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21 리뷰]
키치적 향취의 액션 활극, <리딕-헬리온 최후의 빛>
2004-08-10
글 : 김도훈
거대한 스페이스 오페라의 무대 속에서 펼쳐지는 키치적인 액션 활극. 빈 디젤의 매력이 빛을 뿜는다

먼 훗날, 네크로몬거라는 악의 종족이 있단다. 이들의 목적은 우주의 모든 행성을 돌아다니며 포교활동을 벌이는 것. 다스 베이더처럼, 그들의 종교를 받아들이지 않는 행성은 그야말로 잔혹하게 씨를 말려버렸다 한다. 그리고 헬리온이라는 행성이 있었다. 고도의 문명(그리고 페르시아 스타일의 패션감각)을 자랑하는 이 ‘빛의 행성’은 네크로몬거들의 침략을 받고 존립의 위기에 빠졌다. 예언에 따르자면, 당연히 구원자가 나타날 것이니라. 리딕이라는 이름을 가진 죄수(빈 디젤)는 전사 퓨리언족(族)의 마지막 생존자일지니. 과연 은하계의 운명은 이 단단한 근육질 남자의 두손에 달려 있는 것일까. <스타워즈>를 흉내내듯, 낮게 드리워진 마녀 에레온(주디 덴치)의 목소리로 시작하는 <리딕-헬리온 최후의 빛>은 오랜만에 보는 거대한 우주 활극(스페이스 오페라)의 세계다.

데이비드 토이 감독이 15살짜리 상상력으로 빚어낸 이 혼성 모방의 우주에서 리딕은 “우주는 언젠가는 끝이 나게 되어 있어”라는 배배 꼬인 대사를 중얼거리며 만사가 귀찮다는 듯이 행동하면서도 괜한 ‘은하계적 운명론’에 얽혀든다. 이런 초(超)인간적인 근육질 캐릭터가 설득력을 얻는 것은 슈퍼히어로를 피와 살을 가진 인물처럼 연기할 줄 아는 빈 디젤의 덕택. 거칠지만 대담하게 완성된 미술과 특수효과도 인상 깊다. 반면 설명은 부족하고 느슨하고 방만하게 얽힌 인과관계들은 불친절하기 그지없다. 제작진도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커다란 ‘신화’를 뭉뚱그려 두 시간의 활극 속에 집어넣는 것에 성공하는 것은 불가능한 임무가 아니던가. 방대한 프랭크 허버트의 대하소설을 두 시간에 구겨넣다가 결국 알란 스미시(감독이 영화를 포기했을 때 붙이는 가상의 이름)의 이름을 달고나온 데이비드 린치의 <듄>은 어떤가.

전편(<에이리언 2020>)과 아무런 상관없이 만들어진 <리딕-헬리온 최후의 빛>은 감독의 과욕이 지나치게 도드라지는 실패작일는지 모른다. 하지만 한여름 액션영화의 팬들에게나 SF 장르의 사려 깊은 팬들에게는 각기 다른 이유로 은근히 즐길 만한 구석이 많은 영화다. 더구나 마지막 장면에서 악의 왕좌에 자기도 모르게 걸터앉아버리는 리딕과 갑자기 그를 왕으로 모시며 절을 하는 네크로몬거들, 돌아서서 ‘안 돼!’ 하고 절규하는 사악한 바코 부인(탠디 뉴튼), 그 위에 ‘아아. 그 누가 알았으랴’로 시작하는 에레온(주디 덴치)의 목소리가 깔리며 영화가 끝나가는 순간, 이 방만한 블록버스터는 일순간 실험극 무대에 올려진 ‘맥베스’처럼 키치적인 향취를 발산한다. 그걸 느끼고는 자기도 모르게 웃음짓는 관객이 분명히 있을 게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