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타]
그윽하고 따사로운, 오후의 홍차처럼, <나비>의 김호정
2001-08-29
글 : 백은하 ( <매거진t> 편집장)
사진 : 정진환

김호정은 매력적인 사람이다. 그의 매력은 처음 경험하는 홍차의 맛과 비슷해서 쉽게 익숙해지지는 않지만, 한번 빠져들면 쉬이 헤어나오기도 힘들다. 우리는 지금껏 한국영화에서 이런 종류의 배우를 만나본 적이 없다. 그는 강하지만 우악스럽지 않고, 이지적이지만 오만하지 않으며, 유니크하지만 유별나지 않고, 아름답지만 천박하지 않다. 좋은 볕에서 잘 말린 고급 홍찻잎으로 우려낸 기품있는 차 한잔. 10여년간 그를 키운 연극무대에서 스크린으로 제대로 옮겨 심어진 이 서른셋의 배우는 사실, 수식어 가득 찬 글보다는 ‘그저 만나보라’고 권하고 싶은 사람이다.

“매 순간 살아 있어야 합니다. 카메라가 배우를 쫓아갈 겁니다. 호정씨는 ‘연기’하지 마십시오. 그냥 ‘반응’하시면 됩니다.” 촬영장에는 흔히 들을 수 있는 시끄러운 ‘액션’사인도, ‘컷’사인도 없었다. 그저 안나가 비행기를 타는 첫 장면부터 망각의 바이러스를 찾아가는 여정 내내 <나비>의 디지털카메라는 졸졸 그를 다큐멘터리처럼 따를 뿐이었다. “결국 조금이라도 예쁘게 찍히려는 마음도, 아니 연기 자체를 포기하게 만들더라고요. 그런데 이상하죠? 그때부터 자유로워지기 시작했어요.” 코가 간지러우면 코를 만지고, 울컥한 기분이 들면 조용히 눈물을 떨어뜨려도, 그뿐이었다. “감독님 스타일이 자유롭게 찍을 부분은 그렇게 찍었지만, 또 분명히 표현해줘야 하는 것은 그냥 넘어가는 성격이 아니었어요. 나도 그랬지만 세달 꼬빡 20명 남짓한 스탭들이 황폐져가는 모습이란…, <나비> 찍고나니 영화 한 10편쯤 찍은 것 같아요.” 얼마 전 막을 내린 스위스 로카르노영화제는 그들의 이런 노력에 김호정에게는 여우주연상에 해당하는 청동표범상으로, 작품에는 젊은비평가상으로 기꺼이 화답했다.

“<라 트라비아타>였나봐요, 그게.” 초등학교 시절 무대와 조명과 하얀옷을 입고 노래하는 배우 언니의 모습에 ‘훅’ 정신이 나간 이후 키워왔던 배우의 꿈은 동국대 연극영화과 입학으로 이어졌다. 그렇게 1년에 3편씩 쉴틈없이 무대에 오르며 연극배우로서 커리어를 쌓아갈 무렵, 문득 화장실 거울 앞에서 ‘죽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휴식이 필요한 시간이었다. “다시 연극할 수 있을까, 하는 마음으로 떠났어요.” 그렇게 93년부터 96년까지 지인들이 마련해준 유럽길 이곳저곳에서 만난 ‘이방인’들은 김호정에게 안나가 품은 정체성의 혼란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안나가 지우고 싶어하는 기억, 즉 낙태를 했다는 건, 이미 자신이 사랑하는 것 앞에서 자신이 없다는 거예요. 이것이 이 극에서 그녀가 밝을 수 없고 당당할 수 없는 이유죠.” 얼굴에 드리워진 그늘이 끊임없이 만조와 간조를 오가는 이방인 안나는 그에 대한 선입견을 품기에 충분하다. 혹 그 역시 저런 그늘을 가지고 있진 않을까? 혹 상처받은 과거가 있는 게 아닐까? 게다가 데뷔작 <침향> 이후 두 번째 작품인 <플란다스의 개>에서 교수대기생 이성재를 한심하다는 듯 발로 툭툭 차는 ‘만삭의 억척아내’에게선 일상의 고단함마저 묻어난다. “제가 진짜 고통을 안다면… 아마 연기할 수 없겠죠. 그저 그런 느낌을 관찰하고 가까워지려고 노력하는 것일 뿐이에요.”

알고 보면 야무진 입매가 귀끝까지 걸리게 미소짓고, 가끔 ‘헝헝헝’ 소리를 내며 소녀처럼 웃어대는 밝고 귀여운 여자. “연극이든 영화든 늘 흥미로운 작품을 쫓아갈 거예요.” 김호정은 이제 8월28일부터 올리게 될 연극 <첼로와 케찹>이 끝날 때까지 잠시 영화를 잊기로 했다. 하지만 그도 보지 못하는 그의 뒷모습을 찍기 위해 오늘도 스탠바이하고 있는 충무로의 카메라는, 오랜 기다림을 원치않을 듯하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