전도 갖는다. 자세한 리포트와 인터뷰는 다음 1109호에서.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