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모든 행동을 ‘MBTI’로 분석하는 흐름에 반대하는 입장이지만, 어떤 갈등은 MBTI가 없었다면 영원히 해결될 수 없었을 거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인간이 ‘P’(인식형)와 ‘J’(판단형) 유형으로 나뉜다는 걸 몰랐을 때를 생각해보라. 여행이란, ‘분 단위로 화장실 가는 시간까지 계획한 놈’과 ‘그저 시간 속에 나를 흘려놓는 놈’이 서로 ‘저새끼는 뭐가 문젤까?’를 끝없이 질문하는 싸움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어떤가? J 부심을 가진 친구가 ‘계획 수립’이라는 자신의 숙명을 기꺼이 짊어지면, P는 귀여운 척을 하면서 빡빡한 계획에 숨구멍을 뚫는 역할을 이행하면 그만이다. 행여나 갈등이 생기더라도 “쟨 P라서 그래”, “쟨 J라서 그래”라는 말로 상황을 수습할 수 있으니 MBTI는 상대방에 대한 이해를 포기하면서 도리어 상대를 포용할 수 있는 신통한 규격인 셈이다.
하지만 여전히 나는 MBTI 테스트로는 알아낼 수 없는 인간의 예측 불가능한 면을 좋아한다. 한 인간이 삶의 다양한 변수를 경험하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 만들어낸 인생의 독창적인 굴곡과 괴상한 모양의 사랑 같은 것을. 세미를 만나기 전인 2009년에는 내가 그런 것에 매료된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다. 세미는 청소년 봉사활동 프로그램에서 만난 나보다 3살 어린 가출 청소년이었다. 그는 주로 합정역 주변에서 친구들을 만나며 하루를 보냈고 24시간 운영되던 마트와 찜질방에서 의식주를 해결하는 홈리스 청소년이었다. 돈이 떨어지면 대개는 친구들과 돌아가면서 주유소 아르바이트를 했지만 가끔은 몰래 집에 들어가 부모의 돈을 훔치기도 했고, 가끔은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 돈을 구걸해 밥을 사먹곤 했다.
천호동에 살던 세미가 합정까지 오게 된 이유는 단 하나, 그곳에 YG엔터테인먼트 사옥이 있기 때문이었다. “언니 합정 가볼래? 진~짜 재밌어!” 나는 속수무책으로 세미에게 이끌려 하룻동안 YG 앞에서 ‘사생’을 했다. 세미는 건물 앞에 있는 편의점에서 끼니를 때웠고, 모르는 사람의 집 앞에서 담배를 피웠고, 건물 앞에 주차된 차 뒤에서 웅크려 앉아 화장을 했다. 세미와 사생 친구들은 YG 주차장을 바라보다가 승합차가 들어오면 흥분하여 이리저리 뛰어다녔다. 그리고 사옥 앞을 지나는 행인들을 보면서 그가 연습생인지 아닌지, 그가 빅뱅의 매니저인지 아닌지, 그가 지드래곤의 숨겨둔 여자 친구인지 아닌지를 추측하는 데 하루를 다 썼다. 나는 그것이 전혀 재밌지 않았다. 그 시간들은 몹시 민망했고, 이루 말할 수 없이 허탈했다. 나는 내심 세미가 나와 같은 생각을 하면서도 이곳에서 형성된 친구 관계 때문에 이 생활을 놓지 못하는 게 아닌지 의심을 했다.
“지드래곤이 왜 좋아?” 나는 무작정 질문을 던졌다. 그런데 세미는 생각보다 쉽게 대답을 했다. “귀엽고, 천재야.” 나는 또 질문을 했다. “언제부터 지드래곤을 따라다니게 된 거야?” 세미는 다시 귀엽고 천재적인 대답을 했다. “공개방송에서 나랑 눈이 마주쳤는데, 그때 입에 비눗방울이 쏙 들어오는 느낌? 그때부터 쭉….” 세미는 더는 묻지 말라는 듯 한번 더 덧붙였다. “지금 얘네(빅뱅)가 내 인생의 전부야.”
우리는 서로의 봉사 점수를 마지막으로 채운 뒤 헤어졌다. 나는 세미의 사정이 무엇인지 끝까지 알 수 없었지만, 학교와 가정을 멋대로 벗어난 비행 청소년이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사랑을 키우고 그것에 헌신하는지 두눈으로 똑똑히 보았다. 그의 사랑은 현실을 도피하기 위한 수단이었으며, 현실을 도피하게 만든 목적이었다. 누군가가 정교하게 놓은 덫에 스스로 발을 집어넣은 그는, 덫을 놓은 이에게 조금의 아량과 진심이 남아 있기를 기도하며 매일 더 깊은 함정으로 빠져들었다. 어느새 모두가 손가락질할 만큼 사랑의 모양이 삐뚤어졌지만 그는 멈출 수 없었을 것이다. 가짜 사랑이라 해도 그것은 인생의 전부였으니까.
2018년 BTS가 <FAKE LOVE>를 발표했을 때, 나는 처음으로 이 월드 스타들에게 인간적인 흥미를 느꼈다. 앨범이 발매된 시기는 그들이 북미 차트를 휩쓸기 바로 직전으로 이미 실력, 인기, 인지도 모든 면에서 절정을 맞은 때였다. 알파벳송을 내도 세상이 환호할 타이밍이었는데 갑자기 이렇게까지 어두운 이모(EMO) 스타일 팝을, 그것도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대해 말하는 곡을 내다니! 뭘 해도 되는 때니까, 극단으로 가버리는 걸까? 그 무모함이 한없이 짜릿했다.
팬들 사이에서는 어떤 해석이 존재하는지 모르겠지만, 나는 이 곡이 아이돌이라는 환상 속에서 아이돌 멤버들과 팬이 느끼는 혼란을 표현한 것처럼 느껴진다. 이 노래는 처음부터 끝까지 절규다. 창법만이 아니라 무대 구성, 뮤직비디오, 춤 모든 것이 그렇다. 그 절규는 마치 서로가 서로에게 목적 없는 순수한 사랑을 맹세했지만, 그 사랑이 지켜지는 방식에 개입된 수많은 목적들 때문에 관계가 위태로워지는 과정을 표현한 것처럼 보이고 들린다. 내 사랑이 그저 하나의 사랑으로 완벽해지기를 빌면서, 그 사랑 뒤에 순수하지 않은 모든 것들이 숨겨지기를 바라면서. 뮤직비디오에서 뷔가 들고 있는 휴대전화가 모래알이 되어 사라지고, 정국이 뛰어가는 바닥이 계속해서 무너지는 장면들 역시 그런 기분을 거의 직접적으로 비유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그러나 K팝의 진정성은 누가 뭐라 해도 무대로 완성되는 법. ‘그래서 대체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거야?’라는 노래의 질문은 무대의 마지막 파트에서 답이 되어 돌아온다. 사랑은 나쁘다며 울고 좌절하다가 사랑은 뭐가 사랑이냐며 냉소하던 이들은 노래를 끝마치며 무대 중앙에 모여 몸으로 하나의 꽃을 만든다. 환상인지, 현실인지 도무지 구분되지 않는 사랑의 형태 속에서 서로를 의심하고, 배신하고, 증오했던 아이돌과 팬은 그럼에도 서로가 나누었던 사랑의 순간만큼은 분명 진심이었을 거라는 믿음으로 피울 수 없던 꽃을 키우고, 피워낸 것이다.
‘덕질’을 하다 보면 종종 “아이돌과 팬이 나누는 사랑은 진짜(Reality)일까?”라는 질문과 부딪친다. 나는 종종 그것은 당연히 철저히 만들어진 ‘허상’에 불과하니, 그 부질없고 소모적인 활동을 당장 멈춰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내 주장이 강해지면 강해질수록 잊을 수 없는 덕질의 추억들이 ‘진심이야?’하듯 내 뒤통수를 뾰족한 것으로 찔러댄다. 아이돌과의 사랑은 쌍방이 주고받는 것처럼 보이지만 엄연히 일대 다수의 사랑이다. 하지만 그때 팬이 건넨 감정을 모두 허상이라 말하기엔 그 감정과 경험의 실체가 존재한다. ‘아이돌은 지극히 전략적으로 기획된 상품’이라는 명제도 사랑을 부정할 수 있는 완전한 근거는 되지 못한다. 팬은 그들의 산업에 포섭된 존재이지만, 그들이 아이돌에게 매료된 배경과 원인은 충분히 파고들 가치가 있는 개인의 경험이기 때문이다.
복잡한 구조의 사랑을 허상으로 치부했을 때 오류는 발생한다. K팝 산업과 K팝 문화에는 각각 원인이 분명한 숙제들이 많다. 그러나 이 문제를 밝히기 위해서 분명하게 존재하는 ‘사랑’을 부정한다면 문제는 언제나 원점으로 다시 돌아오게 될 것이다. 그러니 가끔은 질문을 역으로 던져보자. 아이돌과 팬이 나누는 사랑이 ‘진짜’가 아닌 이유는 무엇일까? 덧붙여서, ‘진짜 사랑’이란 과연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