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21 리뷰]
호러와 스릴러 사이의 어정쩡한 범작, <콜드 크릭>
2004-05-18
글 : 김용언
<아미티빌의 저주>처럼 시작하여 두 남자의 대결인 서부극으로 끝난다.

아이들을 키우기에는 도시가 너무 위험하다고 생각한 여피 부부, 쿠퍼와 리아는 시골로 이사온다. 19세기 소설에서 막 튀어나온 듯 고풍스러운 아름다움을 과시하는 콜드 크릭 저택은 꿈에 그리던 스위트 홈을 실현시켜줄 것 같았다. 하지만 저택의 전 소유주인 매시 일가에 관한 어두운 흔적들이 저택 이곳저곳에서 출현하고, 다큐멘터리 감독인 쿠퍼는 직업적 호기심으로 저택의 내력을 조사하기 시작한다. 그 순간 막 출옥하여 저택으로 돌아온 매시 일가의 아들, 데일이 등장하는 순간 그는 치명적인 위협의 존재로 다가온다. 이제 ‘누구보다 이 집을 잘 알고 있는’ 데일과 ‘뉴욕에서 시골까지 내려온 낯선 이방인’ 쿠퍼 사이의 전쟁이 시작된다.

줄거리만 듣더라도 <콜드 크릭>은 유명한 레퍼런스 목록을 피할 수 없을 것 같다. <케이프 피어>(줄리엣 루이스가 이번에는 ‘범죄자’의 애인 역이다)부터 <패닉 룸>(크리스틴 스튜어트가 다시 한번 위협당하는 소녀로 등장한다), 혹은 <샤이닝>에서 <디 아더스>에 이르기까지. ‘아름답고 안전해 보이는 저택의 외양을 믿지말라, 이곳은 악의 소굴이다’라는 단정적인 전제에서부터 출발하는 <콜드 크릭>은 또한 놀랍도록 상투적인 아이콘들을 남발한다. 저택 곳곳을 기어다니는 뱀(안락한 낙원이 뱀의 등장으로 산산조각나는 설정), 끔찍한 비밀이 숨겨진 우물 입구에 ‘악마’라는 팻말이 걸려 있다든가 하는 진부한 은유들(‘외부의 시선’ 숏의 남발 역시)은 스릴러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해야 할 전제, 즉 콜드 크릭 저택에 대한 호기심을 작동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무엇보다 이토록 예측 가능한 스릴러의 연출자가 마이크 피기스라는 사실이 가장 놀랍다.

그의 전작들 <폭풍의 월요일>이나 <유혹은 밤그림자처럼>이 필름누아르로서 일정한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에는 마이크 피기스 특유의 터치 때문일 것이다. <라스베가스를 떠나며>나 <원 나잇 스탠드>에서 가장 선명하게 드러났던, 재즈에 대한 탁월한 감수성과 분위기 창조에 일가견이 있는 안목 때문이 아니었던가. 물론 피기스가 줄기차게 추구했던 테마인 ‘남성다움’ 혹은 현대의 ‘남성성’에 대한 집요한 관심은 이 영화에서도 중심축을 이루고 있지만, <콜드 크릭>에서는 허점투성이 내러티브를 상쇄해줄 만한 매혹적인 요소들이 절대적으로 빈곤하다. 차라리 호러와 스릴러 사이의 어정쩡한 범작으로 남기보다는, 데일과 쿠퍼간의 ‘남성다움’의 투쟁쪽에 좀더 집중했을 때 훨씬 흥미로운 심리스릴러로서의 독특한 위치를 점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