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21 리뷰]
시공간과 또 다른 시공간의 혼재가 빚어내는 공포, <레드아이>
2005-02-15
글 : 김용언
서울발 여수행 마지막 무궁화 열차에 ‘(16년 전)그때 그 사람들’이 돌아왔다.

자정에서 새벽까지, 서울에서 여수까지 달리는 무궁화호 열차에는 다양한 승객들이 탑승해 있다. 사실 이 열차는 사상자가 100여명에 달하는 초유의 열차 사고 이후 그중에서 건져낸 객차 몇량이 연결되어 있는 열차이며, 오늘은 바로 예의 사고로부터 정확하게 16년이 흐른 그날이기도 하다. 열차 판매원 미선(장신영)은 기차가 터널에서 한번 급정거를 한 뒤 운행을 재개하고 나서부터 이상한 느낌을 받는다. 조금 전과 같은 객실이지만, 미선의 눈에는 80년대 옷차림과 세로쓰기 신문, ‘1988년 7월16일’이라고 찍힌 날짜가 보이기 시작한다. 혹시, 과거가 되풀이되고 있는 것일까?

한정된 시공간에서 벌어지는 이야기, 그리고 그 한정된 시공간을 무너뜨리는 다른 시공간의 혼재가 빚어내는 공포. <레드아이>가 내세우고 있는 다른 공포영화와의 차별지점은 상당히 매력적으로 들린다. 열차 판매원 미선이 열차의 이쪽 끝에서 저쪽 끝까지 판매카트를 끌고 죽 일직선으로 걸어가야 할 때, 대체 이 차량에 어떤 존재가 있을지 짐작도 할 수 없기 때문에 각각 다른 차량을 지날 때마다 계속 새로운 상황에 직면해야 하는 미선이 느끼는 공포가 (미선의 시점 숏으로 인해) 관객에게 고스란히 전달될 수 있었을 것이다. 혹은 수많은 승객들 중에 누가 과거에서 돌아온 이들인지 아닌지를 알아낼 수 없기 때문에 과거의 비밀이 밝혀지는 절정 부분에서 관객에게 충격을 안겨줄 수 있는 비장의 카드가 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영화에서 공포는 그리 자주 일어나지 않는다. <레드아이>가 무엇보다 주인공을 자꾸 ‘현실’ 속으로 끌고 들어오며 논리적인 설명을 길게 하는 통에 공포의 감흥은 제대로 음미할 새도 없이 사라진다. 환상 속의 과거에 사로잡혀 비명을 지르는 미선을 일깨우는 건 그때마다 어디선가 등장하여 “오미선씨, 첫날부터 일 그만두고 싶어?”라고 윽박지르는 깐깐한 선배 판매원이다. 게다가 지금 이 유령열차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서 16년 전의 사고, 그때 살아남은 사람들, 그때 죽은 사람들, 그리고 그것을 밝혀내려 하는 이들 각각의 사정이 한꺼번에 섞여든다(여기에는 집단자살과 인질극까지 복잡하게 얽혀 있는데, 그 상황을 전부 이해하기란 누구에게도 쉽지 않다). 김동빈 감독은 공포를 느끼기에도 짧은 시간 속에 각각의 캐릭터가 품고 있는 슬픔과 연민까지 관객에게 전달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만들었으나, 그러기에는 이미 너무 다양한 인물들의 눈물과 단말마가 관객의 정신을 헝클어놓고 말았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