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
[인터뷰] ‘싱글 인 서울’ 심재명 명필름 대표, “지금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한 이야기를 하고 싶다”
2023-11-30
글 : 임수연
사진 : 최성열

2015년 명필름은 파주로 터를 옮기면서 명필름 사무실과 제작실 그리고 영화관을 운영하는 명필름아트센터, 영화 인재를 양성하는 명필름 영화학교를 세웠다. 어느덧 파주출판도시의 터줏대감이 된 명필름의 신작 <싱글 인 서울>은 <접속> 이후 무려 7편의 로맨스영화를 만든 명필름이 파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산을 한껏 활용해 효율적으로 찍은 로맨스영화다. 극 중 등장하는 출판사 사무실, 영화관 등 주요 로케이션을 명필름 건물 혹은 파주출판도시에서 찾았다. <접속>의 PC통신, <후아유>의 아바타 등 당대 트렌드를 적극적으로 끌어오는 것이 명필름표 로맨스영화의 특징이라면, 이번에는 싱글 라이프와 인스타그램을 꼽을 수 있겠다. <싱글 인 서울>은 혼자이길 택한 파워 인플루언서 영호(이동욱)가 출판사 편집장 현진(임수정)을 만나 싱글 라이프에 관한 책을 쓰다가 사랑이 싹트는 로맨스영화다. 지질했던 시절 첫사랑에 대한 회고를 담았다는 점에서 <광식이 동생 광태> <건축학개론>과 같은 계보에서도 읽어볼 만하다. 현재 공사 중인 명필름아트센터 건물에서 개봉을 일주일 앞둔 심재명 명필름 대표를 만나 <건축학개론> 이후 11년 만에 로맨스영화를 개봉하는 배경에 대해 들었다.

- <싱글 인 서울>은 명필름이 위치한 파주출판도시를 배경으로 한다. 어떻게 시작된 작품인가.

= 명필름이 파주에 온 이후에 계속 파주출판도시 출판사 분들과 교류가 있었다. 출판사를 배경으로 한 멜로드라마를 기획해보자고 했지만 잘 풀리지 않았다. 2016년 신보경 보경사 대표가 “디씨지플러스에 출판사를 배경으로 한 시나리오가 있다”는 말을 전해주면서 신혜연 인사이트필름 대표에게 연락을 하게 됐다. 신혜연 대표와는 <극락도 살인사건> 때 투자·제작으로 만난 적이 있다. 디씨지플러스가 개발하기 전에는 신혜연 대표의 초등학교 동창이자 <지구를 지켜라!> 제작팀에 있었던 장미애 프로듀서가 <싱글남>이라는 제목으로 준비하던 영화다. 디씨지플러스 그리고 명필름이 가세하면서 속도가 붙었다. 금방 제작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시나리오를 완성하는 데 3년이 걸렸으니 햇수만 따지면 <건축학개론>만큼 걸린 셈이다.

- <레드카펫>의 박범수 감독에게 연출을 맡기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 개인적으로 <레드카펫>을 좋게 봤다. 프로덕션이 좀더 여유 있었다면 더 좋은 퀄리티였겠다는 아쉬움이 있었지만 에로영화를 만드는 감독의 비애가 잘 묘사되고 B급 정서도 잘 녹아 있다. 가족 이야기를 다루는 태도에서 만드는 이의 따뜻한 정서를 느낄 수 있었다. 신혜연 대표와 장미애 프로듀서도 명필름이 추천하는 감독이라면 괜찮다며 함께하게 됐다.

- <싱글 인 서울>에 등장하는 많은 장면을 파주출판단지에서 찍었다. 주40시간 근로와 코로나19로 상업영화 제작비가 업계 전반에서 상승했지만 알뜰하게 프로덕션을 운용하는 길을 찾은 것처럼 보인다.

= 파주출판도시 배경의 멜로영화를 만들었기에 많은 신을 이곳에서 소화할 수 있었다. 제작자로서 소원 성취를 한 것이다. 먼지 많은 세트장이 아닌 명필름 아트센터와 카페, 1층 프로덕션 사무실에서 찍으니 현장이 효율적으로 돌아가고 분위기도 밝고 촬영 환경도 쾌적했다. 장현성 배우는 월급 받으면서 매일 여기에 출근하며 영화를 찍었으면 좋겠다고 할 정도였다. (웃음)

- 출판계가 바로 인근에 있으니 자료 조사를 하기도 수월했겠다.

= <건축학개론>도 건축학과 출신 이용주 감독이 만들어서 건축가 이야기가 잘 녹아들지 않았나. 사실 전문직이 나오는 멜로드라마를 좋아한다. 한권의 책이 나오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출판 업계의 사정을 리얼하게 담아내고 싶어서 박범수 감독님에게 내가 파주에서 섭외한 출판사 편집장들을 인터뷰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줬다.

- 텍스트로 소통한다는 점에서 <접속>, 첫사랑의 기억을 다룬다는 점에서 <광식이 동생 광태>나 <건축학개론>을 떠올리는 사람들도 많다.

= 사회파 영화 <카트> <노회찬6411> <태일이>, 휴먼 드라마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나의 특별한 형제> 등 그동안 45편의 영화를 제작했다. 이중 로맨스영화가 <접속> <해가 서쪽에서 뜬다면> <후아유> <광식이 동생 광태> <시라노; 연애조작단> <건축학개론> <싱글 인 서울> 등 총 7편이나 된다. 사실 명필름이 처음 출발할 때 한국의 워킹 타이틀이 되어보자는 포부가 있었다. (웃음) 그동안 만든 로맨스영화들을 돌아보면 당시 트렌드를 적용해 동시대성을 담아내면서 보편적인 감정을 녹여낸 작품들이었다고 생각한다. 나름 성과도 다 좋았다. <접속>은 남녀 주인공이 한번도 만나지 않고 PC통신으로 교류하는 이야기였고, <후아유>는 아바타를 통해 소통한다. <광식이 동생 광태>는 광식이 편과 광태 편으로 나뉜 구조로 서로 다른 남자들의 지질한 연애 성장담을 보여주고, <시라노; 연애조작단>은 연애를 조작해주는 대행업을 한다는 발상을 가져왔다. <건축학개론>은 영화 속에 건축 코드를 넣는 시도를 했다. <싱글 인 서울>은 지질했던 시절 서로 다른 기억이 퍼즐처럼 맞춰지는 이야기다.

- <광식이 동생 광태> <시라노; 연애조작단> <건축학개론>은 두 남자 캐릭터(<건축학개론>의 경우 2인1역)를 중심으로 남자들의 첫사랑, 남자들이 지질했던 과거를 반성하는 영화다. 반면 <싱글 인 서울>에는 여자에게 첫사랑이 어떤 의미인지 보여주는 인상적인 신이 존재한다. 사실 여자들은 첫사랑을 지우고 싶은 ‘흑역사’로 취급하는 경우도 많고 남자들만큼 첫사랑 판타지가 강하진 않으니까. (웃음) 그리고 두 남성 캐릭터가 중심축을 이루는 경우가 많았던 전작과 달리 임수정과 이솜, 두 여성 캐릭터가 과거와 현재의 사랑을 보여준다.

= 사실 의도한 변화는 아니다. <싱글 인 서울>의 원안은 <싱글남>이었고 지금보다 훨씬 영호에게 집중된 영호의 성장담이었다. 시나리오를 고치는 과정에서 영호와 현진의 비중을 대등하게 만들었다. 자연스럽게 출판사라는 배경과 편집장 캐릭터가 중요해졌다. <브리짓 존스의 일기> 시리즈도 브리짓 존스의 캐릭터 덕분에 재밌지 않나. 로맨틱 코미디에 나오는 ‘허당’ 캐릭터를 매력적으로 잘 구축하면 영화를 재미있고 사랑스럽게 만들어준다. 현진은 일은 잘하는데 연애 촉은 꽝이다. 차를 더럽게 쓴다는 설정은 신혜연 대표의 실제 모습에서 따온 거다. (웃음) 주옥 캐릭터는 과거 장면의 배경과 소품 등이 이솜 배우의 분위기와 잘 어우러져 배우 덕분에 비로소 완성됐다고 생각한다.

- <건축학개론> 개봉 당시 여성 관객과 지금의 여성 관객은 다르다. 2017년 이후 온라인상에서 <건축학개론>을 비판하는 사람들도 꽤 있지 않나. 지금 시대에 맞는 멜로영화가 무엇인지 고민할 수밖에 없다.

= 당연하다. 나이를 먹으면서 필요 이상으로 도덕적인 사람이 돼 대사 하나하나도 조심하고 걱정한다. 감독님과 편집 과정에서 이견도 있었다. 예를 들면 회식 자리에서 병수(이상이)가 야자 타임을 할 때 윤정(이미도)이 머리끄덩이를 잡고 욕을 한다거나 서점에서 호객 행위를 할 때 “어려 보인다”고 하는 신은 개인적으로 좀 걸렸다. 박범수 감독이 그 신이 굉장히 중요한 웃음 코드이고 관객은 그렇게까지 불편해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득해서 결국 영화에 들어가게 됐다.

- 2020년 11월에 크랭크인했는데 이후 출연배우들의 주가가 올라가면서 지금 덕을 보고 있다. (웃음) 캐스팅은 어떻게 결정했나.

= 이동욱, 임수정 캐스팅은 감독님, 제작자들의 이견 없이 만장일치로 결정됐다. 원래 로맨틱 코미디는 휴 그랜트처럼 매력적인 남자배우가 나와야 한다. <싱글 인 서울> 같은 영화에는 이동욱 같은 ‘훈남’이 필요하다. 임수정 배우는 영화 <내 아내의 모든 것>, 드라마 <미안하다, 사랑한다> 때부터 섬세하고 예민한 연기를 잘하는 관록의 배우라고 생각했다. 이솜 배우는 <나의 특별한 형제>로 인연을 맺고 이번 작품도 함께해준다고 해서 정말 고마웠다. 병수 역은 오디션을 많이 봤다. 우연히 유튜브에서 이상이 배우가 비의 <레이니즘>을 커버한 영상을 보고 ‘이 사람이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감독에게 추천했고, 시나리오를 보낸 뒤 2시간 만에 하겠다고 답이 왔다. 드라마 <한 번 다녀왔습니다>와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로 대중적인 인기를 많이 얻기 전이라 ‘심봤다’고 생각했다. 예리 역의 지이수 배우는 <동백꽃 필 무렵>이 끝난 직후 오디션을 통해 캐스팅하게 됐다. 이미도 배우는 <레드카펫>에도 출연했던, 박범수 감독의 ‘절친’이다. 명필름과도 <파주>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시라노; 연애조작단>을 함께했다. 장현성 배우와 작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 캐릭터와 참 잘 어울렸다. 전반적으로 ‘지인 찬스’를 쓰며 캐스팅했다. (웃음)

팬데믹 이후 명필름의 길

- 한국영화 제작비가 상승한 시점에서 팬데믹으로 산업이 위축됐다. 올해 손익분기점을 넘긴 상업영화는 네편뿐이다. <싱글 인 서울>은 어려운 상황에서 돈을 벌 수 있는 상업영화 기획으로서 최선의 결과물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 2019년 한국영화 매출과 관객수가 정점을 찍었다. 당시 제작비 200억~300억원대 영화들이 속속 프로덕션에 들어갔지만 당시 명필름에는 대작 시나리오가 없었기 때문에 들어가지 못했다. 그런데 그 영화들이 시장에서 실패하는 모습을 보면서 업계가 충격에 휩싸였다. 그동안 명필름은 퀄리티 있는 프로덕션을 운용하면서 예산 대비 웰메이드한 영화를 계속 만들어왔다고 자부하지만 팬데믹 때문에 산업이 움츠러들면서 영화를 개봉하지 못했다. 개인적으로 ‘창고 영화’라는 표현은 영화에 안 좋은 낙인을 찍는 것 같아서 싫어한다. “영화사 안에는 창고가 없다”고 말하고 싶을 정도다. 상대적으로 몸집이 작아서 개봉 시기를 기다리던 <싱글 인 서울>은 거대한 변화 속에서 던져진 작품이다.

- 단순히 팬데믹 때문에 초래된 위기는 아닌 것처럼 보인다. 극장 외에 스포츠, 공연쪽은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으니까.

= 과거에도 영화계는 위기와 기회가 반복됐다고 하지만 지금은 정말 앞이 보이지 않는다. 더 바닥을 칠 것 같다. 결국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태계 자체를 바꿔야만 한다. OTT 플랫폼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면서 영화 자체의 경쟁력이 떨어진 점도 있지만 지금 이 상황은 근본적으로 과거 스크린 독과점 때문에 왔다고 생각한다. 개봉한 지 한달도 되지 않아 천만 관객이 들던 시대가 영화계 다양성을 실종시키고 산업 침체를 가져왔다.

- 올해 극장에서는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코미디영화가 기대 이상의 흥행을 하는 등 기존 공식을 깨는 결과들이 눈에 띄었다.

= OTT 플랫폼에서 유혈 낭자한 장르물을 소비하다가 극장에서는 웃기고 힐링되는 영화를 보고 싶어 하는 관객도 있는 것 같다. 지금 극장 관객을 주도하는 층이 다시 20대 여성이 됐다고 들었다. 그리고 10대 청소년들의 선택이 중요하다. 이들은 OTT에서 일본 애니메이션을 보고 자랐고 성인이 된 후 극장에서도 애니메이션을 소비하는 세대다. <짱구는 못말려> <명탐정 코난> 등 극장판 시리즈 관객수가 오히려 예전보다 증가한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게 아닐까. 여러모로 흥행의 판도가 달라졌다.

- 제작자로서 올해 가장 인상적으로 본 상업영화는 무엇인가.

= 사실 한국영화는 저예산 독립영화들을 더 좋아해서 <비밀의 언덕>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상업영화 중에서 꼽자면 <더 퍼스트 슬램덩크>다. 나는 <슬램덩크> 세대도 아니고 그 만화책을 본 적도 없는데 이거야말로 정말 시네마틱한 작품이라고 생각했다. 캐릭터 구현, 프로덕션의 퀄리티, 심장을 박동하게 만드는 사운드와 음악 등 모든 요소가 훌륭했다. 마니아와 대중 관객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최고의 콘텐츠이자 영화였다. 올해 명필름아트센터에서 가장 많은 관객이 든 영화이기도 하다. 만화책 종이의 질감까지 보여주는 색 온도, 공 튀기는 소리가 제대로 구현되는 시스템을 갖췄다며 이곳의 상영 시설을 굉장히 좋아해줬다. (웃음)

- <노회찬6411> <태일이> <길위에 김대중> 등 사회파 영화도 꾸준히 만들고 있다.

= <접속>을 만들 때 20대 메인 관객과 10살 차이가 났다. 지금은 30년 차이가 난다. 환갑이 됐는데 아직도 로맨스영화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웃음) 트렌드를 좇아 흥행성 있는 영화를 만드는 데 있어서는 점점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대신 지금 시대 사회에 필요한 이야기를 해야 한다는 소명의식이 생겼다. 앞으로도 동시대인으로서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를 계속 제작할 것이다. <노회찬6411> <길위에 김대중>을 만든 민환기 감독과 천재 조각가 권진규에 대한 이야기도 준비하고 있다.

- 앞으로 명필름을 통해 만나볼 작품은 어떤 것들이 있나.

= 내년 1월 <길위에 김대중>이 나온다. 명필름이 공동투자, 공동제작한 <옆에서 숨만 쉬어도 좋아>는 고시원에서 살다가 함께 살고 싶어서 집을 얻었는데 그만 전세 사기를 당하고 만 커플이 주인공이다. 현실적인 로맨스 장르다. 올해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올해의 배우상, 한국영화감독조합 플러스엠상을 받은 <해야 할 일>도 있다.

명필름이 제작한 영화들

1996 <코르셋> 1997 <접속> 1998 <조용한 가족> <해가 서쪽에서 뜬다면> 1999 <해피엔드> 2000 <섬> <공동경비구역 JSA> 2001 <와이키키 브라더스> 2002 <버스, 정류장> <후아유> <YMCA 야구단> 2003 <질투는 나의 힘> <바람난 가족> 2004 <욕망> 2005 <몽정기 2> <그때 그사람들> <안녕, 형아> <광식이 동생 광태> 2006 <여교수의 은밀한 매력> <사생결단) <아이스케키> <구미호 가족> 2007 <극락도 살인사건> 2008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걸스카우트> <소년은 울지 않는다> 2009 <파주> 2010 <작은 연못> <시라노: 연애조작단> 2011 <마당을 나온 암탉> 2012 <부러진 화살> <건축학개론> <두레소리> 2014 <관능의 법칙> <카트> 2015 <화장> 2017 <아이 캔 스피크> <7호실> 2018 <당신의 부탁> 2019 <나의 특별한 형제> <니나 내나> 2021 <빛나는 순간> <노회찬6411> <태일이> 2023 <싱글 인 서울>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