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읽기]
죽음의 전조를 낭만적 판타지로 표현한 <수면의 과학>
2007-01-04
글 : 짐 호버먼 (칼럼니스트 영화평론가)
환상 속에 고독이 있다

달콤하고 광적이며 서글픔을 담고 있는 미셸 공드리의 새 영화 <수면의 과학>은 놀라운 조합물이다. 가엘 가르시아 베르날이 불행하고 채플린을 닮은 듯한 광인을 연기하는 이 장난기 가득한 낭만적 이야기에는, 공드리가 찰리 카우프만의 시나리오를 영화로 만든 <이터널 선샤인>의 여운이 담겨 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겉모습을 볼라치면 공드리의 뮤직비디오들이 떠오른다. 이상한 옷들과 콜라주 경치, 얼기설기한 사물들의 애니메이션, 가짜 원근 착시 그리고 거친 상상의 지형도.

공상 속에 사는 스테판(가엘 가르시아 베르날)은 자신이 <스테판 TV>라는 텔레비전 쇼의 진행자라고 상상하며 밤을 보낸다. 창고에 달걀판들을 붙여 만든 세트장. 카드보드로 만든 카메라를 보며 스테판은 음악도 연주하고 게스트들도 인터뷰하며 (주로 자기 엄마) 시청자에게 자신의 비전을 어떻게 “섞는지” 지켜보게 한다. 매일 밤마다 자신의 쇼에서 스테판은, 멕시코에서 아버지와 살다가 파리에 있는 가족의 아파트로 돌아왔다. 이 훌륭한 복귀의 세팅은 꿈의 스튜디오의 또 다른 버전이어서 스테판은 그저 소년 시절 물건들과 루브 골드버그식 장치들로 둘러싸인 조그만 침대에서 자고 있다.

언짢은 성격의 마술사와 사는 스테판의 엄마(미유 미유)는 아들을 인쇄소에서 일하게 해준다. 가게 주인은 스테판이 제안한, 각각의 달이 유명한 재난으로 구별되는 달력을 좋아하지 않는다. 공드리의 지나친 공상가 주인공이 어디에서든 그렇듯이, 그곳도 독특한 인물들과 상상거리 풍부한 물건들이 가득해 그의 쇼를 위한 환상에 사용된다. 스테판의 일상은 스테파니(샬롯 갱스부르)가 앞집으로 이사를 오면서 더 복잡해진다. 정확히 말하자면 스테판이 그녀에게 매력을 느끼는 것은 아니다. 가냘파서 세밀하고 앙상한데다 대단히 신경질적이다. 하지만 매력이 없다고 집착하지 못할 이유도 없지.

스테판과 스테파니는 이름 말고도 공통점이 많다. 둘 다 서로 다른 면에서 유치하고, 만들고 모으는 조그만 물건들이 있다. 깊은 의미에서 그들은 천생연분인데 스테파니는 스테판이 그녀가 따온 장난감 말을 만져서 움직이게 하자 그걸 뒤늦게 깨닫는다. 스테판은 (공드리처럼) 집에서 사용되는 재료들을 사용하는 예술가다. 일단 둘이 공동작업을 시작해 만드는 광적 작품은 미쳐 날뛰게 된 유치원 미술 프로젝트 같다. 나머지는 알랭 레네 스타일의 <Romper Room>이나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스파이더>와 <Pee Wee’s Playhouse> 중간쯤 되는 듯하다.

사물들도 그만의 생명을 가지고 있다(하루는 스테판이 발이 냉장고에 남겨진 채 깨어난다). 진정, <수면의 과학>은 기본적으로 잡동사니 더미 같아서 이리저리 흩어진 익살스러운 대사들과 장식적인 프로이트식 개념들이 두서없이 뒤죽박죽 쌓여 있다. 공드리의 제멋대로인 비주얼과 난해한 미장센은 주인공들의 외국인 악센트로 더 강조되어서 뱉어내는 각 단어들은 독특하게 들린다. 공드리는 얀 슈반크마이어보다 훨씬 더 밝은 초현실주의자이지만 <수면의 과학>은 체코의 거장이 만든 <광기>처럼 요즘 나온 사물을 이용하는 스톱모션애니메이션 작품들과 별반 다르지 않아서 만들어진 세상이 주인공의 심란한 정신 상태를 반영한다.

스테판의 꿈과 현실을 오가며 재료들을 이리저리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수면의 과학>은 장난기 가득한 영화다. 분위기는 죽음의 전조에 가깝다. 그러나 주인공만큼이나 영화는 색다르기에는 너무 낯설고 유치하기까지 하다. 스테판은 성공을 꿈꾸고 보상받지 못한 사랑에 괴로워한다. 그의 고독은 어디에서나 분명하다. 그는 서글프게 말한다. “아빠와 얘기하고 싶어.” 스테판과 스테파니가 검비(<몬티 파이튼>의 점토 캐릭터)가 탈 듯한 말을 함께 타고 구겨진 셀로판의 바다를 건너는 마지막 환상은 마음을 훈훈하게 해주기보다 앓게 한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