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조지 클루니의 <굿 나잇 앤 굿 럭> 공개
2006-02-28
글 : 오정연

빨갱이란 말 한마디면 모두가 이성을 잃고 마녀사냥에 동조하던 1950년대. 그 모든 광기의 중심이자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던 매카시 의원에 정면으로 맞섰던 뉴스 다큐멘터리 진행자 에드워드 R. 머로우와 그의 동료들의 이야기 <굿 나잇 앤 굿 럭>이 기자시사회를 가졌다. 굿 나잇, 앤 굿 럭. 이는 <씨 잇 나우>(See it now)의 진행자 에드워드 R. 머로우가 방송을 마치면서 청취자들에게 던지곤 했던 인사말이다. 연인에게 속삭이는 달콤한 인사말 같기도 하고, 비장한 각오를 담은 마지막 한마디처럼 들리기도 한다. 당연히 누려야할 인권과 당연히 수호해야할 가치를 말하는 것이 그처럼 어려웠던 시기. 꼬장꼬장한 말투로 “침묵이 애국은 아니다”라며 열변을 토한 머로우가, 자신의 모든 것을 건 방송을 마치며 내뱉는 덤덤한 인사말은 담백한 울림을 지닌다.

<굿 나잇 앤 굿 럭>은 늘 정치적 발언과 행동을 서슴치 않았던 배우 조지 클루니가 <컨페션> 이후 만든 두 번째 연출작으로, 올해 아카데미 6개 부문에 후보로 오르면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찰리 카우프만이 각본을 썼던 <컨페션>과 달리 이 영화는 조지 클루니 자신이 그랜트 헤슬로프와 함께 공동 각본으로 참가했다. 클루니는 이 영화에 머로우의 든든한 동료인 프로그램 피디로 출연해, 이번에도 주연은 맡지 않았다. 지난해 베니스영화제 각본상을 받았고, 머로우로 출연한 데이비드 스트래던은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자유분방한 풍자와 날선 유머를 내세웠던 전작 <컨페션>과 달리 조지 클루니는 이 영화에서 무난하고 진지한 화법을 견지한다. 감미로운 재즈선율 속에 펼쳐지는 상류층의 파티장면으로 시작하는 영화는 전반적으로 부드럽고 우아한 흑백영화에 속한다. 그러나 담배를 손에서 놓지않는 사내들 사이를 누비는 카메라는 때로 격렬해진다.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방송을 감행한 뒤 제작진이 상부의 반응을 기다리는 장면 등에서는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한다. 무시무시한 발언을 일삼는 매카시의 모습을 당시의 흑백필름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사실감을 더했다.

매카시에 맞선 머로우의 방송, 더 나아가 매카시의 존재 자체는 미국 언론사에 잊혀지지 않은 스캔들로 남아있다. 금기시된 소재를 끄집어낸 클루니는 현재와 크게 다르지 않은 50여년 전을 민감하게 포착하려 애썼다. 공포를 조장하는 정치상황에 대한 비판, 애국심 하나면 모든 과오를 덮겠다는 비이성을 향한 경고 등 머로우와 그의 동료들이 내뱉는 말들은 고스란히 오늘날의 미국에 대입해도 전혀 어색하지 않다.

<굿 나잇 앤 굿 럭> 100자평

흑백의 느린 화면으로 탈색한 ‘빨갱이’ 컴플렉스 시대의 우울과 광기. 매카시와 싸우던 언론인의 결기와 그를 바라보는 시선에 낭만적인 영웅주의의 냄새가 나기도 하지만 저널리즘에 대한 영화의 문제의식은 반세기가 지난 지금까지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에서 새겨들을 만하다. -김은형 /<한겨레> 기자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