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는 소녀들로 가득한 영화를 접할 때마다 함정에 빠진다. 소피아 코폴라의 <처녀자살소동>이나 피터 위어의 <행잉 록에서의 소풍> 같은 작품은 물론 여성의 정체성을 지적으로 탐구한다는 레아 풀의 <상실의 시대>를 볼 때도 마찬가지다. 죽거나 사라지고 금지된 열정에 빠진 소녀를 이해 못하는 그들에게 소녀는 신비로운 대상으로 남겨지고 판타지는 커져만 간다. 그리고 바로 그 지점에서 시작하는 <이노센스>는 급기야 페도필리아(아동성애)를 위한 성찬처럼 보인다.
프랑크 베데킨트의 단편에서 영감을 얻고, 한국에선 노디 시리즈로 익숙한 에니드 블리튼의 여학교 이야기에서 배경을 따온 <이노센스>는 매 순간 숨막히는 회화적 이미지로 충만하다. 관 속에서 여자아이가 나오자, 아이를 둘러싼 소녀들은 나이 순서에 따라 머리 리본을 바꿔 맨다. 자연학습과 발레를 배울 때가 아니면 숲속의 유희와 물놀이로 시간을 보내는 소녀들의 동산은 천국의 현현이다. 하지만 그곳은 불가사의한 감옥이기도 하다. 지하통로, 램프가 켜진 숲길, 차단된 바깥 세상에 대해 비밀스런 속삭임을 나누는 어린 소녀들은 맏언니가 밤마다 어디로 가는지, 비밀고객의 정체는 무엇인지, 탈출한 소녀는 어떻게 되었을지 궁금하다. 순수한 아이와 성숙한 소녀, 금기와 보호, 자유와 복종, 사랑과 질투, 비밀과 침묵, 악몽과 현실 사이의 아슬아슬한 경계에 서 있는 영화를 보는 관객 또한 내내 가슴을 졸여야 한다. 그렇지만 그것은 딱 100분까지다. 새로운 아이가 도착하고 맏언니가 세상으로 나가는 순간, <이노센스>는 몇 가지 알레고리로 읽힌다. 죽음 뒤 순수한 몸으로 환생하는 아이의 이야기를 떠올릴 수 있겠고, 성장기 소녀의 통과의례로 봐도 되겠다. 어쨌든 <이노센스>의 진정한 의미는 현실에 안착하는 소녀의 이야기이자 소녀 판타지를 품은 자에게 내리는 보복이라는 데 있다. 소녀가 소년을 만나 환하게 웃는 엔딩에서 우리는 그들의 세계에 감히 범접할 수 없음을 깨닫는다. 분수대의 솟아오르는 물줄기처럼 자연스럽고 강인한 그들은 그 모습 그대로 완전한 존재다. 소녀는 그 웃음으로, 그리고 소년 앞에 서면서 자신의 삶을 시작한다. 소녀의 자유와 소녀의 의지와 소녀의 몸만이 갈 길을 알 것이며 우리가 무언가를 시작하면 그 순수의 세계는 부서질 터이니, 침범은 고사하고 보호의 명분조차 구하지 못하겠다.
DVD 부록의 인터뷰에서 감독 뤼실 하지할릴러비치가 빅토르 에리세의 이름을 기억하는 걸 들으며 <이노센스>가 <벌집의 정령> 이후 가장 아름다운 작품이라고 생각했는데, 정작 그녀는 오랜 동료인 가스파 노에에게 영화를 바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