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성이 밝을 것 같은 <환절기>의 수현과 드라마 <치즈인더트랩>(2016)의 음침한 스토커 오영곤을 같은 배우가 연기했다니. 이 사실을 끝까지 알아차리지 못하는 관객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신인 지윤호가 연달아 촬영했던 두 작품은, 캐릭터부터 연기 방식까지 확연히 다르기 때문이다. 수현은 딱 그 나이 대 소년처럼 엄마 미경(배종옥)에게 어리광을 피우고 풋풋한 연애를 한다. 여기에 그가 엄마에게 자신이 동성애자라는 사실을 숨겨왔고 연인인 용준(이원근)과 함께 사고를 당한 후 혼자만 식물인간이 됐다는 설정은 ‘드러내지 않는’ 연기를 필요로 한다. 눈을 비비고 다시 얼굴을 확인하게 만드는 배우 지윤호를 만났다.
-첫 주연 영화를, 명필름랩(옛 명필름영화학교) 1기 졸업작품으로 하게 됐다.
=<치즈인더트랩>이 끝난 후 시나리오를 읽었다. 그전까지는 대체로 감정이격하거나 아예 다운이 된 캐릭터성 연기를 했는데, 중간쯤의 감정을 보여주며 물 흐르듯이 흘러가는 일상 연기를 할 수 있는 기회였다. 도전하고 싶은 장르였다. 극중 캐릭터처럼 당시에 약간 업된 상태에서 촬영에 들어갔다. 그래서 밝은 캐릭터와 당시 내 심정이 잘 맞았던 것 같다.
-용준과 수현은 연인 관계지만 성격은 굉장히 다르다.
=용준은 기본적으로 어둡지만, 수현은 밝고 사교성도 있으니까. 감독님과의 얘기를 통해 의도한 느낌은 아이 같으면서도 공부도 할 거 다 하는 엄친아였다. (웃음)
-그러다가 자동차 사고를 당한 후에는, 주로 병실에서 누워 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쉬워 보이지만 결코 쉽지 않은 연기였을 것 같다.
=연기를 하고 싶은 사람들은 표현하는 걸 좋아하지 않나. 욕심이 있다면 신 스틸러가 되어 돋보이고 싶고. 나 역시 그런 마음이 있었다. <환절기>는 내가 극의 흐름에 잘 묻어가야 하는 작품이었다. 많지 않은 신에서 튀려고 했다면 나도 죽고 영화도 죽었을 거다.
-반면 직전에 촬영한 <치즈인더트랩>에서는 분량에 비해 강한 인상을 남겼다. 오영곤은 그래야만 하는 캐릭터였고.
=극중의 흐름을 깨는 인물이라 튈 수밖에 없는 역할이었다. 당시에 연기를 하고 싶어 죽겠다는 내 욕심과, 누군가에게 집착하는 캐릭터가 잘 맞아떨어졌다. 어중간하게 하면 이도저도 아닐 수 있었을 텐데, 그때 원없이 표현할 수 있어서 반대로 욕심을 접기가 편하더라. (웃음)
-좋은 타이밍에 <환절기>를 만난 거네. <치즈인더트랩>을 끝내고 <환절기>에 들어갔던 25살 즈음이 원래 딱 욕심이 생기기 좋을 때 아닌가.
=하느님이 건방져지지 말라고 <환절기>를 주셨나보다. (웃음) 일단 20대에 연기를 한다고 하면 욕심이 없을 수 없는 거 같다. 그 욕심을 얼마나 잘 다스리고 컨트롤하느냐가, 앞으로 다가올 30대를 만드는 것 같다. 난 지금도 그리 성숙된 인간이 아니고 아직도 ‘초딩적인’ 마인드를 갖고 살지만(웃음), <환절기>를 만나면서 상대방의 생각이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거라고 받아들이게 됐다. 또 이 캐릭터를 연기하면서, 남의 대사를 계속 듣게 되더라. 상대방에게 집중하다 보니 이때까지 내가 얼마나 상대방의 말을 귀기울여 듣지 않았는지 깨달을 수 있었다. 줏대와 신념이 있는 것도 좋지만 내가 다 맞는 건 아니다. <환절기>를 하면서 그동안 갖고 있던 가치관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됐다.
-식물인간이 된 수현의 곁을 지키는 것은 대체로 미경이다. 바로 옆에서 배종옥 선배의 연기를 보면서 느끼는 바가 많았겠다.
=열정에 놀랐다. 그 정도 연륜과 경력이면 연기를 좀 대충 해도 아무도 모를 것 같은데, 대사의 끝을 올리는 게 나은지 내리는 게 나은지를 계속 고민하시더라. 밥 먹듯이 일상적으로 연기를 하실 수 있을 것 같은 분도 그러는 걸 보며 정말 반성을 많이 했다. 난 아무것도 아닌데도 내가 정해놓은 여기까지만 하면 됐다고 생각한 순간이 있었다. 정말 건방졌구나 싶더라. 그 이후로는 연기를 할 때 아직 내가 생각하지 못한 무언가가 더 있을 거라며 찾게 됐다.
-막판에 수현이 보여주는 어떤 표정에는 전에 없던 그늘이 있다.
=영화 후반부에서 <환절기>의 목적이 보이는 것 같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흘러가지만, 서로의 계절이 다르다. 어머니와 용준에게 어떤 일들이 생기는 동안, 수현이 갖고 있는 기억은 멈춰 있었다. 처음에는 이 사실을 받아들이기가 벅찼지만, 점점 어머니와 용준의 감정을 따라가며 어두워진다.
-마지막 장면은 관객마다 해석이 갈릴 것 같다. 이후 인물들의 관계가 어떻게 됐을 것 같나.
=원래 각자 다른 삶을 살던 사람들이 어느 한 부분이 맞아서 연애를 시작하고, 서로 맞춰가면서 같은 계절이 되기도 하고 서로 달라져서 멀어지기도 하지 않나. 그 정도면 서로의 계절이 달라졌다는 것을 수현도 분명히 알아차렸을 거다. 하지만 수현의 마음은 한결같을 거라고 생각하며 연기했다. 차츰차츰 시간이 계절의 갭을 좁혀주지 않았을까.
영화 2018 <환절기> 2016 <좋아해줘> 2015 <연애의 맛> TV 2017 <아르곤> 2016 <우리집에 사는 남자> 2016 <치즈인더트랩> 2014 <고교처세왕> 2012 <신의> 2011 <갈수록 기세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