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
[인터뷰] 지승현이 이야기하는 그때 그 작품
2024-01-12
글 : 정재현

18년의 경력 동안 배우 지승현이 남긴 몇 순간을 지승현의 목소리로 전한다.

※ 작품의 경미한 스포일러를 포함합니다.

<바람>

지승현의 얼굴을 처음 알린 작품이자 그를 한동안 ‘짱구(정우) 옆 그 일진 선배’로 인식시킨 작품이다. 지승현은 사람들이 자신을 보고 <바람> 이야기만 건넬 때면 “내가 배우로서 발전이 없나” 고심했다. “<태양의 후예>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 등에서 주목받은 후에도 끊임없이 <바람>이 소환됐다. 한동안은 ‘내가 <바람>보다 더 나은 연기를 보여준 적이 없어서 그런가?’ 하는 회의가 들기도 했다. 돌이켜보면 내 자아가 너무 작았다. 이제는 그저 감사하다. 지금은 현장에서도 스탭 동생들로부터 ‘형, <바람> 톤으로 양규도 연기해주시면 안돼요?’라는 말을 듣기도 한다. 나라는 배우를 처음 알린 작품이라 평생 가져갈 것이다.”

<무뢰한>

<무뢰한>의 명장면은 술집 외상값을 받으러 간 혜경(전도연)이 자신을 희롱하고 무시하는 쇼핑몰 사장에게 “나 김혜선이야!”라며 겁박하는 신이다. 이때 전도연의 사자후를 적절히 보조한 쇼핑몰 사장이 바로 지승현이다. 지승현은 1회차 만에 찍은 당시 현장을 생생히 기억한다. “그때만 해도 선배 배우를 만날 일이 많지 않았는데 전도연 선배를 보자마자 얼었다. 전도연 선배가 나를 제압하며 연기를 하는데… 대사로 뺨을 맞는 기분이었다. 그날 이후 연기만으로 현장을 장악할 수 있는 에너지를 보유한 배우가 되어야겠다고 다짐하고 또 반성했다.”

<사바하>

평소 지승현은 슈퍼내추럴 장르를 선호한다. 그런 그에게 <사바하>의 이야기는 흥미로움의 연속이었다. 터널 살인 사건의 유력 용의자인 김철진으로 분한 지승현은 고통스러운 전사 속에 신음하는 철진의 아픔을 표현하려 특히 노력했다. 알고 보면 <사바하>에선 지승현의 액션 연기도 볼 수 있다. 철진이 목을 매달고 건물에서 뛰어내리는 장면은 실제 지승현이 스턴트 없이 와이어에 의존해 6층 높이의 건물에서 네댓번 낙하하며 소화했다. 지승현은 귀여운 푸념 하나를 더한다. “막상 영화를 보니 내가 너무 빨리 떨어져서 CG처럼 보이더라. 내가 직접 뛰어내린 장면인데, 억울하다!”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

지승현에게 ‘쓰랑꾼’(쓰레기+사랑꾼)이라는 별명을 안겨준 드라마. 지승현이 연기하는 재벌 2세 영화제작사 대표 오진우는 송가경(전혜진)과 정략결혼한 사이라 소원한 부부 관계를 보인다. 하지만 극이 후반으로 갈수록 가경과 진우는 서로를 향한 다정한 마음을 확인한다. “오진우를 연기하기 전까지 웹드라마를 제외하면 멜로를 연기한 경험이 거의 없다. 갈증이 있던 차에 이 작품을 만나 무척 감사했다. 전혜진 누나는 정말 좋은 배우다. 촬영 중 전혜진 배우와 술도 몇잔 기울여가며 즐겁게 촬영한 기억이 있다.”

<연인>

돌아보면 지승현은 2023년 가장 사랑받은 두 사극에 모두 출연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고려상남자’ 양규와 달리 <연인>의 구원무는 ‘조선하남자’다. 구원무는 병자호란 당시 자신의 부인 유길채(안은진)가 청으로부터 ‘환향’하자 아내의 정절을 의심하고 새 아내를 맞아들인다. 정작 지승현은 구원무를 ‘평생 길채바라기’라 염두에 두며 연기했다. “구원무는 그 자체로 호란 당시 조선인의 사상을 대변하는 캐릭터다. 지금의 관점에서야 길채를 구하러 가지 않는 원무가 한심하지만 몇대째 관직을 한 집안의 아들인 원무는 보수적인 풍습 탓에 길채를 구하러 갈 수 없었다. 원무가 재혼을 한 것도 부모의 뜻을 거역할 수 없는 당시 관습의 한계다. 처음 사랑에 빠진 이후부터 원무는 쭉 길채에게 진심이었다. 국밥집에서 길채에게 청혼한 원무를 보고 누군가는 ‘가성비 청혼’이라고도 하는데(웃음) 나는 그 장면에서 좋아하는 여자 앞에서 어쩔 줄 모르는 숙맥 구원무를 표현하고 싶었다.”

<고려 거란 전쟁>

양규는 전투마다 ‘효시’(嚆矢)를 쏘아 올리며 적에 맞선다. 전투의 시작을 알리는 화살인 효시는 양규의 분신이다. “양규는 흥화진 전투에서 끊임없이 효시를 쏜다. 작품의 대본에도 ‘양규가 곧 효시다’라는 글귀가 명시돼 있었다. 참절한 고려를 바라보며 흐르는 양규의 피눈물을 효시의 울음소리와 일체화하고 싶었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