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황동혁 감독이 말하는 <오징어 게임>의 관람 포인트
2021-09-16
글 : 조현나
황동혁 감독. 사진 제공 넷플릭스

9월 17일,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이 공개된다. 9부작 시리즈인 <오징어 게임>은 456억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 게임에 목숨 걸고 참가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드라마가 공개되기 전, 황동혁 감독과의 인터뷰를 토대로 정리한 <오징어 게임>의 관람 포인트를 소개한다.

<오징어 게임>은 일본 서바이벌물의 요소를 한국적 상황에 접목시킨 작품이다. 2008년에 작품을 구상하고 2009년에 쓴 황동혁 감독은 당시 만홧가게에서 즐겨 읽은 <도박 묵시록 카이지> <라이어 게임> <배틀 로얄> 등의 일본 서바이벌물 만화에서 모티브를 얻었다. “2009년엔 현실감이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반응이 많았지만, 10여년이 지나선 이 이야기를 현실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많았다.” 또한 OTT 플랫폼으로 인해 작품의 러닝타임이나 표현의 수위가 상대적으로 자유로워진 영향도 있었다.

<오징어 게임>에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포함해 6개의 게임이 등장한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는 한꺼번에 많은 탈락자가 발생할 수 있는 게임이다. 많은 사람이 한 장소에 모여 동시에 같은 동작을 취하며 일사불란하게 움직였다 멈추고를 반복하는 모습이 우스꽝스러우면서 아릅답고 혹은 슬픈 군무처럼 보일 수도 있을 것 같았다.” 그밖에 후보에 올랐던 게임은 공기놀이, ‘우리 집에 왜 왔니’, ‘동대문 남대문 게임’ 등이 있다. 어릴 때 수없이 해본 추억의 게임들이지만 목숨을 담보로 참여하는 순간, 상황은 한없이 치열하고 섬뜩해진다. “경쟁이 중요하지 않았던 어린 시절의 놀이가 극단의 경쟁 게임이 됐을 때의 아이러니를 보여주고 싶었다.”

<오징어 게임>. 사진 제공 넷플릭스

456억원의 상금이 걸린 서바이벌 게임에는 저마다의 사연을 지닌 456명이 참가한다. 이들은 감당할 수 없는 빚이 있거나 꿈과 희망을 갖기엔 현실이 고달픈 사람들이다. 여기엔 실직 후 이혼하고 사채까지 쓴 기훈(이정재), 증권사에서 일하다 감당할 수 없는 빚을 떠안게 된 상우(박해수), 탈북민 새벽(정호연), 뇌종양에 치매까지 앓는 노인 일남(오영수), 외국인 노동자 알리(트리파티 아누팜)가 속한다. “갈등을 고조시킬 빌런 캐릭터”가 필요해 조폭 덕수(허성태)와 사기꾼 미녀(김주령)의 이야기도 보태졌다. 다양한 인물 군상이 극한의 상황에서 어떻게 얽힐지 기대해볼만 하다.

게임 참가자들은 초록색 체육복을 입고 관리자들은 핫핑크 유니폼에 가면을 써 얼굴을 가린다. “두 그룹이 모두 단체복을 입기 때문에 색의 대비에 신경을 썼다.” 색과 모양이 통일된 옷을 입히는 데엔 개성과 인격을 지우겠다는 의미가 포함된다. 의상과 마찬가지로 게임 공간도 알록달록한 색을 활용해 ”동심으로 돌아간 듯한 판타지적인 공간”으로 연출했다. 게임장과 숙소, 관리자실 등이 어지럽게 연결된 공간 구조는 “개미굴”의 구조에서 힌트를 얻었다고 한다. “깊숙한 내부에 숙소가 있고, 키즈 카페 느낌이 나는 미로 같은 계단을 따라 가다보면 방과 게임장이 나온다. 미로식 복도와 상하 단차가 강조되는 입체적 계단은 에셔의 4차원 계단 그림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마이 파더> <도가니> <수상한 그녀> <남한산성>까지, 매번 의외의 작품을 들고 나타났던 황동혁 감독은 <오징어 게임>을 통해 어떤 이야기를 펼쳐낼까. <오징어 게임>에 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씨네21> 1323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