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봅시다]
<쏘아올린 불꽃, 밑에서 볼까? 옆에서 볼까?>, 이와이 순지의 첫사랑은 애니메이션이 되었다
2018-01-01
글 : 송경원
<쏘아올린 불꽃, 밑에서 볼까? 옆에서 볼까?>

긴 건 둘째치고 도대체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은 걸까. 아마도 제목만 보고는 감이 잡히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더 궁금하고 끌린다. <쏘아올린 불꽃, 밑에서 볼까? 옆에서 볼까?>(이하 <쏘아올린 불꽃>)는 1993년 이와이 순지 감독이 연출한 동명의 드라마를 애니메이션화한 작품이다. 첫사랑의 떨리는 순간을 포착하여 아름답게 그려낸 이야기는 보기에 따라서 다소 빈약하거나 산만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혹여 오해를 받을까 우려스러워 이 감성에 좀더 촉촉이 젖을 수 있도록 짧은 가이드를 전한다. 조금만 고개를 돌리면 전에 보지 못한 풍경들이 펼쳐질지도?

이와이 순지의 출발

약간의 과장을 보태 말하자면 <쏘아올린 불꽃>이 없었으면 이와이 순지도 없었다. 뮤직비디오와 TV쪽 일로 업계에 발을 디딘 이와이 순지가 화제를 불러일으킨 건 1993년 <후지TV> 드라마 <만약에>의 에피소드를 발표하면서부터다. 당시 TV드라마임에도 불구하고 수정 버전이 영화로 개봉된 후 94년 일본영화감독협회의 신인상을 수상했다. 화사하고 뽀얀 화면, 첫사랑 이야기 등 이후 이와이 순지 코드라 할 만한 요소들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불꽃놀이를 앞둔 바닷가, 아이들은 쏘아올린 불꽃을 옆에서 보면 둥글지 납작할지를 두고 내기를 벌인다. 원작 드라마 포맷인 ‘만약의 세계’와는 다른 전개를 구상했던 이와이 순지 감독은 이후 영상화하지 못한 에피소드를 재구성하여 책으로 냈다. 그게 바로 소설 <소년들은 불꽃놀이를 옆에서 보고 싶었다>다. 이 소설의 제목은 이와이 순지가 드라마 제목으로 쓰려고 했지만 당시에는 제작진과 의견이 맞지 않아 좌절됐다. 긴 시간을 지나 비로소 제 모습을 찾은 셈이다.

<시간을 달리는 소녀>

타임루프물의 매력

‘사랑은 타이밍이다.’ 이 한줄만큼 <쏘아올린 불꽃>의 본질을 정확히 설명하는 말도 없을 것 같다. 노리미치가 몰래 좋아하던 나즈나는 어머니의 재혼으로 전학을 가게 된다. 그러자 문득 나즈나가 노리미치에게 ‘사랑의 도피’를 해보자고 제안하고 둘은 마을에서 함께 도망을 친다. 하지만 이내 어머니에게 들켜 집으로 끌려가는 나즈나. 그런 나즈나를 도와주고 싶었던 노리미치는 ‘만약 그때 내가…’라는 상상을 하며 바닷가에서 주운 구슬을 던지고 그 순간 나즈나가 집으로 끌려가기 전으로 시간이 돌아간다. <쏘아올린 불꽃>은 이것 아니면 저것의 선택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애니메이션은 원작 영화가 표현의 한계로 제대로 구현하지 못했던 부분, 마음을 전하는 순간의 아름다움을 그리기 위해 같은 시간을 반복하는 타임루프의 아이디어를 빌려온다. 제대로 된 고백의 타이밍을 찾지 못했다면 발견할 때까지 반복하면 된다는 만화적 상상. 소년, 소녀의 여름방학, 타임루프 등의 조합은 언뜻 <시간을 달리는 소녀>를 연상시키는데 실제로 일본의 콘텐츠 중 그리 드문 소재는 아니다. ‘만약의 그때’가 무한 반복되는 와중에 두 사람은 진정 소중한 것을 구분할 수 있을까.

<쏘아올린 불꽃, 밑에서 볼까? 옆에서 볼까?>

오감을 사로잡는 폭죽처럼

“내가 하는 이야기는 결국은 사랑에 관한 상상들이다”라는 이와이 순지의 고백처럼 <쏘아올린 불꽃>은 폭죽이 터지는 딱 그 순간을 제대로 구현하고자 하는 영화다. 화려하게 피어나서 덧없이 사라지는 폭죽의 불꽃, 그 궤적처럼 같은 상황이 거울처럼 비추며 조금씩 다르게 반복되는 사이 분위기에 취한다. 그 모든 걸 가능케 하는 건 압도적인 수준의 작화다. <쏘아올린 불꽃> 역시 이와이 순지의 감성에 기반하고 있지만 종국에는 샤프트의 독창적인 세계관에 맞닿아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바케모노가타리> <절망선생> 등을 선보인 제작사 샤프트의 독특하면서도 아름다운 작화로 구현된 세계는 감각적이다. 아주 섬세하게 현실을 모사하고 재현한다기보다는 다소 과장된 동선과 표현들을 과감하게 사용해 캐릭터의 느낌을 살리는 데 주력한다. 특히 신보 아키유키 감독은 마니악한 전개만큼이나 충성도 높은 팬층을 거느린, 소위 ‘괴짜 천재’ 감독으로 불리는데 빠르고 현란하게 화면을 전환시키는 연출은 신보 아키유키의 장기이기도 하다. 어쩌면 찰나의 불꽃놀이 같은 쾌감을 닮은 건지도. 보는 이에 따라 다소 불친절한 전개처럼 느껴질 수도 있지만 한번 빠져들면 헤어나올 수 없는 기묘한 매력이 있다. 불꽃은 눈에 새기고 감각하는 것이지 해석하는 것이 아니다. 이 애니메이션도 그렇다. 샤프트의 트레이드 마크 중 하나인 목을 살짝 꺾는 연출이 어디서 얼마나, 몇번이나 나오는지 세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

<쏘아올린 불꽃, 밑에서 볼까? 옆에서 볼까?>
<쏘아올린 불꽃, 밑에서 볼까? 옆에서 볼까?>

듣는 애니메이션! 환상적인 O.S.T

믿고 보는 작화, 이와이 순지의 감성, 흥미로운 타임루프 소재 등 여러 매력 포인트가 있지만 결국 <쏘아올린 불꽃>을 완성하는 것은 노래다. 샤프트의 작품은 종종 ‘1분30초의 마법’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애니메이션 주제곡에 맞춘 오프닝과 엔딩의 연출만큼은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을 만큼 탁월하기 때문이다. 이번 작품도 반복되는 상황을 각기 다른 뮤직비디오로 감상하는 듯한 느낌을 안길 정도로 음악과의 조화가 감미롭다. 특히 다오코(DAOKO)와 요네즈 겐시가 듀엣으로 부른 주제곡 <쏘아올린 불꽃>(打上花火)은 애니메이션의 흥행과 무관하게 일본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모았다. 일본의 유명 싱어송라이터 중 한사람이자 보컬로이드의 프로듀서로 활동 중인 요네즈 겐시가 작사, 작곡, 프로듀싱을 맡아 특유의 몽환적인 멜로디를 선보인다. 보컬로이드의 특성상 작사, 작곡은 물론 영상과 노래까지 혼자서 다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작업 역시 일체감 높은 완성도를 선보인다. 그 밖에 나즈나 역을 맡은 배우 히로세 스즈가 부르는 <유리색 지구>(瑠璃色の地球)도 반드시 들어볼 것. 영원한 아이돌 마쓰다 세이코의 노래를 리메이크한 곡이다. 원곡을 아는 사람이라면 눈물이 주룩주룩!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