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
'쓰리: 아직 끝나지 않았다' 박루슬란 감독, "끝까지 인간다움을 지킨다는 건 뭘까"
2022-04-28
글 : 송경원
사진 : 최성열

2011년 <하나안>으로 맑고 솔직한 영화 세계를 선보인 박루슬란 감독이 두 번째 장편 <쓰리: 아직 끝나지 않았다>(이하 <쓰리>)로 돌아왔다. 제25회 부산국제영화제 뉴커런츠상을 수상한 <쓰리>는 1970년대 구소비에트 연방 시절의 카자흐스탄에서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만든 연쇄살인마를 잡은 형사의 이야기를 그린다. 많은 관객에게 사랑받는 대중영화를 만들고 싶다는 박루슬란 감독은 대중성과 예술성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일 없이 뚜벅뚜벅 자신의 길을 걷는 중이다.

- 카자흐스탄과 한국에서 공동 작업한 영화다. 어떻게 시작되었나.

= 소재 자체는 꽤 오래 들고 있었다. 카자흐스탄에서 있었던 실화인데 소비에트 연방 시기 연쇄살인마 니콜라이 주마갈리에프를 잡은 경찰의 이야기다. 사건을 담당했던 전직 형사를 만나 여러 버전의 이야기를 썼다.

- 실화 바탕의 이야기는 항상 어떻게 시작해서 어떻게 끝낼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따른다.

= 장단이 있다. 실화라서 가진 묵직한 힘이 있는 게 사실이다. 동시에 관계자들, 특히 피해자들이 생존해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고 표현에 제한된 부분이 많다. 범인쪽 이야기는 대부분 사실을 바탕으로 했다. 대신 이야기를 끌고 갈 화자를 따로 만들었다. 정의감 넘치는 젊은 형사 셰르(아스카르 일리아소브)와 그의 걱정 많은 누나 디나(사말 예슬랴모바)는 창조한 인물들이다. 상황을 입체적으로 보여줄 필요가 있었다. 메시지를 위한 설정이기도 하다. 어떻게 잡았는가는 이미 결정된 이야기이기 때문에 잡는 과정과는 별개로 다른 질문들이 필요했다. 악마를 잡을 때 우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싶었다.

- 장르적으로는 서스펜스 스릴러, 범인을 쫓는 형사물이다. 심리적인 압박, 정체를 알 수 없는 연쇄살인마와의 대결이란 점에서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세븐>(1995)과 닮았다. 시대의 전근대성과 공권력의 부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2003)도 연상된다.

= 솔직히 비교할 수도 없다. 언급해주는 것 자체가 영광이다. 염두에 두거나 레퍼런스를 삼진 않았다. 다만 형사물로서 겹치는 장르성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받아들이는 분도 있는 것 같다. <쓰리>는 처음부터 대중적으로 호소력 있는 장르물을 목표로 했다. 다만 현실적인 조건에 맞춰서 기획된 규모와 방향이 다르다. 예산이 넉넉했다면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세븐>이나 나홍진 감독의 <추격자>(2008)를 닮은 영화가 됐을지도 모른다. 완성도가 아니라 야외 장면과 추격 장면 등이 더 들어가거나 세트도 더 짓고 로케이션도 더 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영화는 5억원이라는 예산에 맞춰서 제작됐다. 한정된 조건하에서 할 수 있는 것들에 집중할 필요가 있었다. 야외보다는 실내, 제한된 공간에서 인물의 심리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정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르적 재미를 놓치고 싶진 않았다. 결과적으로 지금의 형태가 최선이라 생각한다.

- 제목은 왜 <쓰리>인가.

= 세개의 챕터로 나눠서 진행된다. 챕터마다 미션이 주어지고 주인공 형사가 그걸 해결하는 구조다. 이 비극을 어떻게 잊을 수 있을까. 분노를 어떻게 마주할 것인가. 마지막 숙제는 관객도 함께 풀길 바랐다. 짧고 쉽게 각인되는 제목을 붙이고 싶기도 했다. 그래서 <세븐>이 연상되는 것 같기도 하지만. (웃음)

- 카자흐스탄을 오가며 1년 동안 작업했고, 카자흐스탄에서 먼저 개봉한 후 한국에서 선보인다. 촬영, 녹음 등 한국의 키스탭과 카자흐스탄 현지 인력이 함께했다.

= 우선 카자흐스탄의 영화시장 규모를 고려했다. 5억원 이상의 제작비가 투입되면 제작비 회수가 쉽지 않다. 시장 크기에 맞춰서 기획된 결과물이지만 완성도를 포기할 수도 없었다. 카자흐스탄에서만 개봉한다면 좀더 쉽고 친절하게 갈 수도 있었겠지만 한국 관객의 눈높이를 맞추려면 의미와 깊이 모두 필요했다. 완벽하진 않아도 많은 관객이 만족할 수 있는 결과물을 내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결국 사람 이야기를 해보고 싶었다. 그렇게 끔찍한 일들이 벌어지는데도 끝까지 인간다움을 지킨다는 건 어떤 의미일지 다루고자 했다. 물론 그런 메시지가 전면에 있으면 딱딱하고 재미가 없다. 영화적인 재미도 필요했다. 그 사이에서 이야기의 폭을 넓히려다보니 자연스럽게 시대에 대한 문제의식이나 부조리한 상황들이 자세히 묘사되었다. <하나안> 때도 인터뷰를 통해 여러 번 밝혔지만 예술영화를 하겠다는 고집 같은 건 없다. 재미있는 영화를 할 거다. 다만 의미 없이 소진되는 영화를 하고 싶지도 않다. 매 작품 한 걸음씩 새로운 걸 배우고 성장할 수 있길 바라며 작업을 쉬지 않기 위해 노력 중이다.

- 할 수 있는 것만 하는 게 아니라 영화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카자흐스탄과의 협업도 그런 맥락에서 기획이 돋보이는 프로젝트다.

=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중국 영화시장에 진출했던 것처럼 중앙아시아를 비롯해, 눈을 돌릴 수 있는 해외 시장들이 여전히 많다. 아직은 시작 단계지만 영화에 대한 열정은 남다르다. 이런 협업 사례가 점차 늘어나길 바란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연출에만 집중할 수 있다면 연출만 하고 싶은 마음도 있다. 조건이 여의치 않아 상황을 돌파하기 위한 궁리를 끊임없이 하는 거다. 그만큼 에너지도 든다. 준비 중인 프로젝트는 많다. 또 다른 합작영화를 프로듀싱 중이고 언젠가 홍범도 장군의 일대기를 그린 영화도 찍고 싶다. SF장르도 꼭 해보고 싶다. 카자흐스탄의 나이 많은 영화 선배님이 내 손을 꼭 붙잡고 “멈추지 말고 작업을 해달라”고 하신 게 기억에 남는다. 그 당부를 꼭 지키려 한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