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제소식]
감독과 평론가, 호러영화의 미래를 논하다
2007-07-16
글 : 김민경
사진 : 조석환
<공포영화의 계보학> 메가토크 현장

제11회 부천영화제 마지막 메가토크를 장식한 것은 7월15일 다큐멘터리 <슬래셔영화의 흥망성쇠> 상영 뒤 이어진 <공포영화의 계보학>이다. 참여한 게스트는 <마스터즈 오브 호러> 시리즈의 프로듀서 믹 게리스 감독(이번 부천영화제의 심사위원이기도 하다)과 저예산 고어호러 <도살자>로 한국독립영화의 가능성을 증명한 김진원 감독. 여기에 익스트림무비 편집장인 김종철씨가 사회자로 가세한 이날의 메가토크는, ‘공포영화의 계보학’이라는 애초의 주제에서 범위를 좁혀 미국와 한국의 호러영화 현황과 전망을 구체적으로 논하는 자리가 됐다.

김종철/ 믹 게리스 감독이 프로듀싱한 <마스터즈 오브 호러>는 시즌2까지 내면서 강력한 브랜드가 됐다. 어떻게 이런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됐는지, 그리고 이 프로젝트를 가능하게 한 미국 호러영화의 환경은 어떤지 궁금하다.
믹 게리스/ <마스터즈 오브 호러>는 여러 명의 대가들이 한편씩 연출한 TV시리즈로, 이제까지 한번도 만들어진 적 없는 특이한 프로젝트다. 제작비의 100%를 DVD 회사에서 받았고, 내용에 투자사의 개입이 전혀 없었다. 대부분의 미국 호러영화가 10대를 타깃으로 하지만 우리는 대가 감독들의 색깔을 살린, 완전히 다른 영화를 보여주고 싶었다.

김종철/ DVD 회사가 전액 투자했다는 게 놀랍다. 미국 내에서 공포영화의 DVD시장이 그만큼 활성화했다는 뜻인가.
믹 게리스/ 호러영화의 좋은 점은 관객의 충성도가 매우 높다는 것이다. 그들은 DVD를 산다. 호러팬은 영화보는 걸로 끝나는 게 아니라 DVD와 부록을 소장하고 싶어한다. 우리 영화는 블록버스터 예산의 1%도 안 되기 때문에, 손익분기점을 맞추는 게 그렇게 어렵지는 않다.

김종철/ 한국 독립영화계에서도 많은 공포영화가 만들어지긴 하지만, 관객과 만나는 기회는 여전히 확보돼 있지 않다. 김진원 감독은 <도살자> <전기톱 여고생> 등 저예산 고어영화를 만들었는데 한국의 독립호러영화계는 지금 어떤 상황인가.
김진원/ 일단 매우 어렵다고 말할 수 있다. 스탭과 배우를 인터넷을 통해 모집해야 하는데, 공포는 다들 꺼리는 편이다. 특히 공포 장르에 축적된 경험이 있는 스탭이 드물다는 게 가장 힘들다. 또 한 가지 아쉬운 점은, 그나마 영화를 선보일 수 있는 기회가 영화제인데 대부분의 영화제가 예술성 위주라는 점이다. 물론 완성도가 낮아서 그럴 수도 있지만, 장르영화라서 제대로 인정받기가 더 어려운 것 같다. 한달 전만 해도 <도살자>를 누군가에게 보이는 건 거의 불가능하겠다는 비관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해외 DVD시장쪽을 뚫어보려던 중이다.

김종철/ 김 감독의 <도살자> <전기톱 여고생>은 소수를 타깃으로 하는데, 앞으로의 영화는 어떤 영화로 만들고 싶은가.
김진원/ 나 자신이 공포영화 팬이고 영화도 독립영화이기 때문에, 내가 만들기 재밌는 영화를 만들었다. 상업영화를 제안받으면 또 모르겠지만, 앞으로도 나 자신과 장르영화 팬들이 즐길 수 있는, 그런 영화를 만들 것이다.

김종철/ 김 감독은 천편일률적인 한국 공포영화계에서 굉장히 드문 호러영화를 연출한 분이다. 공포팬으로서 김 감독이 현재 한국의 공포영화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듣고 싶다.
김진원/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한국 공포영화는 거의 보지 않는다. 한국영화가 요즘 예산이 3, 40억원 정도 된다고 알고 있는데, 그 정도 예산이면 대중성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감독이 금기를 넘나드는 시도를 펼치기가 상당히 부담스러워진다. 그래서 소재가 독특한 공포영화는 계속 나오고 있지만 그걸 풀어가는 방식은 다 비슷하다는 생각이 든다. 1, 2억원 정도 규모로 예산을 적게 주는 대신 감독들에게 더 많은 자유를 준다면, 한국영화가 좀더 풍족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관객/ 10년 동안 공포영화에 미쳐 산 광팬으로서 <도살자>가 반갑다. 한국의 영화제작사는 공장에서 찍어내듯이 성수기용 공포영화를 생산할 뿐, 고정적인 호러팬은 전혀 고려하지 않아서 아쉽다.

김종철/ 사실 그건 답이 없는 문제다. 공포가 고정팬층을 이루려면 ‘돈을 쓰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팬들이 자기가 좋아하는 문화 대상에 응당한 대가만 지불해도, 충분한 변화가 생기지 않을까. 자기가 좋아하는 대상이 발전할 수 있도록.
김진원/ 좋은 작품이 나오는 게 중요한 것 같다. 한때 <킹덤>이라는 영화가 국내 소개되면서 심야영화 시장이 커졌고, 그 덕분에 공포가 한동안 명맥을 유지하기도 했으니까. 그런 작품들이 꾸준히 나와주면, 제작가들도 상업적 가능성을 알아볼 테고 그러면 좋은 작품이 성장할 환경이 만들어지지 않을까. 그런 낙관적인 생각을 해본다.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