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 리뷰]
홍상수의 <밤과 낮> 첫 공개
2008-02-18
글 : 정한석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온라인 프리뷰/<밤과 낮>

일시 2월12일 화요일 4시
장소 CGV 용산

이 영화

화가 성남(김영호)은 우연히 유학생들과 어울려 대마초를 핀 것이 문제가 되자 파리로 도피하여 그곳 한인 민박집에 머무르며 할 일 없이 시간을 보낸다. 아내(황수정)와는 매일 밤 1시에 통화를 하지만, 파리에서 그는 몇명의 여자를 만나게 된다. 오랫동안 잊고 지냈던 10여 년 전 애인 민선을 만나고, 민박집 주인이 소개해 준 현주를 따라 미술관에 가기도 한다. 현주의 룸메이트인 유명 미술대학 유학생인 유정(박은혜)도 만난다. 성남은 점점 더 유정에게 끌리게 되고 구애하게 된다.

100자평

'화가 김성남의 34일간의 감정 기록'. 홍상수가 트리트먼트에 부제로 붙여 놓았다는 이 말보다 영화 '밤과 낮'을 더 잘 요약할 수 있는 말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방점은 '감정 기록'에 있으며, 물론 그 감정의 드라마의 중심에는 '연애감정'이 있다. 영화의 '일기체' 형식은 느슨해 보이지만, 단단한 구조의 다른 형식이기도 하다. 말하자면 그것은 '순간과 우연'을 기다리는 느슨한 그물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것을 향해 팽팽하게 긴장되어 있는 낚시줄이기도 하다. '밤과 낮'이 한편의 일기라면, 그 일기는 매일 저녁이 아니라 순간 순간 쓰여진 일기일 것이다. '밤과 낮'이 '말'의 영화라면, 그것은 '말이 탄생하는 순간'을 포착하고 있는 영화라는 의미에서 그러할 것이다. 그 순간들 속에는 유쾌함과 불온한 긴장이 공존한다. 홍상수의 최초의 해외 로케이션인 '밤과 낮'은 단순한 관광기가 아니라 드물게 찾아오는 진정한 여행기다.
- 변성찬 영화평론가

다 다른 사람, 다 같은 사람. 이번에는 어쩔 수 없이 프랑스 파리로 도망쳐 비리한 일상을 보내는 예술가 이야기다. 화가 김성남은 낮에는 젊은 여성에게 수작을 걸고, 밤이면 아내에게 전화를 걸어 외롭고 힘들다고 호소한다. 한국과 프랑스의 상식과 가치가 혼재되어 있는 곳에서도, 홍상수의 인물들은 변함이 없다. 그들은 서로 욕하고, 비난하고, 속이고, 도망친다. <밤과 낮>은 더욱 일상으로 가라앉는다. 그래서 비리한 냄새는 더욱 강하지만, 특유의 리듬은 느슨해진다. 다 다르지만, 다 같다. 이제는 좀, 같으면서도 다른 이야기를 보고 싶다.
- 김봉석 영화평론가

홍상수의 영화는 언제나 종로 일대나 남산 혹은 경주나 태안 혹은 강원도처럼 분명 한국의 지리적 공간을 배경으로 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적인 냄새가 났다. 로메르와 자주 비견되곤 했던 그의 영화가 이번에는 진짜 프랑스로 갔다. 하지만 그의 인물들은 여전히 파리의 거리에서도 불안정하고 신경증적이며, 기묘하게도 매우 한국적이다. 한국에 있을 때는 프랑스적이었던 인물들이 프랑스에 있을 때는 매우 한국적으로 보인다. 그렇게 홍상수 영화에서 공존하는 보편성과 특이성들이 이 영화의 이질적인 공간(파리/서울)과 분리된 시간(밤/낮) 속에서 빛을 발한다. 인물들은 여전히 주체할 수 없고 한없이 가벼운 욕망을 채우기 위해 술을 마시고, 장광설을 늘어놓고, 눈물을 흘리고 ‘사랑한다’를 간지럽게 외친다. 꿈과 현실을 엮어놓은 서사와 그 안을 부유하는 인물은 전작들에 비해 더 직선적이며 간결해졌고 그로인해 영화는 때때로 더 유머러스해졌다. 허공을 부유하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인간의 욕망이 성남 그림의 주요 테마인 구름으로 은유되고, 그것은 결코 어떤 언어로도 규정되지 않으며 이성으로 포획되지도 감정들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고리로서 적절하게 기능한다. 이 작품은 역시 인간 감정의 치졸한 모순들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지만 이상하게도 회의적이거나 냉소적이지 않은 따뜻함이 느껴진다. 김영호의 자연스러운 연기는 그가 설정된 화면 속에서 주어진 액션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게 만들며, 브라운관에서 순진하기만 했던 박은혜의 신선한 얼굴을 새롭게 발견하게 된다.
-김지미 영화평론가

관련 영화