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이상한 학교, <우리학교>를 가다
2007-03-12

일시 3월8일
장소 용산 CGV

이 영화
“해방 직후 재일조선인 1세들은 우리말과 글을 몰랐던 자녀들이 조국으로 돌아와 불편이 없도록 가장 먼저 학교를 세웠다. 그로부터 60년이 지난 지금 일본에는 80여개의 ‘조선학교’가 남아 있다. 대부분 고향이 남쪽인 재일조선인이 3, 4살까지 이어지는 동안 한반도 남쪽의 사람들에게 ‘조선학교’는 잊혀진 존재였다.” 촬영감독 출신 김명준 감독의 <우리학교>는 조총련학교, 재일조선인학교 등으로 알려진 일본내 한 조선학교의 학생 및 교원들과 함께 한 1년5개월간을 담은 다큐멘터리다. 점수를 위해 경쟁하는 법이 아니라, 남을 도와주고 사랑하고 사랑받는 법을 배우는 ‘우리학교’ 아이들의 자연스러운 모습은 따뜻한 웃음을 이끌어내지만, 일본 사회 안에서 뿌리깊은 차별에 시달리고 있는 이들의 냉혹한 삶은 눈물과 분노를 자아내기도 한다. 2006년 부산국제영화제 운파상 수상작이자 2006 인디다큐페스티벌 개막작으로 3월29일 개봉을 앞두고 있다.

말말말
“실제 학생들이 정치, 역사적인 시각이 한국과 달리 북쪽의 것을 따르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 외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은 한국과 전혀 다르지 않다. 재일교포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들이 적지 않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보이는 부분을 이야기하려 했다. 공식적인 허가를 받은 후 만든 영화이기 때문에 조선인 학교에 대해 설명하자는 생각으로 촬영을 했다. 현재 일본에 살고 있는 한국계 교포 중 단 1만 5천명 만이 북한 국적을 가지고 있다. 국내외 정세 때문에 북한 국적 교포들의 삶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같은 민족임에도 불구, 한국에서는 이들 조선인학교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다. 일본 교포들에게는 색다른 내용이 아니겠지만 한국에는 꼭 소개가 돼야 할 내용이다.” -감독 김명준

100자평
김명준 감독은 불의의 사고로 유명을 달리한 故 조은령 감독의 남편이었다. <우리학교>는 조선학교를 배경으로 장편 극영화를 만드는 과정에서 조은령 감독이 기획하게 된 다큐멘터리의 촬영감독으로 재일 조선학교를 알게 된 김명준 감독의 미묘한 위치가 반영돼 있다. 아내의 뜻을 잇기 위해 시작한 다큐멘터리지만 대상을 향한 그 자신의 절절한 애정, 감독과 피사체의 인간적인 신뢰가 더해져, 민감하고 첨예한 문제를 다룬 영화가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힘까지 지니게 된 셈이다. 영화가 끝나면 혹가이도 조선학교의 학생 및 교원 전원의 이름이 크레딧에 오른다. 그 이름 하나하나가 소중하고 궁금하다. 멀고도 가까운 나라에서 살아온, 우리가 잊고 있던 동포들을 다룬 다큐멘터리로 가능한, 최선의 결과인 셈이다./씨네21 오정연 기자

<우리학교>는 굳이 재일조선인들의 삶을 이해하고, 또 더 나아가 그들과 발걸음을 같이 하라고 강요하지 않는다. ‘우리’학교를 지켜본 다음 ‘우리’를 제발 알아달라고 애원하지 않는다. 이 다큐멘터리의 힘은 바로 그것이다. <우리학교>가 시종 보여주고 싶어하는 것은 단 하나다. 왜 그들은 아무도 보아주지 않는 무엇인가를 해내기 위해 애쓰는가. 그들이 말하는 동포사회는 어쩌면 허상일지 모른다. 하지만 허상의 인정이야말로 곧 그들 삶의 유일한 동력임을 확인하는 순간(축구경기장에서 오열하는 우리 혹은 그들을 묵묵히 지켜보는 낮은 카메라!) 우리는 ‘우리’를 꿈꾸게 된다. 비록 ‘우리’는 존재하지 않는 신기루일지라도./씨네21 이영진 기자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