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문소리와의 인터뷰 중에 <사랑해 말순씨>의 소년 배우들 얘기가 나왔다. “철호를 연기한 김동영은 어떤가요?”라는 질문에 10초의 망설임도 없이 “연기 잘하죠! 참 잘해요”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과한 칭찬이 아니다. 주인공은 아니라 해도 김동영의 존재감은 확실했다. <꽃피는 봄이 오면>의 색소폰 주자 용석, <말죽거리 잔혹사>의 어린 현수, <사랑해 말순씨>의 철호…. 지난 2년간 김동영은 늘 한국 영화의 어딘가에 존재했다. <사랑해 말순씨>의 철호는 과묵한 외톨이였다. 손가락이 하나 없어 늘 한 손을 주머니에 꽂고 다니는. 그에게 빈자리는 손가락 하나뿐이 아니지만, 소년은 울지 않았다. 개봉을 앞둔 옴니버스 프로젝트 <눈부신 하루> 중 김종관 감독의 ‘엄마 찾아 삼만리’에서 김동영은 주인공 종환을 연기했다. 그런데 종환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돈을 모아야 하는 사연 많은 비행 청소년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종환은 일본에 있다. 바로 전 장면에서, 사기를 쳤던 양아치에게 붙잡혀 두들겨맞고 돈은 빼앗기고 비행기표도 불에 타버렸는데. 해피엔딩을 믿지 않는 어른은 ‘환상’이라고 생각했지만 소년은 진짜라고 믿고 연기했다. “근성있게 다시 돈 모아서 갔다고 생각했다. 어딜 가도 자신있다, 꺾이지 않는다는 느낌으로.” 연기라고 믿기엔 이 모든 게 너무 진짜 같았다.
김동영은 서울올림픽이 개최된 해에 태어났다. 떠들썩한 분위기와 즐거움, 평범함 같은 단어는 김동영이 철들기 전에 자취를 감추었다. 친구를 구타하거나 금품 갈취를 한 적은 없으므로 ‘건전한 비행 청소년’이었다고는 하지만, 유년기는 순탄치 않았다. 어렸을 적 광주 할머니 집에서 살다가 초등학교 1학년 때 서울에 올라오니 아빠가 없었다. 엄마는 아빠가 미국에 갔다고 했다. 그런 줄만 알았다. “그런 애들 보면 다 아빠가 미국 갔다고 그러더라고요. 똑같은 시나리오예요. 중학교 1학년 때 알았어요. 그 다음부터는 부모님 이혼했다고 그냥 말했어요.” 늦둥이 외아들이 운동으로 몸 상할까봐, 엄마는 초등학교 3학년 아들에게 연기를 권했다. 연기학원을 2년 다녔다. 연기는 재미없었다. 엄마가 제때 강습료만 줬다면 가라데 선수가 되었을지도 모르겠다. 고등학교 1학년 때 <꽃피는 봄이 오면> 오디션을 보게 되었다. 떨어지면 연기하라는 말은 그만두겠다는 엄마의 말을 듣고 감독과 주연배우 최민식 앞에서 오디션을 봤다. 머릿속에는 빨리 끝내고 친구들한테 가야지, 하는 생각뿐이었다. 그런데 합격했다. <말죽거리 잔혹사> 오디션에서도.
“수학은 중학교 1학년 올라가면서 연을 끊었어요. 너는 나하고 인연이 아니다 하고.” 영화가 아니었다면, 연기가 아니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걱정하는 선배 연기자들이나 어른들의 시선은 소년에게 관심사가 아니다. “전교 꼴등도 해봤다면서요?”라는 질문에 “전교 꼴등, 그거 아무나 하는 거 아니에요”라는 말이 싱글거리는 웃음과 함께 돌아온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시험만 보면 3번으로 찍고 바로 엎드려 자니까 선생님이 물었다. “너 운동부냐.” 꿀릴 것 없었다. “아니요, 저는 학생입니다.” 선생님도 별수 없었다. “그래, 자거라.” 그리고 공부와도 연을 끊었다.
연기는 그의 모든 것이지만 빨리 뜨는 욕심은 부리지 않는다. 엄마만 반대 안 하면 영장 나오자마자 군대도 바로 갈 생각이다. 공부는 싫지만 대학에 가서 연기를 배우고, 연극을 하고 싶다. “내공 제대로 쌓아서 영화에 에너지파 막 쏴줘야 하잖아요.” 당연히 연기 욕심이 많다. 눈물이 없는 편인데 <파이란>을 보고는 철철 울었다. 친구들은 다 재미없다고 해도 <역도산>도 좋아한다. “한 남자의 일대기나 영웅 이야기를 엄청 좋아해요. 연기 잘하시는 선배님들 보면 부럽기도 하고. 그러고 보니 ‘엄마 찾아 삼만리’도 한 남자의 일대기네요, 그렇죠? 번외편 찍으면 좋을 텐데. 일본에 또 가고.” 돈을 벌면 배우고 싶은 것도 가고 싶은 곳도 많지만, 세상을 너무 일찍 알아버린 소년은 멋진 선배들을 무작정 따라하는 것은 방법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파이란>의 최민식 선배님 연기, 아무리 똑같이 따라한다 해도 그건 최민식 선배님 거잖아요. 나라면 어떻게 했을까 하는 생각으로 고민하고 내 연기를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개봉을 기다리는 <여교수의 은밀한 매력> <가족의 탄생>에도 출연한 김동영은 ‘짱과 똘마니를 넘나드는 연기 변신’을 시도했고, 언젠가는 밝고 명랑한 역할을 맡아 잘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소년과 사나이의 경계에서, 때론 치기 어리고 으스대지만 쉽게 의기소침해지기도 하는 그는 앞으로 할 일이 너무 많아 걱정이다. 다 겪은 것 같아도 인생엔 아직 더 많은 게 있다고, 10년을 더 산 나도 아직 모르는 게 많아 미치겠다는 말은 결국 꺼내지 못했다. 새로운 경험이 즐겁고, 고생은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그가 결코 쉽게 꿀릴 것 같지 않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