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인]
[할리우드작가열전] 사랑을 일깨우는 코미디, 닐 사이먼
2000-02-01
글 : 심산

역사상 가장 대중적인 성공을 거둔 극작가는 누구일까? 소포클레스나 셰익스피어는 아니다. 그들은 훌륭한 극작가임에는 틀림없지만 공연에 따른 인세수입으로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 버나드 쇼? 으젠느 이오네스코? 테네시 윌리암스? 비평가들의 총아였지 대중의 사랑을 받지는 못했다. 아마도 정답은 닐 사이먼이 아닐까 싶다. 이 익살 가득한 표정의 대머리 작가는 그저 평범한 보통사람들의 울고 웃는 이야기를 가슴 찐한 코미디 속에 녹여내 동시대 대중들의 사랑을 한몸에 받았다. 브로드웨이의 터주대감이라 할 수 있는 그의 작품들은 바다 건너 동숭동에까지 맹위를 떨쳐 <최후의 뜨거운 연인들>이나 <굿바이 걸> 같은 단골 레퍼토리를 양산해냈다(인세는 제대로 주고 있는지?). 지난 겨울의 빅히트작 <사랑을 주세요> 역시 그의 퓰리처상 수상작인 <욘커스가의 사람들>을 번안한 것이다.

뉴욕 빈민가에서 태어난 닐 사이먼의 성장기는 그의 자전적 3부작 <브라이튼 해변의 추억>(1986) <총각쫄병>(1988) <브로드웨이 바운드>(1992)에 잘 묘사되어 있다. 여성편력이 심한 아버지와 전형적인 ‘유대인엄마’ 밑에서 형제들과 사촌들이 바글바글 난리판을 치는 후줄근한 집구석. 할렘에 가까운 브룩클린에 자리잡은 판잣집이었으니 그다지 행복했을 리는 없건만 그 모든 징글징글하고 별볼일없는 캐릭터들을 묘사하는 사이먼의 손끝에서는 어쩔 수 없는 애정이 묻어난다. 사이먼의 장기는 그것이다. 너무 가까이 있어서 좋아할 수만도 미워할 수만도 없는 사람들 속에서 미처 알아 보지 못했던 따뜻한 일면들을 발견해낸다는 것. 그것들은 대체로 난감한 상황 속에서 불현듯 빛을 내고 그래서 터져나오는 웃음을 주체할 길 없는 코미디인데도 불구하고 가슴 한편에서는 어느새 찐한 눈물방울들을 글썽거리게 만드는 것.

뉴욕대학을 졸업한 그는 한동안 뉴욕 빈민가의 나이트클럽이나 레뷰(노래나 춤따위와 결합된 시사풍자 익살극)를 위한 코미디대본을 쓰다가 당시 잘 나가던 TV코미디언 시드 시저의 전속작가로 발돋음한다. 그가 진부한 개그나 슬랩스틱에 의한 싸구려 웃음대신 ‘상황과 캐릭터들로부터 자연스럽게 도출한 코미디’를 자유자재로 구사하게 된 것은 TV시트콤 <넌 결코 부자가 될 수 없어>(1955∼59)의 대본작가 시절을 거치고 난 다음이다. 브로드웨이로 진출한 다음에도 한동안 찬밥 신세를 면할 수 없었던 그를 일약 스타로 만들어준 연극은 <공원을 맨발로>. 젊은 시절의 로버트 레드퍼드와 제인 폰다가 주연을 맡아 영화로도 크게 성공한 이 작품 이후로 닐 사이먼은 브로드웨이의 젊은 왕자가 된다. 매년 새로운 연극을 무대에 올릴 때마다 브로드웨이 박스오피스의 신기록을 갱신하게 된 것이다.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닐 사이먼’이라는 이름은 이미 하나의 상표가 되어버렸다. 사람들은 그의 이름 하나만을 보고도 주저없이 연극표를 샀던 것이다.

<결혼하는 남자>

시나리오에 대한 사이먼의 열정 또한 대단하다. 그는 지난 30여년 동안 30여편의 시나리오를 썼다(별항의 필모그래피는 전체의 3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대부분은 물론 자신의 희곡을 각색한 것이지만 오리지널 시나리오도 꽤 된다. 놀라운 것은 그 숱한 작품들 중에서 태작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는 것. 어느 것을 뽑아보아도 절대로 관객을 실망시키지 않는다. 사이먼의 시나리오는 다분히 연극적이다. 장대한 스펙터클이나 강렬한 특수효과 따위는 찾아볼 수 없다. 하나같이 한정된 공간에서 고만고만한 캐릭터들이 지지고 볶는 일상적인 내용들뿐이다. 환장할 노릇은 그런데도 대책없이 재미있다는 것이다! 누구나 예외없이 배가 아프도록 웃다가 어느새 가슴 한편이 찐해져서 자기도 모르게 눈시울을 어루만지게 되니 과연 닐 사이먼이다. 블록버스터의 헛폼잡기나 과장도 필요없어서인지 배우들의 연기도 악 소리가 날 만하다.

닐 사이먼이 있어서 세상은 좀더 살 만한 곳이 되었다고 나는 생각한다. 설연휴에 맞춰 그를 소개할 수 있게 된 것이 기쁘다. 모처럼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 비디오라도 함께 볼 시간이 난다면 주저없이 닐 사이먼의 작품을 고르시도록. 독자 여러분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