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홍예지)은 청각 장애를 가진 어머니 경숙(김지영)과 함께 밝게 살아간다. 어느 날 윤영은 귀가 중 범죄 피해에 놓이고, 피해 사실을 입증하지 못한 채 가해자를 상해치사에 이르게 한 혐의로 교도소에 수감된다. 이름 대신 ‘이공삼칠’(2037)이라는 수인번호로 불리는 윤영. 범죄 피해는 수감 중인 윤영에게 예상치 못한 더 큰 신체적 절망을 안긴다. 이런 윤영을 위해 12호실 재소자들이 물심양면으로 나선다. 12호실 동기들은 괴로워하는 윤영을 각자의 방식으로 보살피며, 윤영이 범죄 피해 사실을 입증해 감형받을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돕는다.
재소자간 연대와 우정, 교도소 내 옆방과의 알력 다툼 등 감옥을 배경으로 한 영화에서 익숙하게 접했던 요소들이 <이공삼칠>에도 존재한다. 이 상투성에 일말의 개성은 배우들이 부여한다. 전에 본 듯한 설정이 개성 강한 배우들의 육체를 입는 순간 영화는 일견 특별해 보인다. 윤영 역으로 스크린에 데뷔한 홍예지가 그중 놀랍다. 그는 캐릭터가 처한 극적 상황에 함몰되지 않고, 놀라운 안정감과 차분함으로 작품 전체를 이끈다. 감정의 한축을 맡는 김지영은 등장마다 그저 표정만으로 관객의 심금을 울린다. 서로 다른 말투와 성격을 지닌 다양한 여성들이 서로를 적으로 여기지 않는 연대 또한 한국 상업영화에서 흔치 않은 구도라 주목할 만하다. 문제는 윤영의 캐릭터 조형에 있다. 윤영의 궤적 전반엔 여성이 놓일 수 있는 모든 범죄에 캐릭터가 희생양으로 노출돼야 여성의 불행이 성립할 수 있다는 그릇된 인식이 드러난다. 영화의 치명적 오판은 촬영에 있다. 범죄 피해 직후 윤영을 위아래로 훑는 촬영은 그저 피해자를 대상화한 채 인물의 비극을 방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