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장이독자에게]
[송경원 편집장] 안녕, ‘드래곤볼’
2024-03-15
글 : 송경원

<드래곤볼>을 처음 봤던 날의 충격은 아직도 생생하다. 자극적인데 건전하고, 뻔한데 궁금하고, 보수적인데 새로웠다. 도리아먀 아키라는 한편의 만화로 세상을 바꿨다. 이건 단지 ‘만화가 한 소년의 세상을 새롭게 열었다’는 수사적인 표현에 그치지 않는다. 파도가 모여 해안선의 윤곽이 나오듯 소년들의 달라진 세상이 모이고 뭉쳐, 정신 들고 보니 문자 그대로 시대가 바뀌었다.

솔직히 누구나 보는 <드래곤볼>보단 살짝 마이너한 감성의 <유유백서>를 더 좋아했다. 달리 말하자면 <드래곤볼>은 시큰둥해도 당연하게 챙겨보는 기본값이었다. 흐름의 중심이란 그런 거다. 도리아먀 아키라는 소년 만화 시스템의 근본을 다졌다. 전체 수익으로는 <포켓 몬스터>가 앞설 수도 있고, 마니아의 충성도와 파급력은 <슬램덩크>가 더 높았을지 몰라도 일련의 흐름은 모두 <드래곤볼>이 정립한 무대 위에서 성립한다. 전성기 시절 원고를 빠르게 송고할 수 있도록 집에서 공항까지 도로를 깔아주었다거나 연재 종료를 고민했을 때 일본 정부에서 직접 나서 만류했다는 농담 같은 에피소드는 이젠 <드래곤볼>의 위상을 짐작할 수 있는 전설이 되었다.

최근 위대한 창작자들을 연이어 떠나보내며 깨달은 게 있다. 그들은 멈춘 적이 없다. 과거의 영광으로 남길 거부한 채 ‘전설’이란 이름의 감옥 안으로 순순히 들어가지 않았다. 누벨바그의 아이콘 장뤼크 고다르는 스스로 스크린의 불을 끄기 전까지 영화를 만졌고, 얼마 전 타계한 영화학자 데이비드 보드웰은 세상을 떠나기 3일 전까지 글을 썼다. 도리야마 아키라 역시 현재진행형의 창작자였다. 전투력 인플레와 색깔 변신 뇌절을 거듭하고 있긴 했지만 급작스러운 사망 전까지도 <드래곤볼 슈퍼> 연재를 비롯해 왕성한 활동을 이어갔다. 그들을 멈출 수 있는 건 오직 죽음뿐이었던 셈이다.

이 평범하고 갑작스러운 죽음 앞에서 비로소 시대의 끝자락을 느낀다. 함께 놀고 성장하고 늙어가던, 한 시절의 페이지가 넘어가는 소리. 황혼으로 물드는 소리. 과거가 되어가는 소리. 위대함의 끄트머리도 구경 못할 내 입장에선 그들의 전성기, 비범하고 번뜩이는 창작 비결은 별 관심거리가 아니다. 대신 이별 소식이 들려올 때마다 그들의 황혼에 대한 궁금증이 하나둘 더해지는 중이다. 중심에서 멀어진 뒤 그들은 어떻게 자신을 지키며 시대와 호흡해나갔을까. 마지막까지 작업을 손에 놓지 않았던 심경은 무엇이었을까. 놓지 않을 수 있었던 의지와 용기는 어디서부터 오는 걸까. 안녕(Good bye)과 안녕(Hello) 사이, 도리야마 아키라를 떠나보낸 뒤에야 <드래곤볼>을 제대로 다시 본다.

시대는 점점 빠르게 변해가고 변화는 도둑처럼 찾아온다. 극장을 대체할 것 같았던 OTT 전쟁도 서서히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드는 형국이다. 오리지널 콘텐츠 경쟁은 점차 정리되고 결국 배급망으로서의 플랫폼 승자가 결정되는 모양새다. 플랫폼 경쟁이 끝나면 창작자의 겨울은 더 길어질지도 모른다. 벌써부터 여기저기 힘겨운 소리들이 들려온다. <씨네21> 역시 별반 다르지 않다. 극장의 황혼, 잡지의 끝자락에서 길을 찾는 중이다. 솔직히 헤매는 중인지 찾는 중인지 헷갈린다. 그럴 때마다 뒤를 돌아 시대를 풍미한 이들의 궤적을 마음속에 그려본다. 과거가 되지 않기 위하여.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