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21 리뷰]
장려했던 도시의 낙일을 노래하다, <트로이>
2004-05-18
글 : 김혜리
올림포스 신을 추방한 트로이 전쟁사. 여인들의 눈물 속에 남자들이 죽어가니, 인류는 어리석고 역사는 무심하다

시간의 먼지가 트로이의 성벽만큼 쌓이기를 수십번, 버려진 무수한 주검에 목구멍이 메었던 강의 신 크산토스마저 전쟁을 잊었을 이 즈음에, 장려했던 도시의 낙일(落日)을 노래하는 거대한 영화가 다시 완성되었으니 위대한 것은 옛 시인의 영감이요, 생생한 것은 4년 전 서사극 <글래디에이터>의 영광이다. 주지하다시피 이 전쟁의 기원은 터무니없다. 기원전 1200년 미케네의 왕 아가멤논이 무력을 앞세워 그리스 세계 통합을 꾀하는 동안 동생인 스파르타 왕 메넬라우스는 트로이와 강화를 맺는다. 형 헥토르를 따라 트로이의 사절로 스파르타 궁을 방문한 왕자 파리스는 메넬라우스의 비(妃) 헬렌과 갑작스런 사랑에 빠지고 귀향하는 배에 그녀를 숨긴다. 고귀한 헥토르는 아우의 어리석음을 한탄하나, 이미 불붙은 메넬라우스의 분노에 동생이 죽는 꼴을 차마 볼 수 없어 무모한 연인들을 데리고 귀국한다. 그렇지 않아도 트로이의 주권을 넘보다 핑계를 얻은 아가멤논은 그리스 연합군을 소집하고, 무적 장군 아킬레스는 왕의 욕심을 경멸하면서도 사랑하는 사촌 파트로클로스와 함께 출전한다. 반신반인으로 태어난 그에게 혁혁한 전공이 가져다줄 불멸은 치명적 유혹이었다.
제작사 워너에도, 감독 볼프강 페터슨에게도 <트로이>는 <글래디에이터>에 비해 위험한 프로젝트다. <글래디에이터>의 2배에 육박하는 1억7500만달러의 제작비와 긴 러닝타임도 부담이지만, 트로이 전쟁사의 갈등구조와 스토리는 하나로 잘 모아지지 않기 때문이다. 심리적으로는 아가멤논과 아킬레스가 갈등하지만 가시적 사건은 헥토르와 아킬레스의 전쟁이고, 선악의 분별 또한 대체로 헛되다. 시나리오는 베르길리우스의 <아에네이드>, 호머의 <오디세이아>, 오비디우스의 <변신>을 참조해 <일리아드> 이전과 이후를 포괄하되 그리스군 상륙 뒤 9년의 세월은 생략했다. 할리우드에서 가장 비싼 작가로 부상 중인 데이비드 베니오프는 전세를 쥐락펴락하던 신들을 몰아내고 영웅들이 각자 다른 이기적 동기로 참전했음을 강조한다. 아가멤논은 권력과 부를 위해, 아킬레스는 명예를 위해, 오디세우스는 약소국의 연명을 위해, 파리스는 사랑을 위해, 헥토르는 가족과 동족의 안전을 위해 살육한다. 테티스의 군더더기 출연을 제외하면 모든 신이 퇴장한 가운데, 혹시 아프로디테만 암약했는지 <일리아드>에서는 영웅들을 흔든 적이 없었던 로맨스도 만연한다.

감독과 작가가 연민하는 쪽이 궁경에 빠진 트로이 진영이라는 점은 첫눈에도 분명하다. 품위있는 트로이의 기병에 비해 그리스 병사들은 야만스러워 보인다. 근사한 대사는 주로 미남 헥토르 형제의 몫인 반면, 둔하고 털 많은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 형제의 캐릭터는 유난히 평면적이다(둘의 결말로 미루어보아 두 캐릭터는 작가가 보기에도 거슬렸던 모양이다). 전쟁과 액션이라면 한두 가지 아는 볼프강 페터슨 감독과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에서처럼 공중 숏을 애용한 로저 프랫의 카메라는 압도적인 스펙터클을 연출한다. 그러나 감독은 잔혹한 사지절단을 최소화하는 한편, 액션의 정점을 정적 속에 완벽하게 무대화한 일대일 대결에서 찾는다. 홀리필드와 알리의 대전 스타일을 본뜬 헥토르와 아킬레스의 결전에서 절정에 달하는 창검과 방패의 액션은 고대의 전투를 전에 없던 상상력으로 재현한다. 특히 ‘공중 270도 돌아 급소 찌르기’로 감탄을 자아내는 아킬레스의 동작은, 날랜 드리블 끝에 덩크슛을 꽂아넣는 농구 선수의 그것이다. 약간 귀찮은 듯이 중력을 희롱하는 그의 움직임은 브래드 피트의 어떤 대사보다 반신반인 아킬레스의 캐릭터를 잘 설명한다.

그러나 영화의 심장은 정녕 헥토르의 것이다. 헬렌을 돌려보내라고 충고하자 “돌아가 싸우다 죽어버릴 테야”라고 토라지는 동생에게 헥토르는 말한다. “사람이 죽는 걸 봤느냐? 사람을 죽여봤느냐? 나는 죽음을 보았고 죽였다. 인간이 죽는 일에는 아름다움도 영광도 없다.” 명예를 아는 그가 목숨을 구걸하는 동생 때문에 비겁하게 적을 찌르는 장면은 <트로이>를 통틀어 가장 비통하다. 그래서 헥토르가 숨진 뒤, 트로이가 화염에 휩싸이고 몇몇 주요 인물의 운명이 갈리지만 맥빠진 후주의 느낌을 지우기 힘들다.

뜻밖에 <트로이>는 교훈까지 안긴다. 꼬투리를 잡아 연합군을 출병하고 무고한 도시와 백성마저 멸하는 이야기는 친숙하다. 그나마 아가멤논의 시대에는 명예로운 교전수칙과 포로와 전사자에 대한 예우가 엄연했으니 역사가 전진한다고 누가 말하리오.

:: <트로이> WHO’S WHO 가이드

트로이의 벌판을 수놓은 인물 열전

아킬레스 (브래드 피트)

최고 용사끼리의 전투로 승부를 가리기로 적국의 왕과 합의한 아가멤논이 기세좋게 아킬레스를 호명하자 병사들이 쭈뼛쭈뼛 아뢴다. “아킬레스 장군님 안 나오셨는데요.” 애국심은 없지만 대단히 유능한 군인. 삶이 지겨운 듯, 사지임을 알면서도 미르미돈군을 이끌고 트로이 전장으로 떠난다. 그리스 진영의 제임스 딘. 자아도취가 강하며 마음속으로 자신의 위인전을 쓴다.

파리스(올란도 블룸)

트로이가 불타는 불길한 태몽으로 태어난 그는 양치기로 길러졌다고 한다. 수호신 아프로디테가 사라진 영화에서는 결투 중 도망쳐 형에게 목숨을 기대는 망신을 초래하지만 위기가 닥치자 <반지의 제왕>의 레골라스로 변신(?), 궁술을 뽐낸다. 작가 베니오프는 “나 역시 영웅들처럼 군중 앞에서 싸울 수 있는 용기가 없다. 그래서 파리스는 내가 감정을 이입한 캐릭터다”라고 말했다.

아가멤논(브라이언 콕스)

트로이로 출항하는 배의 돛에 바람이 불지 않자 딸 이피게네이아를 제물로 바쳤다. 정이 떨어진 왕비 클뤼타임네스트라는 전쟁 중 새 사랑을 만나 귀향한 남편을 살해했다고 전해진다. 영화에서는 다른 여자의 손에 죽는다. <엑스맨2>의 악역 브라이언 콕스가 분했는데 <엑스맨>의 타일러 메인(세이버투스)을 아이아스 역으로 끌고 나왔다.

브리세이스(로즈 번)

아가멤논과 아킬레스의 갈등을 불러 전쟁의 국면을 뒤바꾸는 결정적 인물임에도 <일리아드>에서는 이름만 언급되는 그녀를 <트로이>의 작가 베니오프가 100% 창조했다. 헥토르와 사촌이라는 설정을 추가해 아킬레스의 사촌 파트로클로스의 비극과 대구를 이루었으며 노예에서 여사제의 신분으로 상승했다. 로즈 번은 한때 헬렌 역으로 물망에 올랐다.

메넬라오스(브랜든 글리슨)

오쟁이진 남편. 제우스의 딸인 절세미인 헬렌을 차지하고, 다른 구혼자들로부터 결혼생활에 문제가 생길 경우 적극 해결에 협력한다는 맹세를 받아두었다. 전설은 그가 어여쁜 아내를 되찾고 그녀의 교태에 전쟁이 있었던 사실까지 잊었다고 하지만, 영화에서는 그런 행운을 누리지 못한다.

파트로클로스(가렛 헤드룬드)

아킬레스의 깊은 사랑을 받은 사촌으로 <일리아드>는 그가 죽자 아킬레스가 자해하지 않을까 전우들이 두려워했다고 전한다. 아킬레스와의 동성애적 관계가 추측되기도. 아킬레스에게 직접 고하고 갑옷을 빌렸던 <일리아드>와 달리 몰래 출전해 용맹을 떨치다 헥토르 손에 죽는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