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비평]
<버닝>의 냉정함에 동의할 수 없을 것 같다
2018-06-07
글 : 우혜경 (영화평론가)
이건 미스터리가 아니다

* 이 글은 스포일러로 시작합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헛간을 태우다>가 이창동의 영화 <버닝>으로 옮겨왔을 때 많은 것이 달라졌다. 이상할 것 없는 일이다. 심지어 몇몇 이들은 이 영화가 하루키보다 오히려 윌리엄 포크너의 소설에 더 닿아 있다고까지 말할 지경이다. 그러니 그 차이를 일일이 나열하는 건 어쩌면 의미 없는 일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소설과는 확연히 다른 이 영화의 엔딩만큼은 이야기하지 않을 수가 없다.

해미(전종서)의 방에서 (아마도) 소설을 쓰기 시작한 종수(유아인)를 두고 카메라는 갑자기 줌아웃을 하며 창밖으로 빠져 나온다. 전형적인 영화 엔딩의 모양새를 취했지만 사실 영화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종수가 두번 서 있던 세면대 앞에서 이번엔 벤(스티븐 연)이 렌즈를 끼고 있다. 영화 내내 종수의 시선 아래 놓였던 벤이었지만 이번엔 (그를 지켜보는) 종수가 없다. 거실에서 여자에게 화장을 해주는 벤의 모습도 마찬가지다. 장면이 바뀌면 해미와 함께 보자는 말을 믿고 벤이 종수를 만나러 나온다. 하지만 종수는 “여긴 비닐하우스가 많네요”라고 밝게 인사를 건네는 벤을 갑자기 칼로 여러 차례 찌른다. 종수의 이 느닷없는 살인에 대해 이것이 종수가 쓴 소설인지 아니면 현실인지를 두고 이야기가 많지만 사실 그건 그리 중요치 않다. 오히려 문제는 종수가 휘두른 ‘칼’에 있다.

우리는 이 칼이 어디에서 왔는지 잘 알고 있다. ‘문제’가 생겨 파주로 이사한 종수는 오랜만에 찾은 집 안 곳곳을 살펴보다 창고에서 크기별로 정리된 아버지의 칼 세트를 발견한다. 이 시점이 영화가 시작한 지 채 30분이 되지 않았을 때이니 벤을 찌르기까지 ‘칼’(나는 지금 ‘종수’라고 쓰지 않았다)은 무려 2시간 가까이 기다린 셈이다. 1막에 등장한 ‘체호프의 권총’처럼 아버지/종수의 칼은 다시 등장할 필연의 순간을 맞이하려 영화 내내 도사리고 있다. 벤을 만나기도 전에 준비돼 있던 칼은 분노를 조절하지 못했던 아버지의 기억까지 얹고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해 기다린다. 이때 생기는 두 가지 질문. 칼의 목적지는 어디인가, 그리고 왜 그곳으로 향하는가.

한 인터뷰에서 이창동은 “이 시대 젊은이들은 뭔가 표현할 수 없는 마음속 분노를 가지면서 현실에선 무기력하다. 뭔가 공정치 못하다는 생각에 분노하지만 과거와 달리 분노의 대상이나 원인을 분명히 알 수 없다”라고 이야기했다. 하지만 ‘수수께끼’ 같은 세상을 사는 젊은이들에게, 그래서 어디에 분노를 해야 하는지 알지 못하는 종수에게 영화는 되레 슬며시 칼부터 먼저 쥐어준다. 그리고 영화는 종수가 ‘뭔가 공정치 못하다는 생각’을 깨닫도록 유도하면서 동시에 마침맞게 벤을 종수 앞에 데려다놓는다. 창고에서 칼을 발견하기 직전, 그러니까 파주로 이사온 다음날 아침, 종수는 밥을 먹으며 청년실업 문제를 보도하는 뉴스를 본다. 칼을 발견한 다음, 종수는 ‘없다는 걸 잊어야만 보이는’ 고양이 ‘보일’의 밥을 챙겨주기 위해 해미네 집으로 향한다. 해도 들지 않는 북향집에서 종수는 남산을 바라보며 ‘스스로를 위로’(자위(自慰)) 한다. 그런데 이창동이 이 장면을 마치 종수가 남산타워를 바라보며 기도하는 것처럼 찍어놓았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71년 완공돼 한국 근대 자본주의 상징물과도 같은 남산타워는 중동 건설 붐의 수혜자이자 피해자인 종수의 아버지와도 자연스럽게 공명한다. 해미(와 종수)는 매일 남산타워를 바라보지만, 남산타워로부터 얻는 혜택이라곤 아주 운이 좋을 때 얻는 한줌의 햇살뿐이다. 그다음 종수는 아버지의 재판을 보러 간다. 변호사는 종수에게 학교는 마쳤는데 아직 취직은 못했냐고 힐난조로 묻고, 종수는 마치 죄인처럼 ‘글을 쓴다’고 대답한다. 다시 찾은 해미의 집에서 종수가 남산타워를 보며 두 번째 ‘기도’를 하던 중에 마치 기도에 응답이라도 받듯 아프리카에서 (벤을 데리고) 돌아온다는 해미의 전화가 걸려오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영화는 미처 깨닫지도 못했던 종수 앞에 분노조절장애가 있는 아버지를 경유해 분노와 함께 칼을 쥐어주고, 그 맞은편에 종수가 죽이도록 ‘결정’된 벤도 준비해 놓는다. 하지만 이 무서운 결정론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이상하게 벤은 스스로 그 자리에 가고 싶다는 듯 자꾸만 종수를 ‘유혹’한다. 벤은 처음 본 종수의 낡은 트럭에 기꺼이 타고, 파스타를 해준다며 (해미를 통해) 종수를 집으로 초대하거나 파주에 있는 종수의 집까지 찾아가기도 한다. 또 종수가 좋아하는 포크너의 소설을 읽고, 그가 쓸 소설을 궁금해한다. 둘 간의 동성애 코드가 지적될 정도로 종수에 대한 벤의 관심은 잘 설명되지 않을 만큼 강렬하다. 그런데 벤의 유혹이 사라지자 이제 종수가 벤을 찾아나서기 시작한다. 마치 무언가에 홀린 듯 동네를 뛰어다니고, 낯선 강남을 배회하는 종수의 모습은 사라진 해미와 벤의 비닐하우스를 찾기 위해서, 라는 말로는 다 설명되지 않는다. 가슴에 칼을 품고 갈 곳 모르는 분노에 방황하는 종수를 벤은 계속 유혹하고 시험에 들게 한다. 여기서 핵심은 ‘시험’에 있다. 어느 순간 종수가 찾아다니는 것은 사라진 해미가 아니라 벤 그 자체처럼 보인다. 종수 앞에 불쑥 나타난 해미는 ‘나를 만져보라며’(touch my body) 불러세워 경품 시계로 관계를 만들어낸 다음 그를 벤에게로 이끈 뒤 마치 자신의 임무가 끝났다는 듯 홀연히 사라져버린다. 해미에게서 <싸이코>(감독 앨프리드 히치콕, 1960)의 마리오(재닛 리)의 모습이 어른거리는 건 그저 우연만은 아닐 것이다. <밀양>(2007)의 주인공 신애(전도연)의 믿음(信)과 사랑(愛)을 시험했듯 이창동은 <버닝>의 종수에게 칼을 쥐어주고 그를 유혹하며 시험에 들게 한다. 하지만 슬프게도 종수의 운명은 칼이 종수를 발견한 순간, 이미 결정돼 있다.

칼의 목적지를 찾았으니 이제 ‘왜’라는 질문에 답을 해야 할 차례다. 종수가 벤을 죽일 이유가 있었을까? 사실, 없다. 하지만 ‘있다’라고 생각하면 없는 것도 아니다. 종수가 벤을 죽여야 하는 이유가 있다고 믿게 하는 대신 종수가 벤을 죽이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사실을 잊으면 되는 거라고 영화는 우리를, 그리고 종수를 현혹(眩惑)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벤의 집에 있던 고양이가 보일이 아니며, 벤의 서랍 속 액세서리들은 이제까지 그가 만났던 (그리고 두달에 한번 꼴로 ‘태워버렸던’) 여자들을 기억하기 위한 은밀한 ‘전리품’이 아니라고 확신할 수 있을까? 이창동은 “벤이 해미를 죽였을 거라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 그냥 종수의 의심이다”라고 말했지만 그의 논리를 그대로 가져오면 ‘벤이 해미를 죽이지 않았을 거라는 증거’ 역시 어디에도 없다. 그는 이 모든 과정을 세상의 미스터리와 연결된 우리 삶의 ‘미스터리’라고 여러 번 말했지만 이건 미스터리가 아니다. <버닝>의 ‘답’은 숨겨져 찾지 못하는 것(미스터리)이 아니라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미스터리는 추적할 수 있지만 존재하지 않는 건 (이창동이 늘 말해왔듯) 그저 믿는 수밖에 없다(“저는 눈에 보이는 것도 다 안 믿어요”라고 말했던 <밀양>의 신애가 겪은 고통을 상기해보라).

그러나 무엇보다 곤란한 지점은 해미의 집으로 돌아와 소설을 쓰기 시작하는 종수를 ‘버리고’ 영화가 달아나버린다는 점이다. 어떻게 해도 나는 종수를 두고 줌아웃으로 해미의 집을 빠져나오는 카메라를 이해할 수 없다. 이후에 벌어진 일이 종수의 소설이겠거니 시늉하면서 종수의 살인을 ‘미스터리한 일’이라며 고개를 가로젓고 마는 영화의 무책임함과 영화가 지워준 운명도 모른 채 추운 벌판에서 벌거벗은 채 떨고 있는 종수를 버리고 떠나는 영화의 냉정함에 끝내 나는 어떠한 동의도 보낼 수 없을 것만 같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