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트라이트]
소수 속의 소수를 지지한다, <잊혀진 여전사>의 감독 김진열
2004-04-22
글 : 오정연
사진 : 정진환

프로필 1973년생·<여성장애인 김진옥씨의 결혼이야기> <땅, 밥 만들기> <잊혀진 여전사>

시작은 이랬다. 현재 빅히트(?)를 치고 있는 <송환>의 촬영 소스에서 우연히 발견한 얼굴들. 장기수 할아버님들 못지않게 친근한 인상으로, 집회나 시위에서는 어김없이 맨앞에서 구호를 외치는 할머님들. “10년 이상 장기수 문제를 촬영했던 선배는 그분들을 ‘어머님’이라 불렀다. 그러나 그분들은 장기수 선생님의 부인도 아니고, 가족들도 아니었다. 그분들 역시 <송환>의 주인공들 못지않은 열혈 빨치산이자 공작원 출신의 ‘선생님’들이었음을 알게 되었을 때”, 김진열 감독은 “왜 이분들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몰랐을까”하는 분노가 치밀었다. 애초 ‘전쟁과 여성’을 다루려던 그가, 운동진영에서도 소외받는 여선생님들을 세상에 알려야겠다고 결심한 순간이다. 그로부터 3년. <여성장애인 김진옥씨의 결혼이야기> <땅, 밥 만들기>에 이어 김진열 감독이 세 번째로 만든 다큐멘터리 <잊혀진 여전사>는 제6회 여성영화제에서 관객의 열렬한 호응 속에 프리미어 상영됐고, 여성신문상을 수상했다.

“다큐멘터리 하는 사람들은 촬영한 테이프들을 혼자 보면서 화면 속 대상과 대화를 한다. 심지어 그 인물들이 너무 예뻐 보여서 모니터를 쓰다듬기도 한다.” 김진열 감독의 말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오랫동안 대상을 지켜보고, 혼자서 영상과 씨름하는 과정은 너무나 매력적이다. 사실 그의 꿈은 사회부 기자였다. “시사주간지에서 2년간 일하면서 각종 운동단체, 그중에서도 여성단체와 관련한 기사를 많이 썼다. 그러나 이처럼 사연 많은 취재원들을 잠깐 인터뷰하고, 한번 읽히면 그만인 기사를 쓰는 것에 대한 찜찜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기자 생활에 대한 회의가 밀려들 무렵, 그런 답답함을 다큐멘터리로 풀 수 있을 것 같았다. 안정적인 월급을 받던 직장을 때려치우고 선택한 독립다큐멘터리의 길. 이제 그는 “이처럼 재밌는 작업을 두고 왜 사람들이 극영화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작업을 하면서, 카메라 앞에 선 대상들에게서 가장 많이 배운다. 장애여성으로서 이중차별을 견뎌야했던 세월에도 불구하고 믿을 수 없을 만큼 낙천적인 진옥 언니, 아침부터 밤까지 신문과 책들을 꼼꼼히 챙겨읽고 각종 집회에 빠지지 않는 선생님들을 보면서 항상 ‘열심히 살아야지’ 되뇐다.” 김진열 감독은 <잊혀진 여전사>를 촬영하는 동안 선생님들께 ’나는 촬영이 끝나면 일상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사실을 계속해서 알렸다. 작업을 하면서 언제나 고민하게 되는 것은 그 이후 대상과의 관계였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강박이 그를 짓눌렀지만 이제는 그들을 살면서 만나게 된 친구처럼 생각한다. 의식적인 노력들은 부질없음을 알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번 관계를 맺은, 매력적인 대상에 대한 그의 관심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듯하다. 그는 현재 학부형이 된 김진옥씨의 요즘 모습을 담아내는 작업과 <잊혀진 여전사>에서는 다루지 못했던 공작원 출신 선생님들에 대한 후속작업을 계획 중이다.

김진열 감독은 여성학을 공부한 적도, 여성운동을 한 적도 없다. 그러나 장애인, 농민, 통일운동가 등 사회적 소수집단 속에서, 여성이라는 이유로 이중차별을 받고 있는 이들에 대한 관심은 그에게 너무나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그래서일까. 소소하고 섬세하게 관계맺는 여성들을 대하는 그의 작품 역시 대상을 닮아 있다. 그의 화면에는 일상적인 일들에 몰두하는 여성들의 모습이 자주 등장한다. 일급장애인 김진옥씨가 전화를 끊고 전화번호부를 서랍 속에 집어넣는 지난한 과정, 평생 농사일을 해온 어머니가 밭일하는 모습, 누구보다도 당당한 여전사이신 선생님들이 부엌에서 밥을 푸는 장면. 모든 것을 명쾌하게 설명하는 보도기사로는 도저히 전달할 수 없는, 지그시 바라봐야만 얻을 수 있는 그것이야말로, ‘삶의 진실’인지도 모르겠다.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