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덜군 투덜양]
투덜군, 염치의 중요성을 깨닫다
2006-10-20
글 : 한동원 (영화 칼럼니스트)
염치있는 성룡, 염치없는 올리버 스톤

지난해 추석에는 ‘올 추석에는 성룡 영화가 없어서 버럭 안타깝다’는 얘기를 했던 것 같은데, 올해는 다행히도 아니어서 참으로 흐뭇했다. 그것도 CG로 발라놓은 헐렁헐렁한 액션만이 난무하던 할리우드산이 아닌, 확실하게 성룡다운 영화여서 개인적으로 무척 기뻤더랬다. 물론, 액션을 위해 스토리상의 말 됨이 희생된 경향이 없지 않아 많았다만, 뭐 그 정도야 충분히 접어줄 수 있다. 그 연세에 그 액션인데 말이야.

소싯적 성룡 영화의 훌륭함의 원천은 단지 근면 성실한 액션에 있는 줄로만 알았다. 그래서 세계 정형외과 환자 연합 의장을 먹을 만큼 화려하다는 그의 부상에 대한 얘기와 그 순도를 공증해주는 인증서와도 같던 엔딩의 NG 모음을 볼 때, 필자는 그것을 단지 액션의 감흥을 증폭시켜주는 장치 이상으로는 생각하지 않았더랬다. 심지어 NG 모음에서 최소한의 생명유지를 위해 했다는 피아노줄을 보았을 때 실망 비슷한 것까지 하려 했더랬다. 한데 이번 <BB프로젝트>의 NG 모음을 보던 필자는 이전과는 뭔가 미묘하게 다른 느낌, 그러니까 감탄이나 경악과는 확실히 다른, 그런 감정을 느꼈다. 이건 뭘까. 꽤 오랫동안 그 정체에 대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던 필자는, 마침내 <월드 트레이드 센터>를 보고 나서야 겨우 알게 됐다. 그 감정의 정체는 다름 아닌 ‘염치있음’에 대한 감동이었다는 것을.

<월드 트레이드 센터>

올리버 스톤은 <월드 트레이드 센터>에 대해 “나는 정치적인 판단을 배제하고, 개인에만 초점을 맞추고 싶었다”라고 했다. 하지만 그 판단은 ‘배제’된 것이 아니라, 최소한 의도적으로 ‘회피’된 것이었고, 덕분에 <월드 트레이드 센터>는 지금까지 나왔던 그 어떤 9·11 관련 영화보다도 강력한 정치영화가 되었다. 매몰된 두명의 영웅적 소방관을 구출하는 영웅적 행동을 해준 뒤 “테러에 대응하려면 유능한 병력이 필요해”라는 대사를 유유히 읊조리는 영웅적 아메리칸 머린코 예비역이 등장하는, <인디펜던스 데이>류보다도 훨씬 더 노골적이고 강력한 정치영화가 말이다. 그리고 필자는 올리버 스톤이 최소한, 이를 예측하고 판단하지 못할 정도의 바보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아니, 오히려 그 반대라고 믿는다.

9·11 테러가 미국의 자작극이라는 대단히 설득력있는 주장을 하고 있는 <루즈 체인지>를 만든 사람은, 불과 스물한살밖에 되지 않는 영화감독 지망생이었다. 결국 모든 것은 염치의 문제다. 월드 트레이드 센터 잔해에 매몰된 소방관의 생명은 현미경처럼 비추면서도 미국 폭격으로 무너진 건물에 매몰된 이라크 아이들에 대해서는 한마디도 하지 않는 것도 결국 염치의 문제요, 올해 만 쉰둘이라는 나이에도 10층짜리 건물 벽을 별다른 보호장치 없이 굳이 맨몸으로 껑충껑충 뛰어내려올 것인가 말 것인가를 판단하는 것도 결국 염치의 문제다. 올리버 스톤은 그 염치가 없었고, 성룡은 있었다. 그것만으로도 영화는 이렇게 극과 극으로 나뉘고 만다.

‘염치있음’이란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