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브리짓 존스의 일기2: 열정과 애정>과 세 배우 [1]
2004-12-07
글 : 박은영
LA 시사회에서 미리 만난 <브리짓 존스의 일기: 열정과 애정>

브리짓의 좌충우돌 성장기

그들은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더래요. 그러니까 모든 연애 동화가 거기서 끝나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남녀가 만나서, 첫눈에 서로 반하거나,아님 옥신각신하던 차에, 사랑의 감정을 느끼고, 그러다가 결혼에 골인한다는, 연애사의 첫 챕터만 화사하게 그려내는 것이 로맨틱코미디의 정석이다. 뒷얘기? 그건 판타지가 아니라 현실의 몫이다. 신파적 감정과 비루한 현실에 잠식당하는 연애 말기의 징후들, 위기와 종말을 굳이 동화(영화)에서 봐야 할 이유가 있을까. 그런데 거기에도 예외가 있더란 말이다. 3년 전, 외모 콤플렉스와 의지 박약에 시달리면서, 일과 사랑, 뭐 하나 잘 풀어가는 것 없는, 세상 모든 독신녀들을 연대하게 만들었던 브리짓 존스. 눈 내리는 거리를 속옷 차림으로 질주해, 진정한 ‘사랑’ 마크 다시의 품에 안겼던 그녀는 그뒤로 어떻게 지내고 있을지, 마치 오랜 친구의 소식을 기다리듯, 많이들 궁금해했다. 브리짓의 ‘본격’ 연애 스토리 <브리짓 존스의 일기: 열정과 애정>의 LA 시사회장은 그래서인지, 동창회처럼 떠들썩하고 달뜬 분위기였다.

세계를 무대로 한 브리짓의 산전수전?

브리짓 존스의 연애 전선에 이상은 없는지, 일은 좀 능숙해졌는지, 그 근황을 체크할 방도가 없었던 건 아니다. <브리짓 존스의 일기>가 영화화되기 전인 2000년 이미 속편 소설 <브리짓 존스의 애인>에서 그녀의 ‘후일담’을 소개하고 있었으니까. 하지만 이미 배우 3인방에게 익숙해진 관객으로선, 활자를 곧장 상상으로 옮겨내기가 쉽지 않았다. 어서 빨리 속편이 나와주길, 전편 그대로 배우와 스탭들이 뭉쳐주길 바라는 수밖에 없었다. 2년 전부터 들려오기 시작한 속편 제작 소식엔, 루머인지 정설인지 모를 불길한 이야기들도 포함돼 있었다. 르네 젤위거가 살을 안 찌우겠다고 버틴다거나(이건 낭설이었다), 콜린 퍼스와 휴 그랜트가 속편 출연에 회의적이라거나(망설인 건 사실이었다), 감독이 교체된다거나(이건 현실이 됐다) 하는 이야기들. 과정이야 어찌됐든, 전세계적으로 2억8천만달러를 벌어들인 전작의 성과, 그리고 캐릭터와 배우를 분간 못하는 팬들의 성원에 ‘책임감’이 발동한 이들은 속편에 힘을 보탰다. 그렇게 만들어진 <브리짓 존스의 일기: 열정과 애정>은 결론부터 말하자면, 연애의 ‘시작’과 ‘과정’의 차이처럼, 전편과는 다른 영화로 거듭났다. 하루에도 몇번씩 천국과 지옥을 오가는 브리짓의 속내가 판타지와 코미디로 교차하는 가운데, 스케일이 커지는 속편의 법칙을 따라 브리짓의 일과 연애는 세계를 무대로 펼쳐지고 있다.

영화는 브리짓 존스가 ‘완벽한 연인’ 마크 다시와 환상적인 6주를 보낸 뒤로부터 시작된다. 새 다이어리에 몸무게와 흡연량뿐 아니라 섹스 횟수를 적어내려가면서, 브리짓은 <사운드 오브 뮤직>의 마리아와 폰 트랩 커플 같은 해피엔딩을 꿈꾼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게 녹록지 않다. 마크의 젊고 예쁘고 지적인 인턴 레베카의 존재에 브리짓은 안절부절못하며, 의부증 증세를 드러낸다. 그뿐인가. 법조인 파티에 초대된 브리짓은 스스로 마크가 속한 세상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느끼고는 좌절한다. 결혼 생각은 꿈에도 없는 마크와 다투고 냉전 중이던 브리짓에게 이번엔 옛 애인이자 상사였던 다니엘 클리버가 접근한다. 여행 쇼의 스탭으로 엮이게 된 두 사람은 함께 타이로 날아가고, 거기서 브리짓은 마약 사범으로 몰려 감옥에 갇히는 신세가 된다. 그녀는 어떻게 이 난관을 뚫고 귀환할 것이며, 두 남자 중 누구의 손을 들어줄 것인가.

어쩌면 이번 영화에 더 잘 어울리는 제목은 ‘브리짓 존스의 일기: 산전수전’일 것이다. 일과 사랑, 둘 다 잡았다고 생각했지만, 잘하려고 하면 할수록 엉망으로 꼬여가는 현실 앞에 난망해지는 경험. ‘해피엔딩’이라고 자부했던 연애엔 왜 그리 걸림돌이 많은가. 젊고 예쁜 여자는 내 남자 앞에 자꾸만 얼쩡거리고, 남자가 속한 상류사회엔 적응이 안 되고, 한때 매력으로 비쳤던 남자의 성격, 침대로 들어올 때 ‘팬티를 가지런히 개는’ 철저함에 숨이 막히기 시작한다. 결국 그녀는 모든 문제의 원인을 ‘완벽하지 않은 나 자신’에게로 돌린다. 관계에서 중요한 건 완벽해지는 것이 아니라 성숙해지는 것임을 깨닫기까지, 브리짓의 시행착오와 좌충우돌은 계속된다. “브리짓은 조금 더 성숙하고, 조금 덜 순진하며, 조금 더 세속적이고, 조금 더 단정적으로 변했다. 이런 변화를 드러내는 게 적합하다고 생각한 건, 이미 나 자신도 나이가 들고 달라졌기 때문이다.” 르네 젤위거의 말처럼, 속편은 브리짓 존스와 르네 젤위거의 변화를 이끌어낸, 안팎의 ‘성장기’가 되었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