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근처에 폐허 없니? 문을 찾고 있어.” 스즈메(하라 나노카)는 ‘폐허의 문’을 찾는 대학생 소타(마쓰무라 호쿠토)에게 첫눈에 반한다. 사랑의 주문에 걸려들어 낯선 외지인의 뒤를 겁 없이 따르기 시작한 소녀는 오래전 폐쇄된 온천 리조트에 덩그러니 서 있는 문을 열어젖힌다. 그러자 요석이 깨어나 고양이 수호신 다이진으로 변하고, 열도 아래 잠든 미미즈가 대형 지진을 일으키며, 잘생긴 소타는 세발 달린 유아용 의자로 변하고 만다. 단지 문 하나만 열었을 뿐인데! 이어지는 이야기는 평범한 고등학생 스즈메가 로봇보다 잘 달리는 수상쩍은 의자를 품에 안고 일본 열도를 여행하는 희한한 모험담이다. 규슈의 한적한 바닷마을을 떠나, 재난을 막겠다는 일념 하나로 규슈, 시코쿠, 고베, 도쿄를 가로지르는 소녀의 용기는 도대체 어디서 나오는 걸까. “변덕은 신의 본질” (소타)이라지만, 스즈메는 그것을 막을 수 있는 최선의 노력과 용기가 인간에게 존재한다고 일찌감치 알고 있는 것만 같다.
<스즈메의 문단속>은 버려지고 방치된 일본 곳곳의 폐허에서 발상한 신카이 마코토의 아니메적 애도이자, 만족스러운 엔터테인먼트 영화다. 이 두개의 반어적 가치는 <스즈메의 문단속>에서 공존 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3·11 동일본대지진의 생존자인 스즈메가 엄마의 유품을 안고 수년 만에 고향을 다시 방문하는 귀향 서사이기도 한 이 영화는, 관동대지진과 동일본대지진까지 일본 사회가 겪은 재난의 아픔을 선명히 상기시키면서 신카이 마코토의 어떤 작품들보다도 현실과 직접적으로 공명한다. 동시에 의자와 고양이, 지역마다 등장하는 개성 강한 동행인들과의 로드 무비가 경쾌한 에피소드를 완성하면서 슬픔 속에서 살아남은 이들의 생명력을 유머러스하게 설파해낸다. 이 영화의 아름다운 점은 성장 서사에 선행되어야 할 제의로서 과거의 재난을 돌보기로 하는 태도와 설화적 상상력의 적절한 조우에 있을 것이다. 드라마틱한 색채와 빛의 질감으로 압도하는 작화, 부분적으로 돋보이는 극사실주의적인 터치가 여전히 감탄을 자아내며 한층 스펙터클을 키운 세계관을 탄탄하게 뒷받침한다. 후반부에 개연성이 성글게 다가오는 부분도 있지만,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 등 이전의 신카이 마코토 흥행작에 심드렁했던 관객조차 포섭할 수 있을 만큼 주제와 정서, 완성도에 있어 품이 넓은 야심작이다.
“스즈메. 눈을 감고 수많은 사람들을, 이 장소에 있었을 사랑과 감정들을 떠올려!”
재난을 부르는 문을 닫기 위해 필사적으로 애쓰는 스즈메와 소타의 영혼은 한때 그곳을 채웠던 사람들의 일상과 접속한다. 폐허 이전의 풍경을 애니메이션이 되살리는 장면들은 <스즈메의 문단속>에서 가장 가슴 저미는 대목이다.
CHECK POINT
<마녀배달부 키키>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 1989)
말하는 고양이와 여러 마을을 떠도는 신묘한 능력의 소녀가 펼치는 모험담인 <스즈메의 문단속>은 <마녀배달부 키키>의 현대판 고등학생 버전이라고 해도 좋다. 나는 빗자루 대신 합류한 동료는 신나게 달리는 의자(요석으로 변해가는 소타)다. 본격적인 로드 무비적 구성이 시작되는 후반부에 등장하는 <마녀배달부 키키>의 O.S.T <루즈의 전언>(아라이 유미)도 지브리 팬들에겐 특별히 반가운 사운드트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