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영의 네오 클래식]
[김호영의 네오 클래식] 레오스 카락스의 '퐁네프의 연인들'
2020-06-17
글 : 김호영 (한양대 프랑스언어문화학과 교수)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퐁네프의 연인들> Les Amants Du Pont-Neuf 감독 레오스 카락스 / 상영시간 125분 / 제작연도 1991년

마르케스의 소설 <콜레라 시대의 사랑>의 마지막 장면에서 강을 향해 뱃머리를 돌리던 선장이 70대 노인에게 언제까지 여행을 계속할 거냐고 묻는다. 선박회사의 회장이기도 한 노인은 평생 흠모해오던 네살 연하의 여인과 단둘이 여행 중이다. 그는 주저 없이 53년 7개월 동안 준비해온 대답을 내놓는다. “우리 목숨이 다할 때까지.” 영화 <퐁네프의 연인들>은 낭만적이기도 하고 씁쓸하기도 한 소설의 이 마지막 장면을 나름의 방식으로 차용한다. 영화의 끝 무렵 센강에 빠진 알렉스(드니 라방)와 미셸(줄리엣 비노쉬)은 지나가는 배에 구출되는데, 배에는 마치 소설에서 튀어나온 듯한 노부부 둘만이 타고 있다. 강을 따라 모래를 운반하는 일을 하는 부부는 이번이 마지막 여행이라고 말한다. 어디까지 가냐고 묻자 “끝까지”라고 짧게 답한다. 멀어져가는 파리의 야경을 바라보던 두 젊은 연인은 마침내 도시를 버리고 그들의 여행에 동참하기로 한다.

온몸으로 구현되는 감정의 서사

<퐁네프의 연인들>은 레오스 카락스의 세 번째 장편영화다. <소년, 소녀를 만나다>(1984)와 <나쁜 피>(1986)로 전세계 영화 팬들을 사로잡았던 카락스는 오랜 준비 끝에 이 영화를 발표한다.

영화의 무대는 파리 센강의 퐁네프 다리. 공사로 통행이 금지된 이곳에 노숙자 차림의 두 남녀가 흘러들어온다. 한 사람은 줄곧 거리의 삶을 살아온 곡예사 알렉스이고, 다른 한 사람은 실연의 상처와 시력을 잃는 고통을 이기지 못해 집을 뛰쳐나온 화가 미셸이다.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두 사람은 외로움을 매개로 조금씩 가까워진다. 미셸은 알렉스의 순수한 감정 표현에 닫혀 있던 마음을 열게 되고, 그와 함께 사랑의 열정과 생의 기쁨을 되찾아간다. 그러던 어느 날 미셸은 시력을 회복시켜줄 약이 개발되었다는 소식에 그를 속이고 몰래 떠난다. 남겨진 알렉스는 방화죄로 체포되어 3년 동안 수감 생활을 하게 된다. 시간이 흐른 뒤 미셸이 교도소로 찾아와 재회를 약속하고, 두 사람은 크리스마스 자정에 퐁네프 다리에서 만난다. 하지만 또다시 무언가를 숨기고 있는 미셸에 분노한 알렉스가 그녀를 끌어안고 센강으로 뛰어든다.

이 격정적인 사랑의 이야기는 무엇보다 인물들의 ‘몸’을 통해 전달된다. 특히 문명 바깥의 존재인 알렉스는 자신의 모든 감정을 행동과 소리로 표현해낸다. 뜨거운 사랑의 감정은 쏟아져 나오는 괴성과 몸짓, 질주로 표현하고, 상대에 대한 미움은 곧바로 폭력으로 이어지며, 그런 자신에 대한 혐오는 깨진 병으로 온몸을 자해하거나 아스팔트 바닥에 머리를 짓이기는 행위로 표출된다. 사랑하는 이의 배신으로 인한 고통은 총을 쏴서 자신의 손을 부숴야만 떨쳐낼 수 있다. 거기에, 어떤 필터도 거치지 않고 그대로 얼굴에 스며나오는 기쁨과 슬픔, 고독의 표정들. 그의 이 단순하고 솔직한 감정 표현에 문명 내부의 존재였던 미셸도 점점 이끌리게 된다. 그녀 역시 점차 언어라는 인위적 표현 수단을 내려놓고 그와 함께 온몸으로 내면의 감정들을 표출하게 된다.

카락스가 이처럼 배우들의 몸을 가장 중요한 표현 수단으로 삼은 이유는 언어에 대한 불신 때문이다. 그는 평소에도 언어란 진실을 조작하고 은폐하는 텅 빈 기호일 뿐이라는 의견을 자주 표명했었다. 실제로 언어는 문법과 사전(어휘목록)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관념체계이자 사회적 규약이다. 우리가 언어를 통해 무언가를 말한다는 것은 매 순간 문법과 사전이라는 규약을 의식하고 따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면의 감정도 언어를 통해 표현될 때에는 보이지 않는 검증단계를 거치면서 정돈되거나 수정된다. 그러나 몸을 통한 감정의 표현은 이러한 자기검열의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몸짓과 소리 같은 신체언어는 내면 깊은 곳에 숨어 있는 다양한 감정까지도 있는 그대로 끌어내 왜곡이나 교정 없이 보여줄 수 있다.

자발적 비(非)성년의 사랑

한때 ‘누벨 이마주’ 또는 ‘네오 바로코’ 그룹으로 분류되던 카락스는 이 영화에서도 그 명성에 걸맞게 감각적이면서도 화려한 이미지들을 선보인다. 때로는 강렬하고 때로는 섬세하며 나아가 회화적이기까지 한 이미지들은 주인공들의 다양한 감정을 대변할 뿐 아니라, 대사와 몸짓이 미처 다 전달하지 못하는 미묘한 정서와 느낌까지도 표현해낸다. 가령 알렉스가 곡예를 하며 뜨거운 불을 뿜어내는 장면과 센강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엄청난 규모의 불꽃놀이 장면은 주인공들의 억눌린 욕망과 광적인 열정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감독의 전작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영화에서도 주인공은 사회 혹은 성인 세계로의 진입을 거부하는 자발적 ‘비(非)성년들’이다. 이들은 신체적으로는 성인이지만 정신적으로는 성년과 미성년의 중간단계에 머물러 있고, 사회적 통제가 미치지 않는 공간을 찾아 그곳에 숨어 지낸다. 섹스를 포함한 성인의 행동들을 유보하고, 사회적 소통수단인 언어 대신 몸짓과 소리를 통해 감정과 생각을 교환한다. 특히 알렉스의 몸은 영화 내내 한번도 정상인 적이 없이 늘 어디 한 군데가 다치거나 부러져 있는데, 마치 정상적 인간의 삶을 온몸으로 거부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두 사람 사이에는 결정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알렉스가 스스로 성인 세계를 거부하고 영원히 바깥에 머무르려는 것과 달리, 미셸은 단지 그곳에서 일시적으로 일탈해 있을 뿐이다. 그녀는 본능에 충실하는 야생적 삶에 기쁨을 느끼면서도 언젠가 사회로 돌아갈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이 차이는 둘 사이에 뛰어넘을 수 없는 간극을 만들어내며, 미셸로 하여금 끊임없이 갈등하고 주저하게 만든다. 또 두 사람이 온몸으로 감정을 주고받으면서도 끝내 진정한 소통에 이르지 못하는 이유가 되기도 하다.

영화의 라스트신은 자연스럽게 영화 <졸업>(감독 마이크 니콜스, 1967)의 라스트신을 떠올리게 한다. <졸업>에서 주인공 벤자민은 사랑하는 여자의 결혼식에 뛰어들어 신부복을 입은 그녀를 데리고 도망쳐나온다. 그리고 지나가는 버스에 올라타 어디론가 떠나는데, 나란히 앉은 두 사람의 얼굴에는 이내 미소가 사라지고 알 수 없는 감정들이 교차한다. 이 영화의 라스트신에서도 두 남녀는 지나가는 배에 올라타 어디론가 떠난다. 마지막 여행을 하는 노부부를 따라 끝까지 가보기로 하고 만족스러운 미소를 짓는데, 나란히 앉은 이들의 얼굴에도 찰나의 순간이지만 알 수 없는 감정이 스쳐 지나간다.

이들은 정말로 파리를, 성인들의 세계를 떠나게 될까? 다시 전처럼 뜨겁게 사랑하면서 영원히 함께 있게 될까? 경쾌한 음악과 함께 영화의 엔딩크레딧이 올라가던 중 갑자기 희미한 소음이 들려오기 시작한다. 자동차 소리가 뒤섞인 이 불분명한 도시의 소음은 엔딩크레딧이 끝날 때까지 사라지지 않고 계속된다. 어쩌면, 그들은 다시 현실의 벽에 부딪칠지 모른다. 결국은 그들의 사랑이 한때의 꿈이었다는 걸 깨닫고 각자의 영역으로 돌아가 기다릴지 모른다. 적어도 칠십이 될 때까지는.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