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읽기]
[아줌마, 극장가다] 버냄양, 안 치고 싶어요? <아메리칸 뷰티>
2000-03-28
글 : 최보은
자위의 성적차별에 관한 무의식적 고찰, <아메리칸 뷰티>

캐롤린 버냄양.

아니 아네트 베닝씨.

<아메리칸 뷰티>에서 당신을 만나뵙고 난 뒤, 저는 자위란 무엇일까, 좋은 걸까, 나쁜 걸까, 곰곰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단도직업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아줌마에게 <아메리칸 뷰티>는 자위에 관한 영화였습니다. 레스터 버냄, 그러니까 케빈 스페이시는 그 영화에서 두번이나 딸딸이를 칩니다. 한번은 샤워하면서, 한번은 마누라인 당신 옆에서.

그런데 당신은 한번도 치지 않았습니다.

물어보고 싶습니다. 안치고 싶을까?

이문열의 대하소설 <변경>에 묘사된 자위의 두 장면이 생각납니다.

하나는 청춘남들의 ‘떼 딸딸이’였습니다. 공장다니는 10대들이 기숙사 방에 누워 호르몬을 분출하기 위한 내기를 합니다. 딸딸이 쳐서 누가 더 멀리 정액을 쏘나. 요이 땅. 열심히 칩니다.

하나는 주인공의 누나인, 형편없는 조연인 영희의, 아주 문학적인 ‘춤2입니다. 혼자, 남몰래, 오메 누가 볼라 부끄러워라 은밀히 추는 춤. 걔는 그래가지고 인생 개판됩니다.

아줌마는 아주 일찌감치부터, 문학에 나타난 자위의 성별 위상에 놀란 바 있습니다. 남자 문인치고 자위를 자랑스럽게 고백하지 않은 작가가 없었습니다. 그건 자랑스러운 통과의례니까요. 여자 문인치고, 자위를 자랑스레 고백한 예가 없었습니다. 여자가 성욕을 스스로 해결하다니, 이건 도대체 대중적이니 못하니까요.

아십니까? 문학이나 영상물에 아주 쪼메 나타난 여자 자위의 묘사마저, 거개 남성작가에 의한 것이었다는 사실을? 수소문해보니 <슬리버>에서 샤론 스톤이 그 비슷한 걸 했다고 하고, 아줌마가 본 예로도 해리슨 포드가 나오는 <프리줌드 인노선트>라는 영화에서 수잔 새런던이 했고, <섹스, 비디오, 거짓말>에서도 역겹게 생긴 중년여자가 비행기 안에서 이랬대나 저쨌대나 털어놓고, 심지어 포르노 영화에선 비일비재하다고 하더군요. 근데 여러분들, 남자들이 그린 그런 여성 자위 묘사가 보기에 좋았습니까? 창피했죠? 떳떳하지 않았죠? 딸딸이 치는 베아트리체, 딸딸이 치는 춘향, 딸딸이 치는 줄리엣, 있으면 손 들어보세요. 문화사상, 클래식으로 살아남은 히로인치고 딸딸이 친 사람 손 들어보세요. 팜므 파탈? 웃기지 말라 그래. 심지어는 가장 진보적이어야 할 문화판에서조차도 악녀란 그저 일회용일 뿐이었지요. 살아남지 못했다니까요. 극좌에게도 여자는 베아트리체여야 하니까.

앗, 넘 흥분했나봐. 다시 본론인 자위 얘기로 돌아가서, 오죽하면 샘 멘데스라는 준 천재적 21세기형 감독조차도, 여자 자위의 대중성 없음을 구원하지 못했겠습니까.

아줌마는 요즘의 어느 날 신문을 보다가, 어떤 기사를 보고 크게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어떤 기사냐면, 한국이 선진국을 닮아서 출산률이 줄어들고 인구가 고령화돼서 생산활동에 종사할 수 있는 숫자가 줄어든다, 그러니 조만간에 이민자를 받아들여서 생산에 투입해야 될 거다, 이런 내용의 유엔보고서를 인용한 기사였습니다.

아줌마가 기가 막혀서. 그 중간에 이런 구절이 있습디다. 그렇다면 여성인력을 생산현장에 투입하면 인력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다, 이런 반론에 유엔 관계자가 이랬다는 겁니다. 여성이 경제활동 인구에 편입되면 그 역시 출산률이 줄어들 거다, 그러니 안 된다.

이런 씨바.

여자가 돈 버는 것도 애낳는 데 지장있는데, 돈 안 되는 딸딸이 치는 걸 유엔에서 용납하겠냐구.

근데 그러는 아줌마는 딸딸이 쳐봤냐고요?

그건 유료정보입니다. 칠공공을 딸딸딸딸 눌러보세요.

(경고: 딸딸이는 각종 반사회적 질병의 원인이 되며, 특히 임산부와 청소년의 건강에 해롭댑니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