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비평 릴레이] <무간도3> 허문영 영화평론가
2004-07-06
글 : 허문영 (영화평론가)
“영웅은 거기 없었다” 홍콩누아르 공식 뒤집기

<무간도 3: 종극무간>은 <무간도>의 전사인 <무간도 2: 혼돈의 시대>에 이은 이 시리즈의 완결편이며 <무간도>의 후일담이다. 1, 2편을 보지 않았다면 이 완결편을 보는 일은 거의 고통스러울 것이다. 형사와 갱스터가 주인공이며 멜로까지 가미됐건만, 숨막히는 추격도 눈부신 총격도 가슴저린 이별도 없다. 과거와 현재를 수시로 오가는 구성은 혼란스럽기 짝이 없으며, 자신이 누구인지 잊어버린 주인공의 환각은 고스란히 현실처럼 제시돼 보는 이의 시선을 교란한다. 이만큼 불편한 속편은 드물다.

“우리는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97년 이전을 흔히 좋았던 시절로 기억한다. 그러나 과연 그랬을까”(감독 유위강) 이 도시에 과연 영웅이 살았을까, 라는 질문으로 <무간도> 시리즈는 시작했다. 그것은 귀속에 대한 열망과 불안이 공존했던 무국적 도시 홍콩이 자신의 기묘한 현대사에 던지는 질문이자, 동시에 동북아시아뿐 아니라 미국과 유럽에까지 열렬한 지지자를 거느린 소위 홍콩 누아르의 영웅들, 혹은 그들로부터 빌려온 홍콩인들의 자기 이미지에 대한 질문이다. 그 질문은 역사적이고 동시에 영화적이다.

<무간도>는 망설임 없이 답한다. 영웅은 거기 없었다. 10년 동안 갱단에 잠입한 경찰 진영인(양조위)과, 똑같은 시간 동안 형사로 잠입한 갱 유건명(유덕화)은 ‘쌍웅’이 되어야 할 인물이었다. 적의 운명을 타고 났지만 자신의 세속적 운명으로부터 이탈해, 두 영웅은 영혼의 경계를 지우고 마침내 신성에 이르러야 마땅했다. 그것이 형사와 킬러(혹은 갱)에게 형제의 영혼을 나눠준 홍콩누아르의 계율이었다.

그러나 <무간도> 시리즈는 같은 곳을 출발해 다른 곳에 도착한다. 진영인은 갱을 닮아가고, 유건명은 온전한 형사가 되려한다. 둘의 소망은 같다. 신이 아니라 좋은 사람이 되는 것. 이제 두 사람은 서로에게 가장 위험한 존재가 된다. 경계는 소멸되지 않고 절대화하며 영웅은 불가능하다. 둘은 승천하지 않고 추락한다. 그것은 고통이 영원히 지속되는 무간지옥의 길, 곧 무간도다. <무간도> 시리즈는 거꾸로 선 홍콩누아르 혹은 홍콩누아르의 필름누아르 버전이다.

<무간도3>에는 진영인이 살해되기 6개월 전의 시점부터 발생하는 사건과 진영인이 살해된 지 10개월이 지난 현재의 사건들이 교차한다. 진영인을 상담했던 정신과의사 리박사(진혜림)와 진영인의 내밀한 감정교류가 한축을 이루고, 불길한 표정의 보안부 형사 양금영(여명)과 유건명의 대립이 또다른 축을 이룬다. 중국 무기거래상으로 위장한 북경 경찰 심등(진도명)이 과거와 현재 곳곳에서 괴이한 미소를 띠며 출몰한다. 유건명은 자신을 진영인으로 착각하며 점점 미쳐간다.

일견 어지럽고 혼란스러운 <무간도3>은 장르적 세공술의 절정이다. 허세를 버린 대사는 고도로 절약돼 있으며, 민첩하면서도 조용한 카메라는 미묘한 표정 변화와 미세한 손동작을 놓치지 않는다. 스릴러에 심리극을 뒤섞고, 현실과 환상 그리고 과거와 현재를 숨가쁘게 오가며 4명의 인물이 복잡한 게임을 벌이지만, 낭비되는 동작과 대사는 찾기 힘들다. 유건명이 검지를 톡톡 두드리거나 진영인이 “내가 나쁜 사람 같아, 좋은 사람 같아”라고 물어볼 때, 그것이 환기하고 예비하는 것들에 주의할수록 영화는 숨막힐만큼 촘촘해진다. 이 영화를 극장에서 본다면 사운드의 극히 예민한 사용도 알아차릴 수 있다. 배우들은 대부분 훌륭하지만 무엇보다 유덕화는 피로와 불안에 찌든 표정만으로도 생애 최고의 연기를 선사한다. 자살을 했으나 죽지 못한 그의 멍한 얼굴은 오래 지워지지 않는다.

<무간도3>이 오래 기억될 영화라면, 그것의 기술적 성취가 아니라, 깊은 장르적 자의식 때문이다. 그것은 홍콩누아르의 신화, 그리고 홍콩의 ‘좋았던 시절’에 대한 성찰에서 비롯된다. 공동 연출을 맡았으며 각각 촬영과 각본을 겸한 유위강과 맥조휘는 가장 홍콩누아르적인 세팅과 설정으로 가장 심리적이며 개인적인 영화를 만들었다. <무간도> 시리즈는, 서부극에 대해 <용서받지 못할 자>가 그랬던 것처럼, 혹은 갱스터에 대해 <대부>가 그랬던 것처럼, 하나의 장르가 이를 수 있는 가장 내면적인 자기비평으로, 그리하여 홍콩영화사의 잊지 못할 기념비로 남을 영화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