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人]
<살아남은 아이> 이지훈 촬영감독 - 천천히 자세히 들여다보기
2018-09-17
글 : 김소미
사진 : 최성열

<살아남은 아이>는 물에 빠진 동급생을 구하려다 죽은 아이의 부모 미숙(김여진), 성철(최무성)과 그들의 아들 덕분에 살아난 소년 기현(성유빈)의 만남을 그린다. 삶을 압도하는 상실과 애도, 이를 저예산으로 단시간에 찍어내는 과정이 적잖이 고되었으리라는 예상은 그리 어렵지 않다. 이지훈 촬영감독은 할리우드 시스템의 장점을 차용하고자 “하루의 첫 번째 일정으로 가장 먼저 리허설을 하자고 제안했다”. 한국영화계는 아직까지 “배우가 분장을 완료하고 촬영 직전에 리허설을 하는 방식이 보편적” 이지만, “미리 동선을 파악하면 배우들이 준비할 동안 촬영팀도 셋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반복 촬영할 확률이 줄어든다”. 덕분에 “미숙이 기현의 고백을 듣는 장면, 성철이 다른 학부모에게 빗속에서 읍소하다가 실랑이를 벌이는 장면 등은 모두 처음부터 끝까지 원신 원테이크로 감정을 담아냈다”. 이지훈 촬영감독은 <살아남은 아이>의 시나리오를 처음 보았을 때 “덤덤하고 냉정하게 찍자”고 마음먹었다. “인물이 아파하고 눈물 흘릴 때 카메라가 쉬이 동요하지 않기를” 바란 것이다. 한편으로는 “와이드 렌즈를 써서 카메라가 인물에게 바짝 붙을 수 있게” 설계했다. 일명 “친구같은 카메라”다. 자칫 카메라의 역할이 심심해 보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 때면, 이 촬영감독은 “작은 디테일들이 쌓였을 때 결과적으로 남다른 시너지가 생긴다”고 믿었다. 그런데 만약 <살아남은 아이>의 촬영에 관해 단 한컷만 이야기할 수 있다면 언급하고 싶은 장면은 따로 있다. 아들의 죽음에 관한 충격적인 고백을 들은 뒤 바깥으로 뛰쳐나온 미숙의 뒷모습이 그 유력한 후보다. 드라마틱한 활력을 지닌 동시에 감정의 목표 지점에 예리하게 도달하는 이미지. “2막의 시작을 알리는” 그 장면은 “천천히 그리고 자세히 들여다보아야 김여진 배우가 뒷모습과 걸음걸이로도 미묘한 연기를 하고 있다는 점이 잘 보일 거라 판단한” 이 촬영감독의 직관대로 구현됐다. 대학에서 영화 연출을 공부하면서 자연스럽게 16mm 필름카메라를 만질 기회를 얻었다는 이지훈 촬영감독은 <하녀>(2010), <부산행>(2016), <강철비>(2017) 등을 찍은 이형덕 촬영감독 밑에서 10년을 함께했다. 한국영화아카데미에서 촬영을 공부하면서 조영직, 추경엽 촬영감독과 같은 든든한 동료들도 얻었다. 마무리로 후배들에게 해줄 수 있는 조언을 묻자 그는 영화 촬영 또한 “대단한 기술 이전에 사람과 사람이 약속을 맺고 하는 일”임을 염두에 두기를 귀띔했다.

디렉터스 파인더

김우형, 이형덕 촬영감독 등이 쓰던 디렉터스 파인더가 이제는 그의 소유가 됐다. “호출을 받으면 언제든 돌려주어야 하는 물건”이지만, 로케이션 헌팅을 다니거나 촬영장에 출근할 때 꼭 챙길 만큼 이지훈 촬영감독에겐 애착이 깊다. “연기 리허설을 살필 때 특히 유용한” 이지훈 촬영감독의 디렉터스 파인더는 여러 촬영감독의 시선을 담아온 현장의 보물이다.

촬영감독 2018 <굿바이 썸머> 2017 <살아남은 아이> 2013 <셔틀콕> B카메라 2018 <명당> 2017 <강철비> 2016 <부산행> 2015 <궁합>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