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소개
전쟁을 배경으로 한 멜로 드라마<남과 북>(1965)은 김기덕을 샌프란시스코영화제와 베니스영화제로 안내했다. 피난 시절 헤어진 아내를 찾아 부대를 이탈해 귀순한 북한군이 국군 중대장과 이미 새로운 삶을 살고 있는 아내를 만나 겪게 되는 갈등과 분단의 아픔을 다루었다. <말띠 신부>(1966)에는 백말띠 해에 태어난 여자는 팔자가 드세다는 통념에 반응하고 이에 도전하는 여성들의 모습이 코믹하게 그려지고 있다.
당시 한국영화에선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SF장르에 도전하고, 비록 대부분이 일본의 기술에 의존한 것은 사실이지만, 특수효과의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서 <대괴수 용가리>(1967)역시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편당 500만~600만원의 제작비가 평균적이었던 당시에 1300만 관객을 동원하면서 흥행에도 크게 성공을 거두었을 뿐 아니라 해외에도 수출되어 한국감독으로서 김기덕을 해외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판문점 근처에서 솟아 나와 남한을 위협에 빠뜨리는 괴물 용가리의 출현은 한국전쟁을 상기시키면서 1960년대 관객에게 생생한 공포감을 자극했고, 이 떄문에 이 작품은 반공영화의 대열에 오르내리기도 한다. 1998년 제작된 심형래의 <용가리>의 모티브가 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잊혀졌던 <대괴수 용가리>의 존재가 근래에 새로이 부각되기도 했다. 다양한 장르적인 실험과 왕성한 작품 활동, 기록적인 흥행 실적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감독으로서의 김기덕에 대한 평가와 조망이 인색했다면, 일본영화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란이 그중 한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맨발의 청춘>은 일본의 '태양족 영화'<진흙 속의 순정>을 개작한 것으로 알려졌고, <대괴수 용가리>는 종종 쇼치쿠의 <고지라 > 시리즈와 비교되곤 한다.
김기덕은 1956년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 그 해 편집기사로 영화계에 입문했다. 김소동의 <왕자 호동과 낙랑공주>의 조감독을 거쳐 1961년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 <5인의 해별>을 김화랑과 공동 연출하면서 감독에 데뷔했고, 이 작품으로 1962년 대종상 신인 감독상을 수상했다. 그외 주요 연출 작품은 <모란이 피기까지는>(1962) <가정교사>(1963) <떠날 때는 말없이>(1964) <불타는 청춘>(1966) <친정 어머니>(1966) <섬마을 선생>(1967) <여대생 사장>(1967) <아네모네 마담>(1968) <별이 빛나는 밤에>(1972) <청춘교사>(1973) <꽃상여>(1975) <영광의 9회말>(1977) 등이 있다. 1977년 이후 김기덕은 작품활동을 접고 서울예대 영화과 교수와 대종상 심사위원 및 집행위원, 공연윤리위원회 심의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최근까지 영화계 인사로 활발하게 활동해왔다.
참여작품(68)
관련 기사(18)
관련 기사(8)
-
[인터뷰] 희망과 불안 사이,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조유리
“간절하고 절실한 마음이었다.” 아이즈원의 메인보컬부터 성공적인 솔로 활동까지 아이돌로서 탄탄한 경력을 쌓아온 조유리에게도 “고등학생 때부터 품었던 연기의 꿈”을 위해 도전한 배우의 길은 험난했다. 수많은 오디션에서 고배를 마신 뒤 “두눈 가득 독기를 품고” 임한 <오징어 게임> 시즌2의 오디션. 마침내 조유리는 “연기를 향한 간절한 염원”처럼
2025-02-04 최현수
-
[인터뷰] 감개무량의 순간,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박성훈
황동혁 감독에게 <오징어 게임> 시즌2 캐스팅 이유를 들은 박성훈은 적잖이 놀랐다. “예전 출연작인 KBS 단막극 <희수>를 보고 현주 캐릭터를 떠올렸다고 하시더라. 극 중 평범한 가장 역할이었는데 말이다. 감독님이 내 안에 존재하는 여성성을 꿰뚫어보신 것 같았다.” 특전사 출신 트랜스젠더 조현주 역할을 맡은 뒤 감독과 함께 세운 첫
2025-02-04 이유채
-
[인터뷰] 고요한 열정,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박규영
“진심으로 속이 시원하다”라며 <오징어 게임> 시즌2의 공개 소감을 말하는 박규영의 얼굴은 편안해 보였다. 꽁꽁 숨겨왔던 그의 역할은 게임 참가자가 아닌 진행 요원. 북한에 두고 온 어린 딸을 찾는 게 삶의 목적인 명사수 강노을 역이다. 누굴 맡을지 모르는 상태로 오디션에 참가, 합격 뒤 주어진 예상 밖의 인물은 박규영의 도전 의식을 불러일으켰다
2025-02-04 이유채
-
[인터뷰] 어떤 악인의 입체성,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임시완
임시완은 처음 대본을 읽고 몰락한 코인 유튜버 이명기를 악인으로 규정하려 했다. 하지만 황동혁 감독으로부터 들은 의외의 코멘트는 그 생각을 바꿔놓았다. “임시완이라면 이 캐릭터가 착해 보일 수도 있겠다고 하시더라. 시청자들에게 명기가 그저 사람으로 느껴지기를 바라셨다.” 선인도 악인도 아닌 이명기는 그에게 마지막까지 “거짓과 진심의 정도를 헤아려야 했던”
2025-02-04 최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