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리포트]
[현지보고] 제법 의젓해진 방콕영화제
2004-02-10
글 : 박혜명
상영편수 확대, 외국 프로그래머 영입 등 노력... 갈 길 아직 멀어

지난해부터 타이 관광청이 주관하게 된 방콕국제영화제는 올해도 분명한 목적을 갖고 있다. 영화제쪽은 해외에서 초청한 기자단들에게 타이 관광일정이 포함된 스케줄을 2주 전에 전달해주는 반면, 자국 감독인 논지 니미부트르 감독에겐 그의 신작 <오케이 베이통> 상영 뒤 ‘관객과의 대화’ 시간에 참석해 달라는 부탁을 당일날 아침 전화로 전달했다. 이 Q&A 프로그램은 당연히 취소됐다. 행사 진행자는 감독이 극장으로 오고 있는 중이지만 차가 너무 막혀서 시간 내에 도착 못할 것이라고 해명하고 관객을 돌려보냈다. 그러나 이후에 만난 감독에게서 들은 대답은 그 부탁엔 처음부터 응할 생각이 없었다는 것이었다.

좀더 영화제스러워진 외형

어쨌거나 이 명분있는 국제적 홍보행사를 좀더 다듬어내기 위해 타이 관광청은 올해 새로운 인력을 불러들였다. 팜스프링스영화제 관계자였던 크레이그 프레이터와 제니퍼 스타크를 각각 방콕국제영화제의 이그제큐티브 디렉터와 프로그래밍 디렉터라는 실질적 지휘관 자리로 영입하면서 방콕국제영화제는 그야말로 좀더 ‘영화제스러워’졌다.

상영편수는 지난해보다 30여편 늘어난 180여편으로 경쟁부문만도 크게 세개로 나뉜다. 김기덕 감독의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과 피터 웨버의 <진주 귀고리 소녀>, 타이 영화 <시암 르네상스> 등이 속해 있는 ‘인터내셔널 컴피티션’을 비롯,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국가들의 영화를 모은 ‘아세안 컴피티션’, 그리고 ‘아시아 단편 및 다큐멘터리 컴피티션’ 등이 그것이다.

비경쟁섹션은 <도그빌> <안녕, 용문객잔> <런어웨이> <오사마> 등 “세계 최고의 영화들만” 95편을 모은 ‘세계 영화의 창’, 2003년 타이 최고의 흥행작 9편을 소개하는 ‘타이 파노라마’, 타이사회의 현실을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와 장편극영화들을 묶은 ‘타이 리얼리티’ 등 역시 세개 부문이다. 회고전도 있다. 올해의 방콕은 50∼60년대에 활동한 타이의 촬영감독이자 감독이며 제작자인 R. D. 페스톤지를 존 슐레진저와 함께 회고했다. 또한 촬영감독 특별상을 신설, 크리스토퍼 도일에게 첫 수상의 영예를 안겼다. 영화제 시상식인 키나리 시상식 행사장에서 꽤나 들뜬 제스처로 테이블 사이를 누비던 그의 영화는 영화제 기간 중 총 네편(<화양연화> <영웅> <우주에서의 마지막 삶> <쓰리>)이 상영됐다. 지난해 아녜스 바르다가 수상한 공로상은 올해 올리버 스톤에게 주어졌지만, 그의 영화는 상영작에 포함되지 않았다.

방콕의 번화가인 시암스퀘어에 마련된 영화제 쇼케이스 전경과 리도극장.

타이 상업영화 꼼꼼히 소개

구색은 갖췄어도 막상 영화제 운영은 허술했다. 애초 폐막작으로 예정돼 있었던 <킬 빌: vol.2>가 후반작업 지연으로 상영이 취소되고 데이비드 마멧의 <스파르탄>으로 대체된 것은 한 예에 불과하다.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의 도 아예 볼 수 없었고 비경쟁 부문에 초청된 <바람난 가족>을 비롯해 22개의 스케줄이 변경되거나 취소됐다. 이곳에서 얻을 수 있는 흥미로운 수확이라면 ‘타이 파노라마’ 섹션이 선보이는 아홉편의 타이 상업영화와 열네편의 아세안 컴피티션 상영작 중 총 다섯편을 차지하는 또 다른 타이영화들이다.

지난해에도 자국의 최신 영화 20여편을 상영했던 방콕국제영화제는 올해 역시 꼼꼼하게 자국영화들을 소개하고 있다. 칸국제영화제에 소개된 바 있는 펜엑 라타나루앙의 <우주에서의 마지막 삶>은 두 남녀주인공의 무기력한 일상과 고독을 찬찬히 훑어가는 영화다. 주연을 맡은 일본배우 아사노 다다노부의 섬세한 연기가 인상적이며, 지극히 현실적인 듯한 묘사 속에 과감한 판타지를 끌어들이는 장면들도 기억에 오래 남는다. 타이의 젊은 신인감독 6명이 함께 만들어서 지난해 타이에서 1억4천만바트(약 42억원)의 흥행수익을 올린 <마이 걸>은 어릴 때부터 친구인 두 초등학교 소년, 소녀의 예쁘고도 안타까운 사랑을 제법 세심한 이야기로 만들어낸 영화다. 타이의 80년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중년 관객층을 특히 많이 끌어모았다고 한다. 이외에도 한 여자의 실제 강간사건을 바탕으로 한 <프롬 피 람의 끔찍한 경우>, 젊은 음악가의 꿈과 도전을 그린 <더 오버추어> 등이 눈길을 끌었다.

최우수 영화상 <야만적 침략>, 최우수 감독상 짐 셰리던

골든 키나리 시상식은 영화제 마지막날보다 이틀 앞당겨 1월 31일에 개최됐다. 가장 비중있는 경쟁부문인 인터내셔널 컴피티션에서 최우수 영화상은 드니 아르캉의 <야만적 침략>이 수상했다. 지난해 부산국제영화제에서도 상영된 바 있는 이 영화는 칸국제영화제에서 각색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고 올해 오스카최우수외국어영화상 후보작에 올라 있다. 세계의 역사, 정치, 철학, 섹스 등에 대한 적나라한 이야기들이 주인공들의 입담을 통해 펼쳐지며, 아르캉의 전작 <미제국의 몰락>의 속편 격인 영화다. 최우수 감독상은 짐 셰리던에게 돌아갔다. 그의 영화 <인 아메리카>는 희망을 품고 미국으로 건너온 아일랜드계 가족이 그곳에서 겪는 적나라한 현실을 감동적으로 다룬 드라마. 셰리던 감독 가족의 자전적인 이야기이기도 하다. 주연배우인 사만다 모튼이 오스카 최우수여우주연상 후보로 올랐고 각색상 후보에도 올라 있다.

국제평론가 협회가 아세안 컴피티션에 수여하는 최우수 아세안영화상을 받은 펜엑 라타나루앙의 <우주에서의 마지막 삶>, 가장 비중있는 경쟁부문인 인터내셔널 컴피티션에서 최우수 영화상을 수상한 드니 아츠캉의 <야만적 침략>, 최우수 감독상을 받은 짐 셰리던의 <천사의 아이들>(In American)(왼쪽부터)

국제평론가협회가 아세안 컴피티션에 수여하는 최우수 아세안영화상은 <우주에서의 마지막 삶>이 차지했다. 이외에 단편과 다큐멘터리 부문에 네개의 트로피를, 최우수 주연 남녀 배우에게 각각의 트로피를 전달한 방콕국제영화제 시상식은 아주 짧게 끝났다. 2월1일의 폐막식 행사까지 끝난 뒤, 영화제 마지막날인 2일에는 추가상영 외에 어떤 상영일정이나 행사도 없다. 주말에도 영화제 상영작은 극장 좌석의 절반 이상이 남아돌았고, 시상식엔 영화인들보다 각국 대사들이 더 많이 자리했던 방콕국제영화제는 결국 마지막날까지도 이렇게 조용했다.

일정을 함께 했던 김지석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는 “무엇보다 게스트에만 신경을 쓰고 관객은 전혀 돌보지 않는 영화제”라고 여러 번 이야기했다. 영화제쪽이 올해부터 야심차게 기획한 3일짜리 필름마켓이 해외 바이어들에게 거의 관심을 끌지 못한 것보다 더 중요한 문제도 이 점이 아닐까 싶다. 관광도시 방콕을 홍보한다는 잿밥에만 관심을 두는 영화제에는 일반 관객이 흥미를 가질 이벤트가 거의 없었다. 방콕의 번화가인 시암스퀘어에 타이 메이저 제작사들이 홍보 부스를 세워놓고 있었지만 관심을 갖는 방콕 시민들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안타깝게도 그들은, 영화제 상영작 티켓 판매 부스보다 인근 쇼핑몰이나 식당에서 북적대고 있었다. 방콕=글·사진 박혜명 morning@hani.co.kr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