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BIFAN #3호 [인터뷰] ‘누구도 그녀를 알지 못하다’ 파블로 마케다 감독, “한국영화의 시적 장치들을 참고했다”
2023-07-01
글 : 이자연
사진 : 백종헌
<누구도 그녀를 알지 못하다> 파블로 마케다 감독

캐롤리나는 온라인 채팅에서 만난 16살 소년 레오로부터 자신의 신체를 노출한 영상을 퍼뜨리겠다는 협박을 받는다. 놀랍게도 소년의 정체는 중년에 접어든 평범한 가장. 온라인 그루밍 범죄를 일삼는 그는 공원 한복판에서 캐롤리나를 벼랑 끝으로 몰아세우지만, 오히려 캐롤리나는 자신의 비밀을 드러내며 레오의 숨통을 조여온다. <누구도 그녀를 알지 못하다>는 러닝타임 내내 예측할 수 없는 전개와 진실을 쏟아내며 긴장과 불안을 고조시킨다. 일상적 공간이 지닌 공포의 심연과 디지털 성범죄, 인간의 이중성 등 다양한 키워드를 연결한 파블로 마케다 감독을 만났다.

- 파코 베제라의 연극 <그루밍>을 영화로 각색했다. 원작의 어떤 점에 영화화를 생각하게 됐나.

= 극장에서 관객이 놀라는 모습이 무척 인상 깊었다.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이야기에 사람들이 큰 반응을 보였다. 여기저기서 탄성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다 문득 나도 영화관에서 이런 반응을 이끌어내고 싶다는 마음이 강하게 일어났다. 그때부터 원작의 영화화를 계획했다.

- 원작과 어떤 차별점을 두고자 했나.

= 연극에서는 성폭력이나 성적 괴롭힘 등을 배우들이 연기로 묘사한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직접적인 이미지를 사용하고 싶지 않았다. 상상력을 끌어 모아 이해할 수 있도록 일부러 공백을 주었다. 이건 내가 한국영화로부터 배운 것이다. 특히 이번 작품은 많은 한국영화를 참고했는데, <악마를 보았다> <친절한 금자씨> <버닝>의 시적인 요소와 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최대한 은유와 암시로 호러를 구현한 게 연극과 다른 차별점이다.

- 캐롤리나와 레오가 처음 공원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시퀀스는 15분 가량 원테이크로 촬영했다. 이 과정에 어떤 점을 주요하게 신경 썼나.

= 처음에는 시점 숏이 무척 많았다. 30개 정도로 구성해서 촬영을 하는데 모니터링을 했더니 하나로만 가도 괜찮을 것 같았다. 영화로 보면 화면에 사람 얼굴이 반만 걸쳐 보이기도 하고, 흔들리기도 하고, 중간에 갑자기 아웃되기도 한다. 초반부터 불안정하고 불편한 프레임을 설정하는 게 앞으로의 힘든 여정을 암시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일부러 선택했다.

- 온라인 그루밍 범죄를 저지르는 레오는 기묘하게도 대부분의 주제를 영화와 연결해 이야기한다. 이런 설정을 한 이유는 무엇인가.

= 레오는 겉보기에 평범한 가장처럼 보인다. 와이프와 장 보고 집에 들어와 행복한 삶을 누리지만 혼자 방에 들어가서는 온라인 그루밍 범죄를 죄책감 없이 저지른다. 그가 방에 들어가기 위해 아내를 속이는 핑계로 영화가 가장 자연스럽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레오가 일상적으로 알프레드 히치콕이나 레오 카락스 등을 반복해 이야기할 때 관객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호기심을 높일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 <누구도 그녀를 알지 못하다>는 온라인 그루밍이라는 성범죄를 다룬다. 영화는 고발성 성격을 띠지 않지만 그럼에도 문제의식을 견지하는 게 중요한 미션이었을 것 같다.

= 그 지점을 조율하기 위해 오랜 고민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특히 <악마를 보았다>를 많이 참고했고, 판단의 몫을 관객에게 넘겨주어야겠다고 결론 내렸다. 인물에 대한 윤리적 평가와 판단을 영화가 앞서서 정해주기 보다 관객이 스스로 사유하고 생각할 수 있도록 이끌고 싶었다.

- 캐롤리나는 양면성을 지닌 인물이다. 온라인 그루밍 범죄자를 잡는 경찰로 활약하면서도 홀로 이상 성애를 즐긴다. 이러한 다면성을 통해 무엇을 드러내고 싶었나.

= 사실 스페인에서는 캐롤리나 같은 캐릭터가 나오기 어렵다. 일례로 부패한 여성 경찰 캐릭터도 찾아보기 힘들다. 그래서 캐롤리나가 처음 나왔을 때 스페인에서도 무척 논쟁적이었다. 스페인 영화는 대부분 남성에게 헌신하는 여성이나 순종적인 여성을 그리는 데 익숙하고, 사회적으로도 그러한 검열이 심한 편이다. 하지만 캐롤리나를 평면적으로 그리고 싶지 않았다. 악과 선의 경계에서 관객에게 질문을 건네는 사람이 꼭 캐롤리나이길 바랐다. 이성과 감각의 경계에 선 여자랄까. 관객들의 판단을 헷갈리게 하는 여성을 보여주고 싶었다. 이 영화가 만들어지기까지 10년 정도 걸렸는데, 캐롤리나가 그만큼 세상에 나오기 어려운 인물이었다.

- 영화 속 대부분이 공원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공원의 공간적 의미는 무엇인가.

= 아리 에스터 감독의 영화를 보면 대낮에도 공포스러운 일이 벌어진다. 밝은 공간은 어두컴컴한 곳과 다른 특유의 섬뜩함이 있다. 그래서 촬영감독과 빛과 조명에 대해 특히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공원은 굉장히 일상적인 공간이라 많은 사람들이 지나다니지만 불특정 다수가 있는 만큼 어디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잘 알 수 없다. 실제로 스페인에서는 공원에서 온라인 그루밍 범죄가 많이 일어나기도 한다. 지금 당장 우리가 살아가는 동네가 아무런 문제 없이 보여도 곳곳에서 온라인 범죄가 일어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 분위기를 불안하게 몰아세우는 음악이 인상적이다. 다소 날카롭게 들리기도 하는데.

= 정확하다. 귀를 엄청 거슬리게 하는 음악을 선정하기 위해 음악 감독과 많은 논의를 거쳤다. 1열에 앉은 사람들은 불편할 수 있을 거란 의견이 나오기도 했지만, 꼭 사운드를 통한 감정을 일으키고 싶었다. 마지막에 캐롤리나가 앞으로 걸어나갈 때 불안한 음악을 가미한 것도 이 여자의 불안정한 끝으로 관객 모두가 동행하는 느낌을 주려한 것이다.

- 영화의 영제는 <Girl Unknown>이다. 영화 속에서 캐롤리나는 누구에게도 진짜 이름을 가르쳐주지 않는다. 이름을 모른다는 게 그 사람의 정체성이나 존재를 모른다는 의미로 비춰지기도 한다.

= 캐롤리나를 연기한 라이아 만자나레스조차 자신이 누구를 연기하는 건지 모르겠다고 하더라. (웃음) 그 말을 듣고 “제대로 이해했네”라고 답했다. 이름을 모른다는 건 그런 거다. 그 사람의 존재, 생각, 내적 갈등도 모른다는 것. 그런 정보 공백이 영화의 섬뜩함이나 찝찝함을 더 높일 거라 생각한다.

-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를 찾는 관객들이 어떤 점을 더 눈 여겨 보면 좋을까.

= 아무 정보도 갖지 않고 오면 좋겠다. 모르는(unknown) 채로 봐야 더 많은 게 느껴지는 영화라고 말하고 싶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