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續 내 인생의 영화]
[내 인생의 영화] <에이리언2> -김유곤 PD
2007-08-10
공상과 상상의 저편

“이것은 우주전쟁이다!!”
“우주에는 혼자서 못 가는 곳이 있다!!”
“대형화면을 뒤흔드는 굉음! 박진감 넘치는 입체음향! 이 영화에는 클라이맥스가 따로 없다!”
지금 보면 촌스럽기 그지없는 포스터 광고 문구. 1987년 2월의 쌀쌀한 겨울날, <에이리언2>는 그렇게 나에게 찾아왔다.

<에이리언2>와 처음 만난 20년 전의 나는 전라도 광주에서 중학교를 다니는 어린 소년이었다. 세상에 대한 호기심이 많았고, 그걸 조금이나마 풀어내는 길은 틈날 때마다 빠져드는 공상이었다. 아니면 사회과부도를 펴놓고 세계지도의 곳곳을 상상으로 유랑하던 시절, 틀에 박힌 학교생활은 언제나 답답함 그 자체였다. 꽉 막힌 생활의 유일한 탈출구가 영화일 수밖에 없는 이유였다. 영화는 박진감 넘치는 인생에 대한 대리만족과 갈 수 없는 드넓은 세상에 대한 판타지를 가져다 주었다.

당시 영화를 고르는 최선의 기준은 그저 포스터였다. 인터넷은 상상조차 할 수 없던 그때, 별다르게 영화정보를 접할 루트는 봉쇄돼 있었고, 포스터의 광고 문구만 그럴듯해도 알쏭달쏭한 매혹의 기분에 빠져들어 표를 끊고는 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나처럼 영화를 골랐기 때문일까? 그 시절의 영화 포스터들은 조잡스런 문구의 향연이었다. <에이리언2>만 해도 얼마나 대단한가. 총을 든 시고니 위버의 굳은 표정 위로 ‘이것은 우주전쟁이다!!’라니….

그런데, 그때의 나는 그 유치한 문구에 확 꽂혀버렸다. ‘이것은 우주전쟁이다’와 ‘우주에는 혼자서 못 가는 곳이 있다’라는 말은 종합해보니 ‘혼자서는 못 가는, 어떤 엄청난 곳에서 우주전쟁이 벌어지는 것’ 아닌가? 게다가 이 영화에는 클라이맥스가 따로 없다니!! 아니, 문구의 뻔뻔스러움은 영화의 알맹이에 대한 당찬 자신감으로만 느껴졌다. 오! 놀라워라, 끝없는 클라이맥스의 향연이라니.

포스터에 제대로 필 꽂힌 나는 개봉 첫날을 학수고대했고, 마침내 토요일 그날이 왔다. 오전 수업이 끝나자마자 극장으로 달려갔다. 그런데, 이럴, 이럴 수가. 이 자신감 넘치는 영화의 티켓은 다른 영화보다 무려 500원이나 비싼 게 아닌가. 당시 광주의 영화 관람료가 1500원이었으니, 이 영화는 물경 2천원. 지금이야 500원은 자판기 커피 한두잔 값에 불과하지만, 20년 전의 어린 학생에게 500원은 거금이었다. ‘클라이맥스가 따로 없다고 큰소리치더니 500원이나 올려 받아?’ 기대와 분노와 머뭇거림에 휩싸여 족히 한 시간은 극장 매표소 앞에서 서성거렸다. 눈물을 머금었다. 날아다니는 우주선은 거부할 수 없는 유혹이었고, 외계인과 지구인이 전투라도 벌이는 영화는 빠짐없이 봐오던 내가 아니었나. 마침내 2천원의 거금을 지불했지만, 극장 좌석에 앉아 불이 꺼지는 순간까지 극장쪽을 향한 욕은 멈추지 않았다.

정확히 영화가 시작되는 그 순간부터, 욕설 아니 그 어떤 말도 할 수가 없었다. 인간의 몸에서 기생충처럼 자라다 배를 뚫고 나오는 에일리언의 설정은 오감을 뒤흔드는 충격 그 자체였다. 거기다 에일리언이 주는 무시무시한 공포와 쫓기는 해병대원들의 박진감 넘치는 전투는 클라이맥스가 따로 없다는 말이 공연한 헛소리가 아니었음을, 적어도 나에게 증명해주었다. 내가 저들 사이에 끼어 에일리언에게 쫓기고 있다면 어떨까. 머릿속을 온통 사로잡은 이런 상상이 1초도 그치지 않았다.

많은 영화가 나를 살떨리게 했지만, 후유증처럼 흥분에 점령당한 내 몸이 잠을 이루지 못한 경험은 <에이리언2>가 유일무이하다. 그러니까 잠을 설치고 일어난 일요일, 나는 상상 속의 우주전사가 되어 우주 괴물과 사투를 벌이느라 휴일을 화살처럼 보냈다. 하루 종일 누워서 사투를 벌이는 공상에 빠져 비몽사몽인 나를 보다 못한 아버지가 호되게 야단치기도 했지만, 난 그저 행복했다.

영화를 자양분 삼아 공상을 즐기던 소년은 이제 35살의 방송사 PD가 되었다. 공상과 상상의 나래가 자연스레 이쪽 계통으로 이끌어간 듯하다. 프로그램을 만들며 늘 꿈꾼다. 누군가가 나의 방송을 보고, 흥분에 잠 못 이룬다면 얼마나 기분이 좋을까.

김유곤/ MBC <일요일 일요일밤에> PD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