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웅장, 장엄, 압도... 드니 빌뇌브 감독의 마스터클래스 <듄: 파트2> 시사 첫 반응
2024-02-22
글 : 조현나
글 : 정재현
글 : 이우빈

개봉을 10여일 앞두고 <듄: 파트2>의 언론배급 시사회가 열렸다. 극장 초입부터 몰려든 인파만으로도 작품에 대한 기대감을 감지하기 충분했다. 166분이라는 긴 러닝 타임이었지만 영화가 끝나고 극장을 나선 기자들은 지친 기색 없이 감상을 나누고 <듄: 파트2>를 분석하는 데에 여념이 없었다. <듄> 이후 3년 만에 공개된 <듄: 파트2>는 황제와 하코넨 가문의 계략으로 인해 아트레이데스 가문이 몰락한 뒤, 이들의 눈을 피해 폴(티모테 샬라메)와 어머니 레이디 제시카(레베카 퍼거슨)이 조용히 반격을 준비하는 과정이 그려진다. 전편에서 소개 정도로 그쳤던 챠니(젠데이아 콜먼)의 역할이 커졌고 이룰란 공주(플로렌프 퓨), 페이드 로타(오스틴 버틀러) 등 새로운 얼굴도 등장한다. 2월28일 개봉만을 기다릴 관객들에게 <씨네21> 기자들의 첫 시사 반응을 전한다.

조현나 기자

원작을 경애하고 이를 온전히 구현하고자 하는 드니 빌뇌브 감독의 의지가 강렬하게 느껴진다. 인물, 공간, 음악 등 고심해 디자인하지 않은 부분이 없다. 전작에 비해 액션의 비중을 키워 볼거리도 훨씬 다채로워졌다. 연출자가 ‘덕후’이기에 즐겁게 몰입할 수 있는 부분이 도드라진다. 전반적으로 미술이 더 정교해졌고 전편을 본 관객이 카타르시스를 느낄 만한 전개가 후반부에 산재한다. 영화는 이를 일일이 클로즈업하며 명확히 드러내보이는 동시에 이어질 시리즈에 대한 암시도 잊지 않는다. 다만 거의 모든 신들의 밀도가 상당히 높은 점은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초반부터 묵직한 신들이 쉴 틈 없이 밀려든 탓에 폴이 마침내 각성하고 대중 앞에 서는 모습이 오히려 평이한 인상을 남긴다.

정재현 기자

<듄: 파트 2>의 장점은 <듄>(2021)의 장점과 정확히 일치한다. <듄: 파트 2>는 SF 영화의 ‘시청각’이 내놓을 수 있는 최선의 스펙터클을 여전히 보이며 영화 속 세계의 물성을 관객이 온전히 감각하도록 돕는다. 이번 영화에서 본격적으로 그려지는 코리노 가문의 궁정이나 하코넨 가문의 풍경은 놀라운 시각적 쾌감을 선사한다. 광활한 사막 아래 고독하게 투쟁하는 단독자의 모습이 (유사 숏을 가진 영화를 다섯 개는 댈 수 있지만) 가져다주는 블록버스터의 압도감도 생생하게 살아있다. 다만 이 같은 종류의 감흥은 이미 <컨택트> <블레이드 러너 2049> 등 드니 빌뇌브의 전작에서 숱하게 경험한 ‘빌뇌브의 장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빌뇌브가 잘 하는 것을 여전히 잘한 셈이라 시네아스트로서 새로운 영토를 개척했다고 하기엔 어렵다. 봉건적 성 고정관념에 철저히 입각한 세계, 문화적 전유로 비판받는다 해도 뾰족한 반박거리는 없는 영화 미술과 배우 캐스팅 등 각색의 한계가 도드라지는 점도 못내 걸린다.

이우빈 기자

화면의 색감과 전체적인 미술의 수준, 속된 말로 영화의 ‘때깔’이야 당연히 극장 푯값이 아깝지 않은 정도다. 이야기의 낡음은 있겠으나 적절히 구현된 SF 왕정 판타지의 진중한 무게감을 느끼기엔 손색이 없다. 물론 아쉬운 점도 많다. 아이맥스 포맷의 좁은 화면비가 수평으로 넓게 펼쳐진 사막의 광활함을 제대로 담질 못한다. <듄>(2021) 때부터 줄곧 언급돼 온 <아라비아의 로렌스>(1962)와 비교해도 시각적 쾌청함이 많이 떨어진다. 아이맥스관보다 차라리 일반관에서 감상하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겠다. <아라비아의 로렌스>를 오마주한 태양의 매치컷도 별다른 감흥을 주진 못한다. 쇼트의 사이즈 선택이 전반적으로 비슷하기 때문인데 대체로 평범한 롱~버스트 숏을 쓰다 보니 편집의 맛이 다소 밍밍해졌다. 감정적으로나 서사적으로 아주 중요한 순간임에도 촬영과 편집이 평이할 때가 잦다. 화면의 파고가 낮다 보니 한스 짐머의 강렬한 음악도 생뚱맞게 느껴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영화의 훌륭한 시각적 요소란 과연 무엇인지를 재고해 볼 만한 작품이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