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영어제목인 〈Irreversible〉이 가스파 노에의 <돌이킬 수 없는>과 같다고 해서 영화가 시간을 역순으로 돌리는 것은 아니다. 겉보기에 평온하기만 하던 이들의 관계는 정남의 선배이자 혜숙의 옛 애인인 동률을 만나 바닥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이들의 사이는 급격하게 벌어지고 사소한 오해에도 상대를 상처 줄 말들을 줄줄 읊는다. 그리고 도저히 숨길 수 없는 서로의 간격이 드러난다. 이처럼 영화는 이미 지나버린 시간의 ‘돌이킬 수 없음’을 장탄식하기보다는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상태가 되어버린 그들의 관계와 말라비틀어진 일상에 시선을 준다. 알맹이 없이 엇박자만 치는 대화, 그리고 무덤덤한 애무 등. 그러나 영화의 분위기가 내용처럼 무겁지만은 않다. 대신, 좋은 아르바이트를 마다하고 참담한 심정으로 회갑연 촬영을 온 정남이 바지를 사장과 바꿔 입는다든가 레즈비언과 키스하다 여자 애인에게 얻어맞는 기발한 농담들로 가득 차 있다. 실소를 자아내는 부조리한 상황과 엉뚱한 대사들을 엮어놓아 인물들의 치졸하지만 절박한 속내가 드러나도록 한 구성이 녹록지 않다. 대번에 홍상수가 생각나는 이 이야기 방식은 실제로 영화 안에서 발견되는 홍상수의 서명에서 확인된다. 혜숙이 보러가는 <생활의 발견>이 그렇고, 맥주를 글라스에 따라 마시는 것을 따라하는 정남의 모습 같은 것은 애교스런 오마주이기까지 하다.
그러나 감독이 일상이나 인간성에 대한 냉소적 탐구에 뜻을 둔 것 같지는 않다. 감독지망생이라는 설정에서 보듯 감독 자신의 이야기임을 굳이 숨기지 않는 이 영화는 지나간 연애를 자꾸 되돌아보며 후회하는 자기 자신을 위한 것에 가깝다. 따라서 연애라는 구체적 체험을 미분해 모든 이가 공감할 만한 상투적 매듭들로 적분해나가는 것이다. 이렇게 영화는 감독 자신을 위한 “후회해도 소용없다”는 유익하고 또 유일한 메시지를 관객 모두에게 돌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